[스크랩] `한글` 주기율표 뭐기에.."과학성 감탄" 美서 화제 '한글' 주기율표 뭐기에.."과학성 감탄" 美서 화제 [머니투데이 김예현인턴기자] ↑이미지쉐이크 사이트에 소개된 제작자 김다림 씨의 한글 주기율표(출처: 한글 주기율표 홈페이지) 미국 미디어 호스팅 업체 사이트 '이미지쉐이크(http://imageshack.us)'에 '한글 주기율표'라는 그림이 올라와 국내외 누리꾼.. 민족-우리말 2011.02.04
[스크랩] 재외동포 교육관련 단체 소개 (강성봉) 재외동포교육 관련 단체 작성자: 강 성 봉 재외동포교육과 관련하여 국내에서 활동하고 있는 기관들에는 (1) 국제교육진흥원, (2) 한국어세계화재단, (3) 국립국어연구원, (4) 재외동포재단, (5) 한국국제교류재단, (6) 국제한국어교육학회, (7) 한글학회, (8) 교육과정평가연구원, (9)재외동포교육진흥재단 .. 민족-우리말 2010.08.02
[스크랩] [논문]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과정에 대한 고찰 (강은국)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과정에 대한 고찰 강 은 국 (중국 復旦大學校) 1. 서론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은 중한 수교 이후 급속한 발전을 가져왔는바 현재 한국어학과가 설치되어 있는 대학교들로는 연변대학교, 길림대학교, 흑룡강대학교, 요녕대학교, 대련외국어대학교, 요녕사범대학교, 산동대학교, .. 민족-우리말 2010.06.15
[스크랩] [논문] 한국어 교육의 과제와 전망 (박갑수) 한국어 교육의 과제와 전망 박 갑 수 (서울대) 1. 서론 한국어가 외국어로서 가르쳐지기 시작한 것은 외국인과 접촉하면서 비롯되었을 것이다. 따라서 그것이 언제부터인지 구체적으로 알기는 어렵다. 그런데 기록에 의하면 적어도 신라 聖德王 때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것으로 보인다. 일본의 「.. 민족-우리말 2010.06.15
[스크랩] [논문] 한국어 교육의 새로운 방법 (김중섭) 한국어 교육의 새로운 방법 김 중 섭(경희대학교 국제교육원) 1. 머리말 1988년 서울 올림픽 개최로 한국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바뀌면서 한국어에 대한 관심이 점차 고조되어 왔다. 한국어를 학습하려고 하는 사람들이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 각지에서 해마다 늘어나고 있다. 국내에서는 1959년에 연.. 민족-우리말 2010.06.15
[스크랩] 전래 동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한국어교육 방안 (김영주) 전래 동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한국어교육 방안 -재외동포 아동을 대상으로- 김영주 교수/경희대학교 한국어학과 1. 서론 한국인이 사는 사회는 다문화적 구조로 변화하고 있다. 국내/외에서 일어나고 있는 급속한 세계화로 인한 한국인의 유출과 유입은 다양한 문화 환경에서 한국어를 모국어 혹은 .. 민족-우리말 2010.06.15
[스크랩] 한글의 창제와 반포 그리고 보급 (박진호) 한글의 창제와 반포 그리고 보급 박진호 (한양대 교수) 한글의 반포에 대해 이야기하려면 한글의 창제에 대해서 함께 이야기하지 않을 수 없다. 많은 사람들은 한글이 1443년(세종 25)에 창제되어 1446년(세종 28)에 반포되었다고 알고 있지만, 이것은 사실이 아니다. 1443년 창제와 1446년 반포라는 설은 <.. 민족-우리말 2010.06.15
[스크랩] 중국 조선족 아동의 한국어, 중국어 관계절 발달 (이귀옥.이선영.이근호) * 논문의 전체내용은 첨부파일을 열어보세요. 중국 조선족 아동의 한국어, 중국어 관계절 .pdf 민족-우리말 2010.06.15
[스크랩] 중국의 한국어 교육과 우리의 외국어 교육 중국의 한국어 교육과 우리의 외국어 교육 중국에서 한국어과를 개설한 대학들은 회화 중심의 의사소통 능력 신장에 커리큘럼 운영의 초점이 맞춰져 있어 졸업할 무렵이면 대부분 한국어를 웬만큼은 구사한다는 것이다. 이는 우리 초·중등과정 외국어 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특히 선택중.. 민족-우리말 2010.06.15
[스크랩] 초급반 학생(7~9세)을 위한 한국어 교수법 (김정숙) 초급반 학생(7~9세)을 위한 한국어 교수법 김 정 숙 /고려대학교 국어국문과 교수 1.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1.1. 학습자의 요구(needs)를 반영해 교육 내용을 구성한다. 교육 내용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기준은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하는 일이다. 아이들이 한국어를 사용하는 상황이나 맥락을 .. 민족-우리말 2010.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