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니케아 신앙고백서 (2) 니케아 신앙고백서 우리는 한 하나님 아버지 만유의 통치자이신 전능하신 하나님 아버지를 믿는데 보이는 모든 것과 보이지 않는 모든 것을 만드신 분이십니다. 그리고 한 주 예수 그리스도 하나님의 아들을 믿는데, 그는 아버지에게서 출생하신 독생자이시고, 아버지의 실체에서 나오신 이시고, 하.. 신학자료 2011.03.11
[스크랩] 니케아 신앙고백서 (1) 니케아 신앙고백서 우리는 하늘과 땅을 지으시고, 보이는 것이나 보이지 않는 모든 것을 지으신 전능하신 아버지이신 한 하나님을 믿습니다. 우리는 한 주 예수 그리스도를 믿습니다. 그는 하나님의 독생자이시며, 모든 세상이 있기 전에 하나님에게서 나셨으며 하나님으로부터 나온 하나님이시요, 빛.. 신학자료 2011.03.11
[스크랩] 니케아 신조 니케아 신조 "전능하신 하나님 아버지시며 천지와 가시적이며 불가시적인 만물을 만드신 창조주이신 한 분 하나님을 저희가 믿사오며, 만세 전에 아버지에게서 나신 하나님의 아들, 독생자이신 한분, 주 예수 그리스도를 믿사오니, 이는 빛에서 나오신 빛이시요, 참 하나님에게서 나오신 참 하나님이.. 신학자료 2011.03.11
[스크랩] 구약성서에 나타난 相生的 민족통일 고찰 (방석종) 구약성서에 나타난 相生的 민족통일 고찰 방 석 종 교수 (감신대/구약학) 역사는 일찍부터 정치 영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이다. 이런 역사틀 속에서 [민족의식과 통일]은 이른바 '정치적'이란 형용사 없이는 불러질 수 없으며, 따라서 정치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구약시대에 있어서 이스라엘 민족의 형.. 신학자료 2011.03.11
[스크랩] 신학용어 모음 신학용어 모음 * 분류가 정확하지는 않지만 참조할만 함. 신학용어모음 1.신학사조: liberalism (자유주의), neoorthodoxy(신정통주의), fundamentalism(근본주의), neoevangelism(신복음주의), evangelism(복음주의), conservatism(보수주의), progressivism(진보주의), puritanism(청교도주의), radicalism(급진주의), calvinism(칼빈주의), new.. 신학자료 2011.03.03
[스크랩] 아르미니우스주의(Arminianism) 아르미니우스주의(Arminianism) 좁은 의미로는 네덜란드의 개혁파 신학자이며 레이든(Leyden)의 교수인 아 르미니우스(Jacob Arminius)의 신학을 가리키나, 보다 광범위하게는 하나님의 은혜에 반응하는 인간의 능력을 강조하는 여러 가지 견해를 가리킨다. 아르미 니우스는, 하나님이 어떤 사람은 저주받도록 .. 신학자료 2011.03.03
[스크랩] 아리우스주의(Arianism) 아리우스주의(Arianism) 정확한 의미로는, 아리우스주의는 알렉산드리아의 사제였던 아리우스(Ar- ius)의 기독론을 말한다. 이 이론은 325년 제1차 니케아 회의에서, 또한 381년 제1차 콘스탄티노플 회의에서 정죄되었다. 이 견해와 이어지는 논의들은 반 세 기 이상 전 로마 제국을 흔들었으며, 더욱 나쁜 것.. 신학자료 2011.03.03
[스크랩] 아우구스티누스 주의(Augustinianism) 아우구스티누스 주의(Augustinianism) 아우구스티누스주의는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아우구스티누스의 철학을 반 영하고 있는 철학사상들의 복합체로 이야기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우구스티누스 이후에 등장했던 철학자들 중 많은 인물들이 그의 주요사상들을 재진술했을 뿐 만 아니라 종종 그것들을 자신.. 신학자료 2011.03.03
[스크랩] 애찬(the Agape / love feasts) 애찬(the Agape / love feasts) 아가페는 일반적으로 초대 기독교인들의 '애찬'(love feasts)을 지칭하는 명칭으로 이때 이 식사는 종교적 교제를 위해 특히 기독교 공동체의 가난한 사 람들이나 과부들에게 자비를 베풀기 위해 교회 구성원들에 의해 제공되었다. 이 관습은 교회의 초기 단계에서부터 유래하였.. 신학자료 2011.03.03
[스크랩] 양태론(Modalism) 양태론(Modalism) 삼위일체 교리의 한 해석으로서, 삼위일체의 각 위를 신성 그 자체 속에 있는 본질적인 구분이 아니고, 신적 행동의 양태들로 보는 견해이다. 이와 같 은 견해는 군주론적 삼위일체론(monarchianism)의 한 형태로서, 주후 3세기 경 에 꽃을 피웠다. 이 견해를 지지하는 사람들은, 우선 나뉘어 .. 신학자료 2011.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