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신학공부를 올바로 하려면 신학공부를 올바로 하려면 리종연 목사(진명교회) 널려있는 게 신학교인 때이다. 좋은 일인지는 두고 볼 일이다. 그런데 저마다 최고 라고 선전하여 학생을 끌어모으려고 혈안이다. 인가는 받았는데, 합법으로 문은 열었는데 학생을 채우려니 공급이 딸리는 현상이다. 이른바 이름난 몇.. 신학자료 2012.04.07
[스크랩] “하느님”이 아니라 “하나님”이라는 “하느님”이 아니라 “하나님”이라는 제84총회 보고서 pp. 338 ~ 343 “하느님”이 아니라 “하나님”이라는 칭호의 정당성 하나님의 자기 계시로서의 역사는 하나님의 본질적인 이름을 구체적으로 표현한 것이며, 또 하나님의 자기묘사(自己描寫)는 역사상에 나타난 하나님의 계시를 통.. 신학자료 2012.03.28
[스크랩] 사순절을 교회의 절기로 지킬 것인가? 사순절을 교회의 절기로 지킬 것인가? 제83회 총회(합동) 보고서 pp. 412 ~ 420 서 론 21C를 목전에 두고 있는 한국교회에 두 가지 우려의 목소리가 교회 주변에서 들려오고 있다. 그동안 세계교회에 유례없이 급격하게 성장 번영하던 한국교회가 성장 발전이 멈추고 침체되고 있다는 것이.. 신학자료 2012.03.02
[스크랩] 요한 웨슬리 신학과 우리나라 교회의 신학적 재정립의 필요성 요한 웨슬리 신학과 우리나라 교회의 신학적 재정립의 필요성 한민수목사 한국성서대학교 성서학과 졸업 서울시립대학교 철학과 졸업 세종대 행정대학원 행정학과 졸업 총신대 신학대학원 신학과 졸업 총신대 대학원 신학과 구약신학전공 졸업 크리스챤치유상담연구원 일반과.. 신학자료 2012.02.18
[스크랩] 교회개혁을 위한 25개 신학 논제 교회개혁을 위한 25개 신학 논제 교회 안에서 실종되었던 예수를 다시 찾는 일이 교회의 본질을 회복하는 첫걸음이다. 김준우 (한국기독교연구소 소장, 기독교윤리학 전공) 1. 한국교회 개혁을 위한 단체들이 생겨나기 시작한 지 십여 년이 지났다. 이것은 군사독재 정권이 1960년대.. 신학자료 2012.02.14
[스크랩] 창조신앙(創造信仰) 창조신앙(創造信仰) 서철원 목사(총회신학교 교수) < 차 례> 1. 고대민족들의 창조 사상 2. 창조신앙-성경종교에만 3. 수고없는 창조 4. 하나님의 경륜 5. 창조의 방법 6. 창조주(創造主) 7. 창조 기간 8. 창조의 크기 9. 창조의 목표 10. 인간의 창조와 사명 11. 창조신앙의 증명 1. 고.. 신학자료 2012.02.03
[스크랩] 창조냐 진화냐 창조냐 진화냐 1. 진화론부터 창조과학까지 '창조과학' 언뜻 보기에는 '창조'라는 논리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단어와 '과학'이라는 논리적인 단어가 합쳐진 모순된 낱말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창조과학'이라는 것은 잘못된 이론인 진화론이 아직도 일반적인 정.. 신학자료 2012.01.26
[스크랩] 평신도신학 [平信徒神學, theology of the laity] -핸드릭 크래머 평신도신학 [平信徒神學, theology of the laity] -핸드릭 크래머 요약 교회에서 평신도의 위치를 되찾으려는 신학운동. 본문 1954년 세계교회협의회(WCC) 에반스턴 회의에서 기초적인 작업이 시작되었다. 이후 1958년 헨드릭 크래머의 《평신도신학》이 출판된 뒤부터 전문용어로 자리잡.. 신학자료 2012.01.23
[스크랩] 구원론 제1장 구원의 개념 1. 구원 역사에 있어서 삼위 하나님의 역사는 무엇인가? 1) 성부 - 계획 2) 성자 - 성취 3) 성령 - 적용 2. 교의학상의 구원론의 다른 명칭은 무엇인가? 성령론 3. 칼빈주의 구원관의 특징을 무엇인가? 구원이 인간의 노력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전적인 하나.. 신학자료 2011.12.30
[스크랩] 하나님, 하느님 용어에 대한 안내말씀 '하나님' 용어를 기독교가 아닌 사람이 쓰는 것에 대하여 이의가 있는 분들이 있습니다. 그리고 '하나님'은 기독교(목사교) 에서 쓰는 기독교 신 이름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하나님=하느님'은 분명히 우리 한민족 고유 용어입니다. 리조시대 박인로의 노계가사에도 훈민정음 표기.. 신학자료 2011.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