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신학용어 197選 신학용어 197選 001. 가경(Apocrypha) 헬라어 '아포크리포스'로 번역하면 '숨긴 것'이란 뜻이다. 그러므로 가경은 일반인에게 공개되지 않은 책들을 가리킨다. 공개되지 않은 이유는 그 내용에 문제성이 많기 때문이 다. 그 문제성 가운데 그 저작들이 알려지지 않은 사실과 그 책들의 교훈이 진리에서 이 탈.. 신학자료 2011.10.22
[스크랩] 기독교 강요 요약 기독교 강요 요약 소망이란 참으로 하나님께서 약속하셨다고 믿는 모든 것에 대한 기대 이외에 아무 것도 아니다. 이처럼 신앙은 하나님께서 신실하심을 믿는다. 소망이란 하나님께서 미래의 적당한 때에 그의 진실하심을 나타내시리라고 기대한다. 신앙이란 하나님께서 우리의 아버지이심을 믿는다.. 신학자료 2011.10.10
[스크랩] 기독교 교리 개요 [제7판] 김효성 목사 2009년 <기독교 교리 개요> 한글파일(hwp97) 내려받기 기타 자료 내려받기 내용 목차 ♣♧♣♧♣♧♣♧ [서론--성경에 관하여] 1. 하나님의 존재하심 2. 기독교의 확실성 3. 계시(啓示)와 성경 4. 성경의 신적 권위 5. 성경의 무오성(無誤性) [하나님에 관하여] 6. 하나님의 속성들 7. 하.. 신학자료 2011.10.06
[스크랩] 기독교 교리 개요 [제7판] 김효성 목사 2009년 <기독교 교리 개요> 한글파일(hwp97) 내려받기 기타 자료 내려받기 내용 목차 ♣♧♣♧♣♧♣♧ [서론--성경에 관하여] 1. 하나님의 존재하심 2. 기독교의 확실성 3. 계시(啓示)와 성경 4. 성경의 신적 권위 5. 성경의 무오성(無誤性) [하나님에 관하여] 6. 하나님의 속성들 7. 하.. 신학자료 2011.10.06
[스크랩] 칼빈의 설교에 나타난 설교 패턴과 특징들/정성구 박사 칼빈의 설교에 나타난 설교 패턴과 특징들 정성구 박사 1.서론 종교 개혁자 칼빈은 목회자요 설교자였다. 칼빈의 설교는 강해 설교이며, 그것도 연속강해 설교이다. 우리가 칼빈을 말할때 지나치리 만큼 그를 교의학자로 또는 주석가로 연구하기 때문에, 목회자요 설교자로서의 그의 면모는 비교적 강.. 신학자료 2011.10.01
[스크랩] 칼빈과 웨슬레 사이에서.. 칼빈과 웨슬레 사이에서.. 저는 전통적인 장로교인으로 자랐습니다. 한국 장로교 중에서도 대표적인 보수파인 합동 측(총신대학교를 신학교로 가진 교단)에 속한 교회에서만 신앙생활을 했습니다. 주일학교 다닐 때부터 내용도 잘 모르는 ‘개혁주의신앙’에 대해 귀가 따갑도록 들었습니다. 장로교.. 신학자료 2011.09.27
[스크랩] 헤롯왕가와 팔레스타인 총독 헤롯왕가와 팔레스타인 총독 1. 신약시대의 정치적 배경 로마의 황제들 시대 황제 성경의 사건 BC27-AD14 가이사 아우구스투스 (옥타비아누스) 예수의 출생, 나사렛에서 소년시절 AD14-37 디베료 가이샤 (티베리우스) 예수의 공생애 때의 황제, 죽으심, 부활 AD37-41 갈리굴라(가이우스) 교회의 성장, 바울의 .. 신학자료 2011.09.24
[스크랩] 기독교 교리사 - 서론 기독교 교리사 - 서론 제1장 서론 Ⅰ. 교의(敎義 Dogma)의 의미 1. 어원적 의미 헬라어 δοκ&#941;ω 에서 인출된 말이다 δοκ&#941;ω μοι 라는 표현은 It seem to me (내게 그래 보인다) I think it as established through (내 의견은 그렇다), ‘나는 그 결론에 도달하였다’‘나는 확실히 안다’‘그것은 내.. 신학자료 2011.09.17
[스크랩] 기독교 교리의 발생 기독교 교리의 발생 Ⅰ. 속사도 교부들의 교리 1. 속사도 교부들 (1) 바르나바스(Barnabas), (2) 헤르마스(Hermas), (3) 로마의 클레멘트(Clement) (4) 폴리카푸스(Poycarpus 69-155) (5) 파피어스(Papias -150) (6)이그나티우스(Ignatius) 2.. 속사도 교부들의 저서 (1) 바나바 : 바나바서 - 히브리서와 비슷한 내용의 책이다 (2) 헤.. 신학자료 2011.09.17
[스크랩] 통일의 신학적, 교회적 이해 (심창섭) 통일의 신학적, 교회적 이해 심창섭(총신대 신대원교수) I. 들어가는 글 통일이란 여러 개체가 하나로 합쳐지는 의미가 있지만 보다 서로 다른 개체들이 협력하고 조화를 이루는 화해의 의미도 있다. 개체의 연합을 통한 물리적인 통일이 이루어진다 해도 서로간의 불협화음속에서 화해의 질서와 평화.. 신학자료 2011.0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