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성경론 성경론 1. 신조의 필연성 1) 신조는 신앙을 정의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2) 신조는 규범이나 기준, 표준을 정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3) 신조는 기독교 교육과 선교의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2. 성경과 신조의 관계 1) 신조는 성경에 의한 인간의 산물로서 상대적이고 제한적이다. 2).. 교리학 2016.01.31
[스크랩] 종말론(終末論)| 종 말 론 1. 철학에 있어서의 종말론 플라톤은 죽음 이후에도 영혼이 계속 존재한다는 영혼 불멸성을 가르쳤다. 그러나, 스피노자의 범신론 철학에서는 이러한 종말론 사상이 존재하지 않았다. 칸트는 그의 실천이성비판에서 영혼 불멸을 주장하였으나, 19세기 관념론적 철학은 다시 범신.. 교리학 2016.01.31
[스크랩] 기 독 론 기 독 론 1. 세계 5개의 공동신조 중 기독론이 확립된 신조의 내용 1) 니케아 신조 : 아리우스의 그리스도 신성 부정을 물리치고, 그리스도의 신성 확립 2) 콘스탄티노플 신조 : 아폴리나리우스의 그리스도 인성 부정과, 마케도니우스의 그리스도 신성 부정을 물리침. 그리스도의 인성 확립 .. 교리학 2016.01.31
[스크랩] 신 론 신 론 1. 하나님 존재의 성경적 증거 1) 그리스도인은 하나님이 계신 것을 믿음으로 받아들인다. 2) 영감으로 된 성경에 특별계시하였다. (히11:6) 3) 자연을 통해 일반계시하였다. (롬1:19~20) 4) 성경은 전제하는 것이지 증명하는 것이 아니다. (창1:1) 2. 하나님 존재에 대한 그릇된 신관 1) 범신.. 교리학 2016.01.31
[스크랩] 계 시(啓示) 계 시(啓示) 1. 존재 목적 하나님께서는 우리가 알고 인정하고 믿는 대로 자존(自存)하시며, 완전하시며, 영원 불변하시며, 창조주이시며, 모든 것을 홀로 주권 통치하시며, 보존하시며, 섭리하시며, 심판하시며, 보응하시는 유일신(唯一神)이다. 1) 모든 존재는 그로 말미암고, 그로 인하여.. 교리학 2016.01.21
[스크랩] 자유의지에 대한 연구 자유의지에 대한 연구 인간의 삶에 대해서 이야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질문이 있다. 바로 인간이 그의 삶을 스스로 결정하는가, 아니면 이미 결정된 삶을 그냥 살아가는 것인가 하는 점이다. 만약 스스로 결정한다면 그 결정의 능력이 정말로 있는지,또 그 관계는 어느 정도이고,결정의 .. 교리학 2016.01.21
[스크랩] 천사론 천사론 천사, 사탄 그리고 귀신의 교리 천사의 정의 천사 : 히브리어 말락(malak)은 단순히 사자란 의미이다. 그것은 인간 사자를 가리키거나(왕상 19;2) 혹은 하나님의 사자를 가리켰다(창 28:12). 이 말의 기본적인 의미는 ‘보냄을 받은 자’이다. 하나님의 사자로서 천사는 하나님에 어떤 .. 교리학 2016.01.19
[스크랩] 토마스아퀴나스가 말하는 인간의 일곱가지 죄 토마스아퀴나스가 말하는 인간의 일곱가지 죄 13세기에 살았던 성직자 토마스 아퀴나스는 인간이 저지르는 7가지 죄를 다음과 같이 말했다. 첫째는 성욕으로 다른 것보다 더 뚜렷하게 성적 욕망에 이끌리는 것, 둘째는 대식으로 정도를 넘어서 음식에 욕심을 내어 먹고 마시는 것, 셋째는.. 교리학 2016.01.19
[스크랩] 구원론 구원론 구원론(Soteriology)은 성령께서 그리스도의 속죄사역을 하나님의 택하신 자들에게 적용하시는 과정을 정리한다. 구원론은 성령의 사역론이다. 구원에 관한 진리는 구원의 필요성과 방법과 결과 등의 주제들을 포함한다. 이 주제들은 하나님의 복음 전체의 요약이다. 이 셋 중, 구원.. 교리학 2016.01.17
[스크랩] 교리문답이란 무엇인가 교리문답이란 무엇인가 Q. 성경을 가장 효과적으로 배우고 가르치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A. 교리문답입니다. Q. 교리문답이란 무엇입니까? A. 성경의 교리를 문답식으로 가르치는 것입니다. Q. 왜 문답식으로 가르치는 것이 좋습니까? A. 질문을 하면 내용을 알고 있는지 모르고 있는지를 분.. 교리학 2016.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