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교회의 서진선교 개념
중국교회 안에서 “서진선교”라고 할 때에 그 의미는 다음과 같다. “중국과 예루살렘 사이에 있는 이슬람권 나라와 불교권 그리고 회교권 나라들을 선교하고, 계속 서쪽으로 나아가 예루살렘에 복음을 전파하고자 하는 중국 교회의 세계 선교를 향한 비전이다.”
이 비전은 초대교회에 예루살렘에서 시작된 복음전파가 이제 지구를 한 바퀴 돌아 다시 예루살렘에 이르게 된다면 그것이 바로 세계복음화의 완성을 의미한다는 신앙의 고백으로 시작된 것이다. 그리고 그 비전이 오늘날 중국 가정교회의 성도들에 의해 다시 살아나게 되었다. 곧 중국교회 안에서 “서진선교” 운동이란 이름이 생겨난 것은 중국을 기점으로 가장 복음화가 안 된 자신들의 서쪽 지역과 예루살렘까지 놓인 서쪽 국가들을 바라본데서 생겨난 이름이라 할 수 있다.
무엇보다 이 비전은 그 동안 전개 된 과정과 역사를 살펴 볼 때에 사람들에 의해 생겨난 것이 아니라 빠르게는 1920년대에, 다음으로는 1940년대에 중국 교회를 향해 하나님께서 부어주신 것이다. 수 십 년 간 이어진 전쟁과 국민당과 공산당의 내전으로 인해 피폐해질 대로 피폐해 진 중국교회를 향해 하나님은 일어설 것을 명령하시며, 그들 앞에 “서진”이라는 비전을 허락하셨다. 그리고 이 비전이 하나님으로부터 주어졌을 때 중국교회는 자신들의 상황을 돌아보지 않고 하나님의 명령에 겸손히 순종했다. 이렇게 순종하여 일어난 운동을 가리켜 오늘날에는 “백 투 예루살렘 운동”이라 일컬으며, 중국 가정교회 안에 새로운 희망과 용기를 불어 넣고 있는 것이다.
지금 중국 지하 가정교회는 예루살렘까지 복음을 전하기 위해 새로운 모습으로 변하고 있다. 서진선교를 주장하는 중국교회의 특징은 다음 몇 가지로 요약 할 수 있다.
첫째, 현재 중국교회는 여전히 고난 받고 있는 교회이다.
오늘도 중국 지하 가정교회들은 순간마다 조여 오는 중국 공안당국의 감시를 피해 숨을 죽이며, 고난을 각오하고 복음을 붙들고 신앙을 지키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고난 받는 교회가 세계복음화를 위한 마지막 비전인 서진선교의 비전을 가졌다. 기독교 2,000년의 역사는 언제나 고난이 강력한 선교의 원동력이었음을 증거 해 준다. 고난 속에서도 성도들은 결코 로마나 그 밖의 칼 날 앞에 굴복하지 않았다. 오히려 고난 중에 기도하며 더 힘 있게 복음을 전했다.
둘째, 중국 교회가 선교를 받는 교회에서 선교하는 교회로 급속하게 바뀌고 있다.
복음의 능력과 성령의 충만함을 경험한 교회는 가만히 있을 수가 없다. 생명은 자라남이 그 기본적인 특징이기 때문이다. 생명이 자라면 그 결과는 자연스럽게 열매를 맺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고난 중에 성장한 중국교회는 서진선교의 비전을 품고 세계선교의 대열에 동참하고 있다.
셋째, 서진선교의 비전은 고난당하는 피선교국가인 중국교회에서부터 세계 여러 교회와 선교사들이 동참하는 선교비전으로 등장했다.
랄프 윈터가 스스로 고백한 것처럼 이제 백인들이 주도하던 선교의 시대는 저물었다. 이미 지난 세기 말을 기점으로 세계선교의 흐름은 서구교회 중심에서 제3세계교회, 특히 아시아의 교회로 급속히 이동하고 있는 증거들이 선교 형장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 한국교회가 미국에 이은 제2의 선교사 파송국가가 된 것은 우연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마찬가지로 아직 고난 받고 있는 중국교회로부터 전 세계적인 선교전략으로 서진선교가 주창되어지는 사실은 매우 중요한 현실이다. 곧 선교의 주체는 사람이 아니라 성령이심을 다시 한 번 우리는 경험하게 되는 것이다.
넷째, 중국 가정교회는 고난 속에서 익힌 경험을 따라 서진선교를 위한 구체적 전략을 가지고 있다.
먼저는 중국 교회가 집중적으로 선교사를 파송할 51개의 미복음화 국가들을 선정했고 파송할 선교사들을 지원할 인프라를 구축해가고 있다. 헤터웨이가 기록한 책 “백 투 예루살렘”을 보면 이 구체적인 전략에 대해 잘 소개하고 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어떤 형태로든지 분파주의나 교파주의에 굴복하지 않겠다.
2). 교회 건물을 건축하는 일에 관심이 없다.
3). 교회가 없는 지역에만 선교를 할 것이다.
4). 현지의 그리스도인과 동역하겠다.
5) 마24:14절의 말씀 을 온전히 이루기 위해 주님의 명령에 순종하겠다.
6) 선교는 주님을 사랑하는 마음과 잃어버린 세계를 향한 열정이 자격 조건이다.
중국 가정교회는 이러한 전략을 따라 고대 동서 간 전쟁과 무역의 루트였던 실크로드를 최대한 활용하여 다양한 계층의 자비량 및 평신도 전문인선교사들을 파송하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다섯째, 고난에 대비하고 있다.
위의 책에서 우리의 흥미를 끄는 것은 고난을 겪어본 중국교회가 서진선교를 위해 고난을 구체적으로 준비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고난에 대비하여 그들은 문화의 장벽을 극복하는 방법, 특정한 대상에게 전도하는 방법, 주님을 위해 고난과 죽음을 맞이하는 방법, 주님을 위한 증인이 되는 방법, 탈출하는 방법 등 매우 실제적인 선교훈련을 하고 있다고 소개하고 있다.
'중국의 기독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중국교회와 백투 예루살렘운동 (함태경) (0) | 2009.08.28 |
---|---|
[스크랩] 중국교회의 "서진선교" 역사 (0) | 2009.08.28 |
[스크랩] 21세기 선교의 가장 중요한 주제, “서진선교” (0) | 2009.08.28 |
[스크랩] 백투예루살렘의 시작과 흐름, 그리고 세계교회 연대 (김성찬) (0) | 2009.08.28 |
[스크랩] "Back to the Jerusalem" 운동에 대한 이해와 한국교회 중국선교 (한철호) (0) | 2009.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