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합리주의 합리주의 合理主義 rationalism 비합리와 우연적인 것을 배척하고 도리(道理)·이성(理性)·논리(論理)가 일체를 지배한다고 보는 주의. 이성적·논리적·필연적인 것을 존중하는 입장으로, 합리론·이성론·이성주의라고도 한다. 합리주의는 경험론 특히 감각론에 대립하는 이론으로 사유(思惟)만을 .. 신학자료 2011.03.03
[스크랩] 평신도를 위한 51주 신학공부 평신도를 위한 51주 신학공부 제 1 장 : 서 론 1. 종교란 무엇인가? 2. 왜 그리스도敎인가? 3. 우리는 무엇을 믿는가? 제 2 장 : 우리가 믿는 하나님 (神論) 1. 하나님의 자기 계시(啓示) 방법 2. 하늘에 계신 하나님(本質) 3. 세상중에 계시는 하나님(性品) 4. 일하시는 하나님(使役) 5. 인류와 세계의 구원을 예.. 신학자료 2011.02.25
[스크랩] 하나님의 豫定과 人間의 自由 (노우호) 하나님의 豫定과 人間의 自由 노우호 목사 (에스라하우스 원장) 일반적으로 성도들이 이해하기 어려워하는 부분이 자유라고 하는 개념과 예정이라는 교리이다. 그러나 신앙생활을 하면서 믿음의 경륜이 깊어 갈수록 하나님의 예정하심과 인간의 자유에 대하여 조금씩 이해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혼.. 신학자료 2011.02.25
[스크랩] 로마 카톨릭의 정체는 무엇인가? (마틴 로이드 존스) 로마 카톨릭의 정체는 무엇인가? 마틴 로이드 존스(Martyn Lioyd Jones) 우리는 왜 로마 카톨릭을 말해야 합니까? 그것은 성경이 그녀에 대해 말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자칫 종교적 편견이나 개신교의 시기심에서 나온 비평으로 오해받기 쉽지만, 그렇다고 침묵을 지키는 것은 경고의 나팔을 불지 않는 파.. 신학자료 2011.02.25
[스크랩] 종교다원주의란 무엇인가? 종교다원주의란 무엇인가? 21세기의 교회가 당면한 큰 문제는 종교 다원주의라고 할 수 있다. 종교 다원과 포스트 모더니즘의 영향은 점점 더 단 하나의 객관적 진리를 반대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기독교는 "오직 예수", "오직 믿음"의 복음을 과연 유효하게 선언하고 선포된 복음.. 신학자료 2011.02.25
[스크랩] 예정론의 바른 이해와 오해 예정론의 바른 이해와 오해 예정 교리 예정 교리'는 역사적으로도 수많은 논쟁을 불러 일으켜 온 기독교 교리 중의 하나이다. 뿐만 아니라 이 교리는 바른 신학과 혼합된 신학을 분명하게 구분해 주는 핵심적인 교리이다. 우리는 이 교리를 흔히 '칼빈의 예정론'이라고 부르며, 단지 종교개혁자 칼빈이.. 신학자료 2011.02.22
[스크랩] 하나님 나라와 종말 하나님 나라와 종말 부재:하나님 나라를 알면 종말이 보인다. 서론적고찰 1. 말뜻 2. 현재성 미래성 3. 하나님 나라의 임함과 종말 4. 하나님 나라와 종말을 어떻게 확인할수 있는가? 5. 역사적 종말의 의미 1. 때가 차매(역사적 배경) 1.1. 창조사상 1.2. 타락사상 1.3. 언약사상 1.4. 종말사상 2. 태초에 나타난.. 신학자료 2011.02.12
[스크랩] 기독교 교리문답 기독교 교리문답 초학문답 제1과 하나님과 창조 제2과 아담과 하와 제3과 그리스도의 구속 제4과 기도의 모범 제5과 세례와 성찬 학습문답 제1과 그리스도인과 생활 제2과 그리스도인과 성경 제3과 그리스도인과 신앙 제4과 그리스도인과 사회 세례문답 신론 인간론 기독론 성령론 교회론 종말론 성례.. 신학자료 2011.02.05
[스크랩] 하이델베르크 요리 문답 하이델베르크 요리 문답 서언 제 1 주일 1. 사나 죽으나 당신의 유일한 위안은 무엇입니까? 답 : 사나 죽으나 나는 나의 것이 아니고 몸과 영혼이 모두 미쁘신 구주 예수 그리스도의 것입니다. 주께서 보배로운 피로 나의 모든 죄값을 치러주셨고 마귀의 권세로부터 나를 자유케 하셨습니다. 또한 하늘에.. 신학자료 2011.02.05
[스크랩] 웨스트민스터 대요리 문답 웨스트민스터 대요리 문답 1. 사람의 제일되는 가장 중요하고 고귀한 목적은 무엇인가? 답 : 사람의 제일되며 가장 중요하고 고귀한 목적은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것과 그분을 영원히 마음을 다하여 즐거워하는 것이다. 2. 하나님이 계시다는 사실이 어떻게 나타나 보이는가? 답 : 사람 안에 있는 자연.. 신학자료 2011.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