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래 동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한국어교육 방안
-재외동포 아동을 대상으로-
김영주 교수/경희대학교 한국어학과
1. 서론
한국인이 사는 사회는 다문화적 구조로 변화하고 있다. 국내/외에서 일어나고 있는 급속한 세계화로 인한 한국인의 유출과 유입은 다양한 문화 환경에서 한국어를 모국어 혹은 제2언어로서 교육하고 학습하는 현실을 만들었다. 재외동포재단(2007) 통계에 따르면 한민족 7천만 명 중 700만은 해외 동포이며 우리나라는 중국, 이스라엘, 이탈리아를 이어 재외동포 대국이다. 재외동포들은 민족적 정체성과 조국과의 연계성을 위해 한국어 교육로 필요로 하나 재외동포에 대한 한국어 교육은 교육과정의 문제, 학습자료 문제, 교수법 문제 등의 어려움을 안고 있다.(박갑수, 2007) 2007년도 이중언어학회에서 주최한 재외동포의 한국어교육 심포지움에서 교사들은 가장 큰 문제로 아동을 위한 적절한 교재의 부재와 교사 교육을 들었다. 채연강과 박병선(2007)은 재대만 동포의 한국어 교육에서 교육 환경적으로 성인이 아닌 교포 아동을 위한 교재 개발이 필요하며, 이러한 교재에 맞추어 대만 지역에 특화된 교수 방법 개발도 필요하다고 했다. 이선근(2007)은 재미동포의 한국어 교육에서 한국어 교육을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미국 동북부, 특히 뉴욕 주의 중고등학교 한국어 교사 양성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주말한국학교의 한국어 교육에 맞는 교재 개발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홍종선(2007) 역시 오세아니아 지역의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 시급한 문제로 다양한 교보재의 공급과 교사들의 재교육을 예로 들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여러 분야에서의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무엇보다도 재외동포 가정 아동들이 쉽게 배우고 익힐 수 있는 한국어 교재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기존의 한국어 교재는 성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아동들에게 적용하여 교육을 하기에는 다루고 있는 어휘 및 문형 그리고 내용면에서 부적절한 부분이 많다. 따라서 재외동포 가정 아동들을 대상으로 하여 기존 교재들에서 충족시키지 못하는 부분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교재가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그 시작점으로 아동의 눈높이에 맞게 개작한 전래 동화에 책 읽기 언어교육기법을 접목하여 개발한 아동 대상의 한국어 교육 방안에 대해 생각해 보고자 한다.
_전체 내용은 첨부파일을 열어보세요.
'민족-우리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논문] 한국어 교육의 과제와 전망 (박갑수) (0) | 2010.06.15 |
---|---|
[스크랩] [논문] 한국어 교육의 새로운 방법 (김중섭) (0) | 2010.06.15 |
[스크랩] 한글의 창제와 반포 그리고 보급 (박진호) (0) | 2010.06.15 |
[스크랩] 중국 조선족 아동의 한국어, 중국어 관계절 발달 (이귀옥.이선영.이근호) (0) | 2010.06.15 |
[스크랩] 중국의 한국어 교육과 우리의 외국어 교육 (0) | 2010.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