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한글 수출하자”… 민간·학계중심 소수종족에 보급운동 “한글 수출하자”… 민간·학계중심 소수종족에 보급운동 독자적인 문자를 갖추지 못한 세계 소수민족에게 한글을 보급하는 움직임이 학계를 중심으로 꾸준히 이어져 오고 있다. 하지만 한글의 세계화가 보다 활성화되려면 민·관의 체계적인 지원과 상대 민족에 대한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는 지적.. 민족-우리말 2009.08.08
[스크랩] 한민족의 위대한 유산 `한글` 한민족의 위대한 유산 '한글' 모든 언어의 꿈 한글 “말은 사람의 특징이요, 겨레의 보람이요, 문화의 표상이다. 조선말은, 우리 겨레가 반 만 년 역사적 생활에서 문화 활동의 말미암던 길이요, 연장이요, 또 그 결과이다. 그 낱낱의 말은 다 우리의 무수한 조상들이 잇고 이어 보태고 다듬어서 우.. 민족-우리말 2009.08.08
[스크랩] 모든 언어의 꿈 한민족의 위대한 유산 한글 (정주호) 모든 언어의 꿈 한민족의 위대한 유산 한글 정주호(연세대 컴퓨터공학부) “말은 사람의 특징이요, 겨레의 보람이요, 문화의 표상이다. 조선말은, 우리겨레가 반 만 년 역사적 생활에서 문화 활동의 말미암던 길이요, 연장이요, 또 그 결과이다. 그 낱낱의 말은 다 우리의 무수한 조상들이 잇고 이.. 민족-우리말 2009.07.22
[스크랩] ‘여태명 문자조형연구소’통해 한글디자인의 세계화 앞장 ‘여태명 문자조형연구소’통해 한글디자인의 세계화 앞장 세계적 서예작가 ‘한국캘리그래피디자인협회’ 초대회장 취임 글자를 아름답게 쓰는 기술이란 뜻이 Calligraphy(캘리그래피)는 기계적인 표현이 아닌 손으로 쓴 아름답고 개성 있는 서예 및 글자체의 상업용 디자인을 말한다. 캘리그래피는 .. 민족-우리말 2009.07.22
[스크랩] ‘위키백과사전’ 표제어 한국어 10만단어 돌파 ‘위키백과사전’ 표제어 한국어 10만단어 돌파 ㅣ경향신문--> ㆍ세계서 27번째… 13일 기념 컨퍼런스 전 세계 인터넷 이용자들이 만드는 온라인 백과사전 ‘위키피디아’의 한국어 표제어가 10만 단어를 넘어섰다. 12일 위키피디아에 등록된 한국어 표제어는 10만793개로 집계됐다. 2002년 10월12일 첫 표.. 민족-우리말 2009.06.22
[스크랩] 한글의 표기 가능한 글자 수와 소리나는 음절 개수 한글의 표기 가능한 글자 수와 소리나는 음절 개수 현대 한글은 낱자를 엮어 11,172(첫소리 19 × 가운뎃소리 21 × (끝소리 27 + 끝소리 없음 1))글자 마디를 쓸 수 있으나, 사용 빈도는 KS X 1001 완성형 한글 코드에 선별된 2,350글자가 상위 99.9%로 알려져 있다. 어문 규정에 의하여, 현대 한국어 표준어에서 실.. 민족-우리말 2009.06.20
[스크랩] TOPIK 한국어능력시험 쓰기 가르치기 TOPIK 한국어능력시험 쓰기 가르치기 TOPIK 한국어 능력시험은 매년 4월과 9월 년2회로 실시됩니다. 그래서 능력시험을 가르치시는 여러 선생님들의 다양한 고민이 생기기도 합니다. 그중에 쓰기를 가르치는 일이 쉽지만은 않은 것이 사실입니다. 작문을 가르칠 때 조금이나마 도움을 드리기 위해 간단한.. 민족-우리말 2009.06.20
[스크랩]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ㄱ> 가까와 → 가까워 가정난 → 가정란 간 → 칸 강남콩 → 강낭콩 개수물 → 개숫물 객적다 → 객쩍다 거시키 → 거시기 갯펄 → 개펄 겸연쩍다 →겸연쩍다 경귀 → 경구 고마와 → 고마워 곰곰히 → 곰곰이 괴로와 → 괴로워 구렛.. 민족-우리말 2009.06.20
[스크랩] 한글 맞춤법(국립국어원 교육을 다녀와서) 한글 맞춤법(국립국어원 교육을 다녀와서) Ⅰ. 들어가며 공무원을 비롯한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국어사용 능력을 키워 줌으로써, 효과적으로 의사소통 능력과 업무 수행 능력을 향상 시키고, 나아가서는 국가 경쟁력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Ⅱ. 한글 맞춤법 □ 한글 맞춤법의 원리 한글 맞춤법.. 민족-우리말 2009.06.20
[스크랩] 한글 맞춤법 자료 한글 맞춤법 자료 ● [놀란 가슴] 과 [놀랜 가슴] '놀라다'와 '놀래다'는 다른 뜻을 가진 말입니다. 뜻을 살펴 보면 쉽게 구분해 쓸 수 있는 말인데도 혼란이 심한 말 중 하나입니다. '놀라다'는 뜻밖의 일을 당하여 가슴이 설레다, 갑자기 무서운 것을 보고 겁을 내다라는 뜻이고, '놀래다'는 남을 놀라게 .. 민족-우리말 2009.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