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구원과 자유의지(1)- 구조, 구명, 구원 구원과 자유의지 <1> - 구조, 구명, 구원 신학적 논의를 하려면 신학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계념을 정확히 알아야 합니다. 신학용어를 모르고 사전적 의미만 아는 사람이 신학적 토론을 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입니다. 특히 우리 게시판에는 아직도 구원론의 논쟁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구원론.. 신학자료 2011.04.30
[스크랩] 주기도문, 죄사함, 구원 주기도문, 죄 사함, 구원 많은 사람들이 주기도문 중 “우리가 우리에게 죄 지은 자를 사하여 준 것 같이 우리 죄를 사하여 주옵시고.”(마6:12) 의 내용을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죄 사함으로 착각하는가 하면 더 나아서 우리에게 지은 죄를 사하여 주는 것을 구원의 조건으로 크게 오해하는 경우.. 신학자료 2011.04.30
[스크랩] 예정론의 역사적 고찰 예정론의 역사적 고찰 지금 우리 게시판은 구원 문제를 다루고 있었습니다. 구원의 궁극적인 주체가 하나님이시냐? 인간이냐? 즉 하나님께서 인간의 의사와 관계없이 일방적으로 구원하시는가? 아니면 하나님께서 독생자를 대속의 제물로 희생하시기까지 하시고 구원의 도를 베풀어주셨지만 하나님.. 신학자료 2011.04.23
[스크랩] 초대교회사 1 초대교회사 1 ※ 차 례 ※ 1 1. 서 론 2 2. 본 론 2 1. 영지주의 개관 3 1) 영지주의 3 2) 영지주의의 성격 3 3) 영지주의 자료 3 4) 영지주의의 기원 4 2. 영지주의의 종류 5 1) 알렉산드리아의 영지주의자 5 (1) 사투르니누스 5 (2) 카르포크라테스 5 (3) 바실리데스 5 2) 시리안계의 영지주의자 7 3) 팔레스타인계 영지.. 신학자료 2011.04.23
[스크랩] 성경적 조직신학 - 제3부 인간론 : 사람의 기원, 본질, 죄, 하나님의 언약 성경적 조직신학 - 제3부 인간론 : 사람의 기원, 본질, 죄, 하나님의 언약 제3부: 인간론 인간론(Anthropology)은 사람과 죄에 관한 진리들을 정리한다. 인간론의 주요 주제들 1. 사람의 기원 2. 사람의 본질 3. 죄의 본질 4. 죄의 구별 5. 죄의 형벌 6. 하나님의 언약 1. 사람의 기원 하나님께서 창조하심 구약 창.. 신학자료 2011.04.23
[스크랩] 종교개혁사(1) 종교개혁사(1) 16세기는 지극히 종교적인 세기였다. 종교가 정치, 경제, 문화, 사회, 학문과 생활 전반을 지배하고 있어서 종교를 떠나서는 그 무엇도 존재할 수 없었던 시기였다. 그럼에도 16세기는 하나님께서 종교개혁을 단행하시지 않을 수 없었던 시기였다. 종교적인 사회라고 다 기독교적인 것은 .. 신학자료 2011.04.23
[스크랩] 사순절은 성경적인가? 사순절은 성경적인가? 교회력의 올해의 이른 바 '사순절(四旬節/Lent)'이 시작됐다. 성금요일까지 40일을 금식/묵상 등을 통해 경건으로 채운다는 기간이다. 요즘 한국 교계를 비롯한 온 세계에 관상(觀想) 영성(contemplative spirituality)이 만연한데, 일년 중 이때 만큼 관상과 관상기도가 강조되는 때도 없을.. 신학자료 2011.04.21
[스크랩] 신앙생활에서 쓰이는 외래 용어와 기호 신앙생활에서 쓰이는 외래 용어와 기호 1. 쓰이는 용어(用語) 가톨릭 (Catholic) ‘보편적, 공번된’이라는 어원을 갖고 있다. 로마 교황의 통솔을 받는 가톨릭을 ‘천주교’ 또는 ‘로마교’라고도 한다 노엘 (Noel) : '크리스마스‘의 프랑스어 달리다굼(Talitha koum) : ‘소녀야 내가 네게 말하노니 일어나.. 신학자료 2011.04.19
[스크랩] 근본주의와 복음주의 근본주의와 복음주의 목창균 (조직신학_현 서울신대 총장) 서 론 복음주의자란 본래 프로테스탄트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 용어였으나 19세기 들어 복음주의자들이 자유주의자와 보수주의자로 양분되면서 그 의미가 바뀌게 되었다. 자유주의자들은 복음주의자로 자처했으나, 대 각성운동의 특징과 강.. 신학자료 2011.04.19
[스크랩] 신학용어 287선 신학용어 287선 ◎ 교회사 공부 시에 참고할 신학용어를 선집 하였습니다. 가경(Apocrypha) 헬라어 '아포크리포스'로 번역하면 '숨긴 것'이란 뜻이다. 그러므로 가경은 일반인에게 공개되지 않은 책들을 가리킨다. 공개되지 않은 이유는 그 내용에 문제성이 많기 때문이 다. 그 문제성 가운데 그 저작들이 .. 신학자료 2011.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