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문자의 자전(字典)과 사전(詞典), 그리고 옥편(玉篇)
한자를 공부할 때 반드시 가지고 있어야 하는 것 - 그것은 바로 자전(字典)과 사전(詞典)이다. 자전과 사전은 한자의 정확한 형체를 아는데 도움이 되고, 독음과 의미를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문장 해석에도 도움이 된다.
자전은 문자 그대로 글자단위로 된 사전이고, 사전은 낱말단위로 된 사전이다. 그러므로 자전의 표제자는 모두 단자로 되어있으나, 사전은 표제자가 단자도 있으나(단자가 한 낱말인 경우) 두글자낱말로 된 것이 다수이다. 옥편은 자전에 구분 되어진다.
한글자의 자형과 독음, 의미를 모두 설명하고 있는 것을 자전이라고 정의했을 때, 우리가 현재 볼 수 있는 가장 오래된 자전은 허신이 지은 『설문해자』이다. 중국의 한자학은 바로 이 『설문해자』에서 비롯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설문해자』에서는 소전을 표제자로 수록하고, 음과 의미는 동일하면서 자형만 다른 이체자인 고문과 주문 등도 함께 수록하였으며, 각 글자별로 독음과 의미 설명도 분석한 자전이다.
본격적인 최초의 자전은 양대(梁代)에 고야왕(顧野王)이 편찬한 옥편(玉篇)이다. 최초의 옥편에는 1만 6917자가, 현존하는 옥편에는 2만 2561자가 수록되어 있다. 옥편은 설문해자와 같이 부수법을 취하고 있으나 그 종류에 변화가 생겨서 총 542부수로 한자를 분류한다. 옥편은 반절법을 이용하여 발음을 제시하고 있으며 한 글자에 대한 다양한 의미와 예문을 제시함으로써 오늘날의 자전과 유사한 체제를 갖추고 있다.
'중국어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잘못쓰기 쉬운 한국식 중국어 (0) | 2011.07.08 |
---|---|
[스크랩] 중국문자의 번체자(繁體字)와 간체자(簡體字) (0) | 2011.03.25 |
[스크랩] 중국 근대한자(近代漢字)의 구조 (0) | 2011.03.25 |
[스크랩] 중국 고대한자(古代漢字)의 구조 (0) | 2011.03.25 |
[스크랩] 중국 문자의 기원 (0) | 2011.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