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한류 지키려면 해외서 이는 한글 붐 외면 말아야” “한류 지키려면 해외서 이는 한글 붐 외면 말아야” 중국·중앙아시아에서 한글백일장, 이명학 성균관대 교수 정선언 기자 2009년 10월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서 열린 중앙아시아 한글백일장 참가자들이 글짓기에 열중하고 있다. 최정동 기자 성균관대 사범대에서 한문을 가르치는 이명학(55) 교수.. 민족-우리말 2011.02.04
[스크랩] [가슴으로 글쓰기] 책벌레의 독서일기 [가슴으로 글쓰기] 책벌레의 독서일기 책을 먹어치우는 독후감 독후감 쓰기는 읽는 이를 책의 주인으로 만든다. 그리고 감히 말하거니와, 책의 주인 된 자가 세상의 주인으로 당당히 나설 수 있는 법이다. 살고 있는 집에서 자전거 타고 5분 정도 거리에 공립도서관이 지어졌다. 나 같은 사람에게 이런 .. 민족-우리말 2011.02.04
[스크랩] [가슴으로 글쓰기] 말하기보다 쉬운 글쓰기 [가슴으로 글쓰기] 아줌마의 창작론 말하기보다 쉬운 글쓰기 머리에 떠오른 첫 문장은 그 다음 문장을 끌고 나오는 힘이 있다. 그 힘을 믿고 따르는 게 중요하다. 그렇게 써나가다 보면 정말 쓰고 싶었던, 형체가 분명치 않았던 진짜 ‘자기 생각’과 만날 수도 있다. 올여름은 덥지 않았다. 쨍쨍한 여.. 민족-우리말 2011.02.04
[스크랩] [가슴으로 글쓰기] CEO의 글쓰기 [가슴으로 글쓰기] CEO의 글쓰기 경영자의 쓴 소리가 기업을 살린다 경영자는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유도하기 위해 당당하게 주장하고, 쓴 소리 단 소리를 내고, 기업의 실상을 홍보해야 한다. 경영자의 글에는 열정과 의지가 담겨 있어 상대방을 설득하고 감동시킬 수 있어야 한다. 창너머 우면산 기슭.. 민족-우리말 2011.02.04
[스크랩] [가슴으로 글쓰기] 머리가 아니라 가슴으로 써라 [가슴으로 글쓰기] 가짜 글과 진짜 글 머리가 아니라 가슴으로 써라 감동이 아주 작거나 별로 없는 글을 ‘죽은 글’ ‘좋지 않은 글’ ‘가짜 글’이라 한다. 반대로 자기만의 생생한 삶이 묻어나고 감동이 큰 글을 ‘살아 있는 글’ ‘좋은 글’ ‘진짜 글’이라 한다. 어른들의 글쓰기는 크게 ‘사.. 민족-우리말 2011.02.04
[스크랩] 원고지 사용법 원고지 사용법 1) 한 칸에 한 자씩 쓴다. 다만, 알파벳(소문자)이나 아라비아 숫자 등은 한 칸에 두 자씩 쓰는 것이 좋다. 모든 문장 부호도 각각 한 칸을 씀을 원칙으로 한다. ※ 알파벳 대문자는 한 칸에 한 자씩 쓴다. 2) 문단의 첫머리는 한 칸을 비우고 둘째 칸부터 쓰기 시작한다. 이것은 새 문단의 .. 민족-우리말 2011.02.04
[스크랩] 한글 맞춤법과 띄어쓰기의 실제 한글 맞춤법과 띄어쓰기의 실제 1. ‘되어’와 ‘돼’의 구분: ‘돼’는 ‘되어’의 준말 (가) 되어, 되어서, 되었다 → 돼, 돼서, 됐다 (가)′ 그러면 안 돼요(←되어요). 일이 잘 됐다(←되었다) ※ *됬다 *는 잘못된 어형임을, ?는 어색한 어형임을, 그리고 ??는 아주 어색한 어형임을 보이는 기호.. 민족-우리말 2011.02.04
[스크랩] 한글 띄어쓰기의 원리 한글 띄어쓰기의 원리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 ① 문장의 각 단어는 구분지어 표기한다. [해설] 띄어쓰기의 기본 단위는 단어이다. 그러나 서로 다른 단어가 결합하여 새로운 단어가 될 수도 있으므로(예컨대 단어 ‘돌’과 단어 ‘다리’가 만나면 또 다른 단어 ‘돌다리’가 된다) .. 민족-우리말 2011.02.04
[스크랩] 한글 맞춤법의 원리 한글 맞춤법의 원리 한글 맞춤법이란 무엇인가? 우리말을 우리 문자인 한글로 적는 방식을 규정한 법이다. 우리말을 적는 통일된 방식이 없어 사람마다 적는 방식이 제각각이라면 우리의 문자 생활은 큰 혼란에 빠질 것이다. 따라서 한글 맞춤법은 불필요한 규제가 아니요 효율적인 문자 생활을 위해 .. 민족-우리말 2011.02.04
[스크랩] 한글의 구조와 우수성 한글의 구조와 우수성 한글은 소리 나는 대로 적는 표음문자이면서 음소문자이다. 기본 글자는 자음 14자와 모음 10자의 24자이고 여기에 이들을 조합하여 만든 자음 5자와 모음 11자를 더하여 총 40자를 사용한다. 기본 자모만을 보이면 다음과 같다.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 민족-우리말 2011.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