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선교적 관점에서 본 회심과 개종 (이용원) 선교적 관점에서 본 회심과 개종 이용원 I. 들어가는 말 부활하신 예수께서는 세상에 있는 그의 교회가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를 분명하게 말씀해주셨다. “아버지께서 나를 보내신 것처럼 나도 너희를 보낸다”(요 20:21)고 하시면서 “너희는 온 천하에 다니며 만민에게 복음을 전하라”.. 선교학 2012.09.16
[스크랩] 고대교회의 선교 (김영도) 고대교회의 선교 김영도 교수는 고려대학교(B. A.)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M. B. A.)와 장로회신학대학교(M. Div.)를 거쳐 미국 Princeton신학교(Th. M.)에서 수학하였으며, Union신학교(Ph. D.)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영남신학대학교에서 역사신학 전임강사로 봉직하고 있다. Ⅰ. 도입 예루살렘 .. 선교학 2012.09.16
[스크랩] 21세기와 컴퓨터 선교 (이영제) 21세기와 컴퓨터 선교 이영제 목사| 한국컴퓨터선교회 회장 서언 컴퓨터와 정보통신의 급속한 기술개발로 후기 산업사회, 정보화 사회, 지식 기반의 사회가 탄생한 것이다. 앨빈 토풀러는 이러한 변화를 그의 저서에서 "제3의 물결"로 표현했다. 이러한 사회의 지각변동은 이미 10-20년에 걸.. 선교학 2012.09.16
[스크랩] 21세기 세계선교의 동향과 전략적 이슈들 (정민영) 21세기 세계선교의 동향과 전략적 이슈들 정민영 (Asian Diaspora Initiative, Wycliffe International) 위대한 21세기 저명한 교회사가인 케넷 라토렛은 2천년 교회사를 정리한 그의 방대한 전집에서 개신교 선교의 새로운 시대가 열린 19세기를 ‘위대한 세기 the Great Century’라 명명했다. 윌리엄 캐리가 .. 선교학 2012.09.16
[스크랩] 인터넷선교에 대한 주목할 만한 연구 결과 인터넷선교에 대한 주목할 만한 연구 결과 인터넷 선교가 주목할 만한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미국 인터넷선교사역단체인 글로벌 미디어 아웃리치(Global Media Outreach)는 최근 전 세계 기독교인 10만 여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이 중 51%의 응답자가 “온라인을 .. 선교학 2012.09.16
[스크랩] 불교권 한국교회 선교전략 (신홍식) 불교권 한국교회 선교전략 들어가는 말 불교권은 크게 세 권역으로 나눌 수 있다. 스리랑카, 태국, 라오스 캄보디아 미얀마 등으로 구분되는 소승 불교권(Theravada Buddhism)과 한국 일본 중국 베드남 으로 구분되는 대승 불교권(Mahayana Buddhism)과 그외 몽고 티벧 부탄 등으로 구분 되는 신비 불.. 선교학 2012.09.16
[스크랩] 한국적 선교신학의 탐구(R&D): 두 선교신학의 합치성 모색 (신경규) 한국적 선교신학의 탐구(R&D): 두 선교신학의 합치성 모색 신경규 교수 (고신대 선교학) I. 들어가는 말 한국교회를 포함하여 세계교회의 신학에는 여러 종류의 선교 신학적 흐름이 있겠지만 그 중에서 현재 한국교회의 일치를 위해서 가장 첨예한 대립을 이루고 있는 두 가지 선교 신학.. 선교학 2012.09.16
[스크랩] 한국 개신교회의 선교역사 (황홍렬) 한국 개신교회의 선교역사 황홍렬 목사(한민족평화선교연구소 연구실장) 1. 들어가는 말 선교를 하나님의 뜻을 이 땅에 이루는 하나님의 선교에 교회와 그리스도인들이 참여하는 것이라고 하면 선교는 하나님의 뜻을 어떻게 이해하는가와 선교가 이뤄져야할 지역 상황에 대한 이해에 좌.. 선교학 2012.09.16
[스크랩] 19세기 후반 독일 개신교회의 선교에 대한 비판과 대안 (임희국) 19세기 후반 독일 개신교회의 선교에 대한 비판과 대안 임희국 I. 블룸하르트와 선교사들 1. 선교사 집안에서 자란 블룸하르트 블룸하르트(Christoph Friedrich Blumhardt: 1842-1919)는 독일 서남부 지역에 있는 작은 마을 뫼틀링엔에서 목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이 마을과 받볼에서 자랐고, 16세.. 선교학 2012.09.16
[스크랩] 한국 교회의 세계 선교에 나타난 걸림돌 한국교회의 세계 선교에 나타난 걸림돌 한국 교회는 서양 선교사들의 실수와 오류를 비판하면서도 한국 선교사들 역시 그것을 그대로 답습하는 것을 간과하고 있다. 예컨대 서양 선교사들이 문화적 우월주의에 입각해서 서구 문화를 무차별적으로 이식시키려 했다든가 아니면 서구의 강.. 선교학 2012.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