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자학(朱子學)
중국 남송(南宋)의 주희(朱熹)가 완성한 신유학(新儒學).
육조시대(六朝時代)부터 수당시대(隋唐時代)의 사상계를 석권한 불교와 도교(道敎)를 극복하고, 번쇄하고 공허한 자구해석(字句解釋)에 빠졌던 장구학(章句學)에서 탈피하여 경서의 참된 정신과 공맹(孔孟)의 근본이 되는 취지를 밝히려는 송대(宋代) 유학의 완성이다. 이 학설은 북송(北宋)의 주돈이·장재(張載)·이정(二程)·소옹(邵雍) 및 그 학통과 관련되는 도학자의 학설을 집대성한 것으로, 특히 정이의 학통을 이어 계승, 발전시킨 것이다. 그러므로 정주학(程朱學)이라고도 한다. 주희에 따르면 주장이정(周張二程) 등은 요(堯)·순(舜) 이래 성인에게 전수되어 공자(孔子)에 이르고 또 공자의 가르침을 바르게 조술(祖述)한 맹자(孟子) 이후 단절된 참된 '도(道)'를 다시 부흥시킨 이들로, 자신은 그 계승자라고 자처하였다. 이 도통의 설과 밀접히 관련해서 공자·증자(曾子)·자사(子思)·맹자(孟子)로 이어지는 유학의 전수계통을 인정하고 사서(四書)를 중시하며 여기에 학문의 목적과 그 단계를 고려, 오경(五經)의 입문과 계제(階梯)의 서(書)로 삼았다. 그리고 사서에 주석을 달고 널리 경전을 연구하여 재해석을 시도하였는데 이것을 신주(新註)라고 한다.
주자학의 사상적 특징은 불교와 도교의 영향을 받으면서 이기심성학(理氣心性學)을 수립했다는 사실이다(성리학이라고도 한다). 이(理)와 기(氣)를 두 기둥으로 심고 생성론·존재론으로부터 심성론·수양론에 걸쳐 정연한 이론을 완성시켰다는 사실은 유학사상 전무후무한 일로서, 주희 이후 청(淸)나라 중기에 이르기까지 주자학파에 속한 학자는 물론이고 여기에 반대하는 학자들도 모두 주희의 이론을 그 토대와 출발점으로 삼았다. 특히 이의 사상은 정이, 기의 사상은 장재의 영향이 지대하였다.
형이하학적(形而下學的)인 기는 물질을 형성하는 근원이고 일기(一氣)의 유행에 따른 음양(陰陽)과 오행(五行)의 교감, 그리고 기의 결합에 의해서 만물이 형성된다는 것이다.
형이상학적(形而上學的)인 이는 소이연지고(所以然之故 : 사물이 존재하는 근거), 소당연지칙(所當然之則 : 사물의 당위(當爲)로서의 법칙) 또는 조리(條理)라고도 설명된다.
모든 사물은 기에 의해서 형성되고 이가 부여되는 것으로 설명되는데, 사물의 본성은 이의 내재태(內在態)이다(이를 性卽理(성즉리)라고 한다). 인간이 육체를 형성하는 기질의 저해를 제거하고 이 본성의 완전한 발현을 지향하기 위한 공부가 거경(居敬)과 궁리(窮理), 즉 격물치지(格物致知)이다. 또 이기는 원칙적으로 불상리(不相離)·불상잡(不相雜)의 관계에 있으나 이가 존재의 원리로서의 성격을 가졌기 때문에 이기의 선후가 문제되고, 이가 우월하다고 보는 것이다. 즉 이는 선천적인 것으로, 사물의 존재를 규정하는 근본원리이며 더욱이 도덕적 법칙이기 때문에, 인륜을 가르치기 위한 규범으로서 작용한다. 주희 이후 이의 성격과 이기의 관계를 둘러싸고 여러 가지의 의견이 속출하였다.
주자학은 주희의 말년에는 위학(僞學)으로 몰려 핍박을 받았으나 사후에 명예가 회복되어 관학(官學)으로서의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명(明)나라 성조(成祖) 때<사서대전(四書大全)> <오경대전(五經大全> <성리대전(性理大全)>등이 편집되어 과거(科擧)의 시험교재로 사용되었고, 주자학의 정통적인 지위는 청나라 말기까지 계속되었다.
우리나라에는 고려 말기에 전래되어 16세기 후반 이황(李滉)·이이(李珥)에 의해 주자학의 전성기를 맞이하게 되었으며, 학리상(學理上)의 논쟁도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중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中 종교인들, ‘紅歌’ 부르기 열풍? (0) | 2011.07.09 |
---|---|
[스크랩] 中종교계 "한국서 한 수 배우자" (0) | 2011.07.09 |
[스크랩] 중국의 종교와 사상-제5 부중국철학의 새로운 단계 ― 동서문명의 충돌과 모색 (0) | 2011.07.09 |
[스크랩] 중국의 종교와 사상-제4부 중국 전통철학의 절정기 ― 성리학의 성립과 굴절 (0) | 2011.07.09 |
[스크랩] 중국의 종교와 사상-제3부 중국 전통철학의 발전기 ― 유/불/도 삼교의 대립과 융합 (0) | 2011.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