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김세윤 교수의 유보적 칭의론 유감 김세윤 교수의 유보적 칭의론 유감 최덕성 | 123 김세윤 교수(풀러신학교)는 “행함 있는 믿음으로 구원 받는다”고 역설한다. “믿음만으로 구원 받는다”는 종교개혁자들의 이론에 결함이 있다고 본다. 자신이 주장하는 새로운 칭의론이 종교개혁을 완성할 복음이라고 한다. 이른바 '유.. 교리학 2016.02.10
[스크랩] 인자"(the Son of man)란? 인자"(the Son of man)란? 바이블파워사람들이 일반적으로 갖고 있는 “인자”에 대한 개념은 “인간으로 오신 그리스도”, 즉 겸손하신 예수, 또는 인간을 구원하시는 예수 등이다(마 11:19; 17:9; 18:11). 그도 그럴 것이 인자로서의 모습이 주로 그려져 있는 누가복음에는 유대인뿐만 아니라 이.. 교리학 2016.02.10
[스크랩] 교리의 필요성을 절감하게 하는 설교를 듣다. 교리의 필요성을 절감하게 하는 설교를 듣다. / 박영돈 목사 교리의 필요성을 절감하게 하는 설교를 듣다. 잘 알려진 목사의 설교를 들었다. 그는 복음을 교리로 믿어서는 안 된다고 역설했다. 성경은 분명히 예수를 믿으면 죄를 안 짓게 된다고 했는데 왜 우리는 그렇게 살지 못하는가? .. 교리학 2016.02.10
[스크랩] 주경신학의 정의 주경신학의 정의 1) 신학적 입장에서 성경 해석을 하는 성경 신학 주해라 할 수 있다. 2) 성경 해석 주해를 신학적으로 논한 것을 주경 신학이라 한다. 주경신학은 관점의 학문이다 말씀에서 풀고 말씀에서 해석을 하여 교회에 말씀이 충만하게 하기 위한 바른 꼴(말씀) 이 있게 하기 위한 .. 교리학 2016.02.10
[스크랩] 칼빈의 5대 교리 탄생의 역사적 배경 칼빈의 5대 교리 탄생의 역사적 배경 프랑스의 위대한 개혁자「존·칼빈」(John Calvin, 1509-1564)은 교회역사에 전무후무한 정통기독교 교리를 체계화시킨 신학자이다. 그것은 교리뿐만 아니라, 교회의 행정, 성도의 신앙생활, 인간사회 생활 전반에 걸친 위대한 개혁이었다. 성경중심주의와.. 교리학 2016.02.10
[스크랩] 예정론 1: 그 얘기를 꼭 해야 돼? 예정론 1: 그 얘기를 꼭 해야 돼? 대니얼 하이드(Daniel Hyde) 이제부터 예정론 시리즈를 시작하려 한다. 그렇다. 예정론에 대한 이야기다. 이것은 고상한 사람들 사이에서 꺼내기에는 그리 큰 인기가 없는 주제이다. 사실, 사람들 사이에 분열을 조장 하기 딱 알맞은 주제 아닌가? 5세기, 어거.. 교리학 2016.02.10
[스크랩] 주경신학(註經神學, exegetical theology) 주경신학(註經神學, exegetical theology) 1. 주경신학(註經神學, exegetical theology) 주경신학은 성경을 원어를 중심으로 석의하는 것을 말한다. 말씀에서 풀고 말씀에서 해석을 하여 바른 말씀이 있게 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학문이다. 주경신학의 핵심은 성경 신학인데 이것은 하나님의 계시를 .. 교리학 2016.02.10
[스크랩] 성경신학(Biblische Theologie)이란 무엇인가? 성경신학(Biblische Theologie)이란 무엇인가? - 최근 독일 성서학계의 한 중심 주제 - I. 들어가면서 우리 교계는 성경에 남다른 애착을 갖고 있다. 이러한 애착은 주일 아침 고급스런 가죽 장정의 성경을 손에 들고 발걸음을 교회로 재촉하는 뭇 교인들의 모습에서 엿볼 수 있으며, 또한 개 교.. 교리학 2016.02.10
[스크랩] 주경신학과 조직신학 주경신학과 조직신학 조직신학[systematic theology]은 교의신학[dogmatic theology]이라고도 한다. 대대로 교회 안팎의 도전과 물음에 대해 성경에 최종근거를 놓고, 일반은총의 여러 분야의 계시를 힘입어 진리를 변증하여 드러내는 가르치는 분야이다. 일명 교리인데 교회의 가르침이다. 특히 교.. 교리학 2016.02.10
[스크랩] 종말론-사후세계 풀어쓴 신학-종말론 : 사후세계 사람들은 대부분 사후세계에 대해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영혼은 육체를 떠나서도 과연 존재를 하는 것인가. 또 존재를 한다면, 어디서 어떻게 지내는 것인가 하는 등의 질문을 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데 살아있는 사람은 아무도 죽음 이후에.. 교리학 2016.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