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조직신학 논문 17편 조직신학 논문 1. 자유주의 신학의 하나님 나라 이해(HWP 파일) 2. 크리스토프 블룸하르트의 하나님의 나라 운동(HWP 파일) 3. 칼 바르트의 '하나님의 나라' 이해(HWP 파일) 4. 칼 바르트의 신학은 어떻게 변화되었는가? 5. 레온하르트 라가츠의 종교사회주의(HWP 파일) 6. 이데올로기와 민족희년의 과제(HWP.. 신학자료 2011.09.17
[스크랩] 일반 성도들을 위한 요약 <조직신학> 제1과 계 시(啓示)(1) 1. 존재 목적 하나님께서는 우리가 알고 인정하고 믿는 대로 자존(自存)하시며, 완전하시며, 영원 불변하시며, 창조주이시며, 모든 것을 홀로 주권 통치하시며, 보존하시며, 섭리하시며, 심판하시며, 보응하시는 유일신(唯一神)이다. 1) 모든 존재는 그로 말미암고, 그로 인하여 생명.. 신학자료 2011.09.17
[스크랩] 신학/논문 자료 신학 자료 논문 자료 신학 연구소 · 신학하는 친구들 · 박경철의 신학 정보 마당 · 전철의 신학동네 · Bible For Today-D.A.Waite · 정일권의 현대 신학 연구 · 성결신학연구소 · 성경대로 믿는 사람들 · 김중환 신학자료 · 노재관 칼빈주의 · 신학자료실 · 조직신학자료실 · · 이덕휴의 신학포.. 신학자료 2011.09.17
[스크랩] “성경신학”(“Biblische Theologie”)이란 무엇인가? “성경신학”(“Biblische Theologie”)이란 무엇인가? 김창선교수 1. 들어가면서 우리 교계는 성경에 남다른 애착을 갖고 있다. 이러한 애착은 주일 아침 고급스런 가죽 장정의 성경을 손에 들고 발걸음을 교회로 재촉하는 뭇 교인들의 모습에서 엿볼 수 있으며, 또한 개 교회마다 여러 종류의 성경 공부반.. 신학자료 2011.09.17
[스크랩] 조직신학 논문 모음 조직신학 논문 1. 자유주의 신학의 하나님 나라 이해(HWP 파일) 2. 크리스토프 블룸하르트의 하나님의 나라 운동(HWP 파일) 3. 칼 바르트의 '하나님의 나라' 이해(HWP 파일) 4. 칼 바르트의 신학은 어떻게 변화되었는가? 5. 레온하르트 라가츠의 종교사회주의(HWP 파일) 6. 이데올로기와 민족희년의 과제(HWP.. 신학자료 2011.09.17
[스크랩] 평신도를 위한 51주 신학공부 평신도를 위한 51주 신학공부 제 1 장 : 서 론 1. 종교란 무엇인가? 2. 왜 그리스도敎인가? 3. 우리는 무엇을 믿는가? 제 2 장 : 우리가 믿는 하나님 (神論) 1. 하나님의 자기 계시(啓示) 방법 2. 하늘에 계신 하나님(本質) 3. 세상중에 계시는 하나님(性品) 4. 일하시는 하나님(使役) 5. 인류와 세계의 구원을 예.. 신학자료 2011.09.17
[스크랩] 기독론(Christology, 基督論), 예수 그리스도 기독론(Christology, 基督論), 예수 그리스도 1) 기독론의 개요 주후 325년 5~6월 콘스탄티누스 황제에 의해 개최된 니케아 회의는 부활절에 관하여 동방은 유월절을 지키고 서방은 주일을 지키는 문제로 소집되었으며, 또한 아리우스(Arius)설로 인한 교회 분열을 염려한 내용이 주요 안건이었습니다. 이처럼.. 신학자료 2011.09.06
[스크랩] 三位一體論 三位一體論 -어거스틴- 제1권 이 책을 쓰는 목적은 이성을 오용해서 삼위일체 신앙을 공격하는 궤변가들을 반박하려는 것이다. 그들은 믿음으로 출발하는 것은 체면 손상으로 여기며 이성을 도착적으로 사랑한다. 그들의 오류는 3가지이다. 성경은 이러한 오류를 제거하면서 점진적으로 신적 사물로 .. 신학자료 2011.09.05
[스크랩] 삭제된 사도신경 원문 사도신경 ‘음부에 내려가사’ 구절, 논란 크리스천투데이 / 김진영 기자 성도들 혼동 막기 위해 ‘제대로’ 가르쳐야 ▲성경 베드로전서 4장 6절에는 “이를 위하여 죽은 자들에게도 복음이 전파되었으니…”라고 적혀 있다. 소위 ‘음부강하설’과 관련돼 논란이 되는 구절이다. ⓒ김진영 기자대한.. 신학자료 2011.08.20
[스크랩] 마르틴 루터의 95개조 반박문 번역본 마르틴 루터의 95개조 반박문 번역본 1517년 10월 31일 비텐베르트 성의 대학교회 정문에 대자보가 게시되었다. 이러한 논재를 게시했던 루터는 처음에 이 일이 유럽일대와 전 세계의 종교개혁을 가져오리라고는 생각도 하지 못했다. 이 글은 결국 처음 의도했던 것보다 더 근본적인 교회의 개혁을 요구.. 신학자료 2011.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