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구글, 한글날 기념 로고로 첫 화면 장식 구글, 한글날 기념 로고로 첫 화면 장식 (서울=뉴스와이어) 구글(www.google.co.kr)은 오늘 첫 화면을 한글날 로고로 장식해 국내 누리꾼들과 함께 세계적인 언어인 한글의 탄생을 기념했다. 삼일절, 광복절, 추석 등 한국의 명절과 국경일을 꼬박꼬박 챙겨 한국 사용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는 한국인 .. 민족-우리말 2008.10.09
[스크랩] 우리 말로 학문하기 (서화숙) 우리 말로 학문하기 서화숙 / 한국일보 편집위원 올해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는 일본인 일색이다. 고바야시 마코토 일본 고에너지가속기연구소 명예교수, 마스카와 도시히테 교토대 명예교수와 일본계 미국인인 남부 요이치로 시카고대 명예교수이다. 일본은 1949년 유카와 히데키가 물리학상으로 첫 .. 민족-우리말 2008.10.09
[스크랩] 옷 입고, 춤추고… `스물 넉자` 펄펄 납니다 옷 입고, 춤추고… '스물 넉자' 펄펄 납니다 9일 562돌 한글날 한국일보/원유헌기자 18년째 한글춤을 공연하고 있는 밀물현대무용단(단장 이숙재)의 한글 형상화. 올해도 ‘한글춤 2350’을 14일, 15일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공연한다. 18년째 한글춤을 공연하고 있는 밀물현대무용단(단장 이숙재)의 한글 .. 민족-우리말 2008.10.09
[스크랩] [사설]‘한글의 세계화’에 힘쓰자 [사설]‘한글의 세계화’에 힘쓰자 [ⓒ '글로벌 종합일간지' 아시아투데이] 설립 100주년의 한글학회가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빈약한 정부 보조금에다, 기업이나 시민들 후원도 미미하다 보니, 562돌 한글날 행사도 제대로 못 열 형편이라고 한다. 한글사전 편찬, 남북한 공동 표준말 연구, 문화지도 편.. 민족-우리말 2008.10.09
[스크랩] 한글 세계화 (김상온) 한글 세계화 한글이 없었다면 지금 우리의 문자 생활은 어떨까. 중국 문자인 한자나 일본처럼 한자에서 일부를 떼어내 만든, 글자 그대로 '가짜글'인 한국판 가나(假名)를 쓰고 있든지, 아니면 신라식 이두나 베트남처럼 서양 알파벳을 우리 문자로 사용하고 있을지 모른다. 그렇게 상상해보면 우리말.. 민족-우리말 2008.10.09
[스크랩] 한글을 활용한 도시환경 꾸미기 (이원태) 출처: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월간 <너울> 2008년 9월호 이원태 |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문화예술연구실장 한글은 우리나라의 정체성을 가장 잘 표현하는, 그 의미와 조형적인 형태 등을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는 문화적 소재다. 다만 한글을 활용한 조형물이나 문화상품을 개발하는 데 우리 문화의 정체.. 민족-우리말 2008.10.07
[스크랩] 한글의 우수성과 한류의 뿌리 (최기호) 출처: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월간 <너울> 2008년 9월호 최기호 | 외솔회장, 상명대 명예교수 우리 인류의 문화사에는 네 차례의 큰 변혁이 있었다. 그 변혁의 요소로서 말과 글과 인쇄술과 뉴미디어를 든다. 인류는 말을 함으로써 수렵사회를 이루었고, 글자를 만들어서 여러 가지 지식과 기술을 기록.. 민족-우리말 2008.10.07
[스크랩] 세계적인 석학들이 극찬하는 한글의 우수성 세계적인 석학들이 극찬하는 한글의 우수성 미국에 널리 알려진 과학전문지 디스커버리 지 1994년 6월호 「쓰기 적합함」이란 기사에서, ‘레어드 다이어먼드’라는 학자는 ‘한국에서 쓰는 한글이 독창성이 있고 기호 배합 등 효율 면에서 특히 돋보이는 세계에서 가장 합리적인 문자’라고 극찬한 .. 민족-우리말 2008.10.07
[스크랩] 세종대왕 다시 보기 세종 대왕 다시 보기 우리가 가장 존경하는 선각자 하면 세종대왕을 꼽는 사람이 많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들어가면 기껏 ‘한글 발명’ 말고는 제대로 답하는 사람이 많지 않다. 이제 우리는 눈을 바로 떠서 세종을 다시 볼 필요가 있다. 세계화 시대에 이 나라에서 이만큼의 위대한 상품이 없기 때문.. 민족-우리말 2008.10.07
[스크랩] 한글은 그 자체가 응용 가능한 24개의 디지털 기호로써 무한 표현 가능 한글은 그 자체가 응용 가능한 24개의 디지털 기호로써 무한 표현 가능 현재 지구상에는 3천여 종류의 말이 있지만, 사용되고 있는 글자는 60여 종류 정도뿐이다. 그런데 지구상에는 남의 글을 빌려 쓰거나 심지어 지금까지 아예 글자 생활을 하지 않는 공동체도 적지 않다. 그에 비해 한글은 1446년 10월 .. 민족-우리말 2008.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