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상숭배인 제사(祭祀)를 성도가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1. 들어가는 말
한국교회는 명절 때 차례나, 조상 기일이 되면 제사(祭祀) 문제 때문에 어려움을 많이 겪어왔습니다. 제사는 한국의 전통문화 중 가장 비중이 큰 예절(제례)문화입니다. 유교는 부모에 대한 존경을 사람됨의 기초로 생각하고 제사는 효(孝)의 연장선에서 파악합니다. 그러므로 동양적인 문화에서는 제사(祭祀)를 드리는 것은 우상숭배(偶像崇拜)가 아니라, 효도(孝道)의 행위이고, 미풍양속(美風良俗)이므로 기독교인들 중에도 제사를 드리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또 어떤 목회자 분은 제사(祭祀)는 조상님들을 섬기는 효도행위지 우상숭배(偶像崇拜)가 아니라고 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기독교인들 중에도 혼돈하고 있는 분이 많습니다.바울을 비롯한 성경의 가르침은 제사(祭祀)가 무익할 뿐 아니라, 귀신(鬼神)에게 드려지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히고 있습니다(고전10:20). 이에 한국교회는 제사를 거부했고 그로 인해 많은 박해를 받았으며 후에는 일제의 신사참배 거부로 시련을 겪기도 하였습니다. 그러나 그러한 굳건한 신앙을 견지한 선배들 덕분에 오늘의 기독교는 그 순수함을 지킬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꽤 오래 전부터 제사(祭祀)가 우상 숭배가 아니라, 하나의 미풍양속(美風良俗)에 불과한 것이라는 주장이 대두되기 시작하였습니다.
천주교는 이미 오래 전에 제사(祭祀)가 종교 행위가 아니라는 교황의 교서를 내렸습니다. 과연 제사는 우상 숭배인가, 미풍양속인가? 그것이 우상숭배라면 우리는 단호히 대처해야 할 것이고 미풍양속(美風良俗)이라면 잘못된 편견을 버리고 그것을 수용하는 것이 마땅할 것입니다. 그러나 제사는 효도도 아니고 조상숭배인 우상숭배(偶像崇拜)라는 것을 분명히 알아야 합니다.
2. 제사(祭祀)의 의미
조상숭배제사 제례(祭禮)는 신(神)의 뜻을 받아 복(福)을 비는 의례입니다. 조상숭배인 제사에 대한 제례가 가장 발달한 시기는 조선 후기입니다. 고려시대에는 불교가 통치 이념이었기 때문에 조상에 대한 인식이 희박했습니다. 따라서 조상 제사 숭배 의례도 발달하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조선은 치국이념으로 성리학을 채택하였고, 성리학의 중요 내용 가운데 하나가 바로 “예(禮)”입니다. 특히 “주자가례(朱子家禮)는 조상숭배의례에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제사(祭祀)의 의미는 조상숭배에 대한 의례 행위라는 이해가 필요합니다. 그것은 조상은 누구이며 자손들과는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가를 먼저 알아보는 일입니다. 한국인들의 생활과 문화 속에서는 조상들은 죽지 않고 살아 있습니다. 즉 사람이 죽으면 그날로 잊혀지고, 산 사람과는 단절되는 문화가 아니라. 즉 조상들은 죽었지만 자손들과 관계가 단절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이 같은 조상에 대한 인식은 통과의례에서 여실이 보여줍니다.
첫째로 제사의 의미로서는 한 사람이 조상이 되는 시작이 환갑의례입니다. 곧 환갑부터 죽음까지는 “살아 있지만 죽은 조상”의 대접을 받는 단계라고 볼 수 있습니다.
둘째로 제사의 의미로서는 “죽었지만 살아 있는 노인” 대접을 받는 상청(喪廳)의 단계입니다. 죽은 뒤부터 탈상 때까지 3년 동안은 장남 집의 마루에 혼백을 모신 상청을 마련해 놓습니다. 이 기간 동안 산 자손은 죽은 조상을 위해 상식(上食)을 올리고 생신도 지내 드립니다. 또 그 집에 찾아온 손님은 제일 먼저 상청에 인사를 드린 다음에 다른 사람에게 인사해야 합니다. 이 밖에도 평소에 담배를 좋아했다면 담배도 피워 놓는 등 마치 집안에 살아 계신 어른처럼 대접합니다. 3년 탈상 전까지는 죽었지만 산 사람으로 대접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셋째로 제사의 의미로서는 제사기간입니다. 탈상이 끝나면 상청에 있던 혼백은 장남 집의 사당에 모시게 됩니다. 제사 기간 동안 그 조상은 적어도 1년에 4번 이상 자손으로부터 대접을 받습니다. 곧 본인의 기제사 날, 배우자의 기제사 날 그리고 설날과 추석의 차례입니다. 이 제사 기간은 약 1백 년 동안 계속 됩니다. 그것은 1대를 25년으로 잡아 4대(고조)가 될 때까지 제사를 받기 때문입니다.
넷째로 제사의 의미는 시제입니다. 종손으로부터 4대조 이상이 되면 사당의 위패는 장손의 집을 떠나 묘에 묻히면서 먼 조상이 됩니다. 시제대상이 된 조상에게는 1년에 한 번씩 대개 음력 10월이나 3월에 문중 자손들이 묘에 찾아와 차례를 올립니다. 이 묘제는 영원히 계속됩니다.제사의 의미를 정리해 보면 우리 조상들은 크게 네 단계로 나뉘어서 후손으로부터 대접을 받습니다. 곧 첫 단계는 환갑에서 사망까지로서, 살아 있지만 죽은 것으로서 산 조상의 단계입니다.
둘째 단계는 사망에서 탈상까지 죽었지만 “살아 있는 노인” 대접을 받는 상청 시기의 단계입니다. 당음은 상청 기간이 끝나고 자손집의 사당에 조상으로 모셔져서 1년에 4번 대접을 받는 제사 기간입니다. 마지막은 1년에 한 번씩 묘지에서 자손들과 만나는 시제 기간입니다. 따라서 제사의 의미는 조상은 죽었지만 자손의 기억과 생활 속에서 영원히 살아 있다는 것을 의미 하는 것입니다.
1) 역사로 본 제사(祭祀)중국의 공자이전 하(夏)나라와 상(商)나라 때에 제사(祭祀)를 지낸 기록이 있습니다. 부모에게 드린 것이 아니고, 뛰어난 황제에게 지냈습니다. 제사(祭祀)의 이론적인 뒷받침은 송나라 주희(주자)가 유, 불, 도교의 영향을 받은 유교철학(성리학)을 만들어 처음으로 조상에게 반드시 제사를 지내야한다고 강조한 것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예서(禮書)에 의하면 “제왕은 하늘에 제사지내고, 제후는 산천에 제사지내며, 사대부(士大夫)는 조상에게 제사지낸다.”고 했습니다. 이것은 온 세상을 다스리는 제왕에게는 천지가 절대자이고, 한 지역을 다스리는 제후에게는 산천이 절대자이며, 그렇지 않은 사인(私人)에게 있어서의 절대자는 조상이라는 데에서 연유한 것입니다. 세시(歲時)풍습(風習)에서 조상에게 제사를 지내는 까닭은 효(孝)를 계속하기 위함입니다, 그러므로 죽은 조상을 섬기는 제사(祭祀)를 일러 “효를 계속하는 곳” 이라고 합니다.
2) 한국의 제사(祭祀)의 역사삼국시대나 고려시대는 특수한 왕만 제사(祭祀)를 지냈습니다. 불교(佛敎)가 성행했던 때에는 조상에게 제사(祭祀)지내지 않고, 13세기말 고려 말에 유교의 성리학 영향으로 사람들이 사당(위패나 신주를 모시고 제사 드리는 곳)을 짓고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조선시대에는 나라의 종교를 성리학으로 결정하고 조상(祖上)의 제사를 태조(太祖)가 장려하였으나 평민들은 처음에는 제사에 별 관심이 없었습니다. 제사(祭祀)를 장려한 교육적 목적은 덕이 있는 사람이 되어 제사를 받도록 노력하라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후에 점점 제사가 평민들까지 성행하게 되었습니다. 제사(祭祀)는 한국의 것이 아니라 중국의 풍속(風俗)입니다. 13세기 억지로 왕가에서 강요해서 생긴 풍속입니다. 유교에서 온 풍속이 한국에 정착된 것입니다.제사(祭祀)는 중국의 계급사회를 반영합니다. 원래는 왕, 제후, 충신과 같은 상류층에서만 제사를 지내게 했습니다. 제사(祭祀)를 지내야만 궁중의 위대한 신하가 나온다고 믿었습니다.
주나라 때는 홍제는 7개, 큰 제후는 5개, 작은 제후는 3개, 제상들은 2개, 관원과 스승은 1개의 사당을 갖고 그곳에서 제사를 지내고, 평민들은 무덤에 가서 제사(祭祀)지내게 했습니다.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에 와서 이 질서가 깨지고, 제사(祭祀)가 일반화되었습니다. 고려 말엽 공민왕 2년에 정몽주가 제정한 제사(祭祀)규정을 보면 3품관 이상은 증조부모까지 3대를 제사지내고, 6품관 이상은 조부모까지 2대, 7품관이하 서인들은 부모까지만 제사(祭祀)를 지내라고 했습니다. 제사도 신분에 의한 차별을 두고 있습니다.
그러니 그 당시 칠품 이상의 관원은 불과 20% 미만으로 일반국민의 80% 상당의 인원이 칠품이하의 관이나 서인이었기 때문에 전 국민 중 대부분은 부모제사만 지냈습니다. 조선조의 경국대전에서도 이런 신분에 따른 제사 제도가 지속되었습니다. 그러다 1894년 갑오경장(甲午更張)으로 신분제도가 철폐되면서 모두가 앞을 다투어 고조부모까지 4대를 제사지내게 되었습니다. 신분제도(身分制度)가 철폐되면서 상위자가(관원) 조부모까지 하향하지 않고, 서민들까지도 고조부모까지 상향해서 제사를 지내게 되었습니다.
그러던 것이 1969년에 제정된 가정의례준칙(家庭儀禮準則)을 통해 조부모까지의 제사를 권장하고 있지만 아직은 그것이 확산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입니다.글자 그대로 제사는 조상섬기는 우상숭배(偶像崇拜)입니다. 분명하게 제사란 종교적인 우상숭배이며, 그것은 제사 의식을 통해서도 확인됩니다. 우선 지방의 내용을 보면 “현고학생부군신위(顯考學生府君神位)”라고 씁니다. 여기 신위(神位)라는 말은 신(귀신)이 앉았다는 뜻입니다. 제사는 돌아가신 조상신(祖上神)이 나타나 굽어 살펴 달라는 뜻입니다.
그러니 제사는 하나님께 죄(罪)가 됩니다. 죽은 자를 기념하지 말라 하셨기 때문입니다. 제사는 분명히 조상신(祖上神)을 묘사하고 있고, 참신(參神), 강신(降神), 초헌(初獻), 축문(祝文)등은 모두가 산 사람이 아닌 죽은 조상을 신으로 여기는 말에 해당합니다. 제사(祭祀)가 진정 효도(孝道)라면 중국으로부터 제사가 들어오기 전에는 제대로 효도(孝道)를 하지 못했다는 얘기가 될 것이며, 제사를 지내지 않는 서양이나 다른 나라의 사람들은 모두 불효자(不孝子)인 셈입니다.
( 본 주제가 계속 연재 됩니다)
서재생목사(서울대현교회)
'불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불교(佛敎)와 기독교(基督敎) 어떻게 다른가? (비교론) (1) (0) | 2012.11.26 |
---|---|
[스크랩] 절에 침입해 탱화에 낙서하고 청수그릇에 소변보는 것이 성경적인가? (0) | 2012.11.26 |
[스크랩] 기독교 신앙과 제사문제 어떻게 이해?(2) (0) | 2012.11.26 |
[스크랩] 기독교 신앙과 제사문제 어떻게 이해?(3) (0) | 2012.11.26 |
[스크랩] 기독교 신앙과 제사문제 어떻게 이해?(4) (0) | 2012.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