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YHWH(神聖四文字; 신성사문자)와 아빠 아버지 YHWH(神聖四文字; 신성사문자)와 아빠 아버지 여호와는 누구신가? 말할 것도 없이 여호와는 하나님이십니다. 천지 만물을 말씀으로 창조하신 분이시고 우리 인류를 창조 하시고 일남일녀(一男一女)를 짝지어 주시고 복을 주시되 생육하고 번성하여 땅에 충만 하라 땅을 정복하라 바다의 .. 신학자료 2013.12.22
[스크랩] 장로교 예배 모범의 전통 -이승구 목사 Ⅲ.춘계학술 세미나(2004.5.27) 1.이승구 목사 : 장로교회의 예배 이해와 장로교 예배 모범의 전통(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조직신학 교수) 가.총신대학교 졸업(B.A) . 서울대학교 대학원 졸업. 합동신학원 졸업 나.the University of St.Andrews 신학석사 (M.Phil.) 및 신학박사(Ph.D) 다.현 국제신학대학원.. 신학자료 2013.11.26
[스크랩] 현대신학 특강 정리 (이승구교수) Chapter 8 현대신학 특강 정리 ― 20세기의 신학을 어떻게 볼 것인가? ― 1999년 7월 16일 발 표 자 이승구 교수 강의정리 권우강 목사 Ⅰ. 강의 정리자의 변 Ⅱ. 몇 가지 안내 서적 Ⅲ. 20세기 신학의 동향들 1. 20세기 신학의 배경으로서의 19세기 신학의 특성: 내재주의 2. 20세기 신학의 출발점 : B.. 신학자료 2013.11.26
[스크랩] 조직신학(1) 강의 내용 요약(이승구 교수)| 조직신학 I 국제신학 독일분교. 2008년 8월 20-26. 독일 프랑크푸르트. 강의자: 이승구 교수. 정리자: 문정은, 송다니엘. 정리자가 임의로 내용구분을 하고 소제목을 달았다. 이에 주로 벌코프의 책을 참조함. “성경의 영감”은 원래 신론에 해당되지 않지만, 강의자 편의대로 삼위일체내에서.. 신학자료 2013.11.26
[스크랩] 無神論(무신론)과 有神論(유신론) 無神論(무신론)과 有神論(유신론) 無神論(무신론)과 有神論(유신론) 불교는 무신론의 종교요 기독교는 유신론의 종교다 이것이 불교와 기독교의 근본적 차이점이다 이 차이점의 당연한 결론으로서 불교는 自力主義(자력주의)의 종교요 기독교는 他力主義(타력주의)의 종교라는 명제가 .. 신학자료 2013.03.30
[스크랩] 현대 신학의 흐름 Schleiermacher부터 볼트만까지 현대 신학의 흐름 Schleiermacher부터 볼트만까지 <서론> 현대 신학은 현대 철학이나 과학보다 조금늦게 시작되었다. 18세기 유럽의 지성계를 지배한 데카르트-뉴톤적인 현대 세계관과 사고방식은 기독교 신앙에 중대한 도전으로 대두되었다. 이는 전통 신학의 모든 전제들을 문제시하고.. 신학자료 2013.03.21
[스크랩] 루터, 칼빈, 쯔빙글리에 대한 이해 루터, 칼빈, 쯔빙글리에 대한 이해 1, 루터파와 칼빈파 그리고 쯔빙글리파 의 다른 점과 공통점 구 분 루 터 칼 빈 쯔 빙 글 리 국적 독일 프랑스 스위스 신학의 중심 그리스도 중심 하나님의 절대적 중심 하나님 의지 중심 신학의 출발 이 신 득 의 만인제사장 하나님의 절대주권 사상 예정.. 신학자료 2012.12.31
[스크랩] 신학의 역사 신학의 역사 서론 신학이라는 개념: 간략한 서론 신학(theolgy)이라는 용어는 신(theos)과 말(logos)이라는 두 헬라어로 간단히 구분된다. 따라서 신학은 “신에 관한 말” 이다. “신학” 이라는 말은 성경에서 유래한 것은 아니나 초기 교부시대에 종종 기독교 신앙의 특정 측면을 언급하기 .. 신학자료 2012.12.06
[스크랩] 진리의 복음과 다른 복음 진리의 복음과 다른 복음 복음(Gospel)은 복된 소식 이며 하나님께서 우리의 구원자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죄 많은 인간들에게 알려 주신 구속의 은혜이며 경륜이다. 성경에 기록된 복음을 상고하고 진리와 뜻을 깨닫고 그 크신 은혜 중에 감사와 기쁨의 시간이 되어야하다. 1.왕국의 .. 신학자료 2012.12.03
[스크랩] 바울의 법신학(2) 第 三 節 성서의 네 이웃 Ⅰ. 이웃법-이상적인 인간의 법****지승원 박사논문과 법과 사회철학 창간호**** Ⅱ. 네 이웃은 누구인가? 성서에서 네 이웃을 사랑하라고 하면서 그 이웃을 정확히 적시해 주는 것은 없다. 다만 가난한 자, 불우한 자, 과부 등 생활이 어려운 자를 유추해 볼 수 있다.. 신학자료 2012.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