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V. 결론
지금까지의 논의를 정리해 볼 때, 구한말 개신교의 급속한 성장에는 여러 요인이 있었음
을 알 수 있다. 이것을 100년전에 한반도에 먼저 들어온 천주교와 비교해 보면서 여러 차이
점이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국외적으로는 조선 정부가 더 이상 쇄국정책을 유지할 수가 없었던 것이다. 비록 대원군
일파가 민비 일파에게 권력 투쟁에서 밀려난 결과라고 볼 수도 있겠으나, 분명히 과거와 같
이 서방문물을 무조건 반대하고서는 견딜 수 없도록 국외정세가 바뀌었던 것이다. 여기에다
일본의 한반도에 대한 야욕이 더욱 더 커진 상태이기 때문에, 고종의 아관파천에서 볼 수 있
듯이, 외국의 세력을 적극적으로 끌어들일 수 밖에 없는 상황이 전개된 것이다. 이것은 외국
의 세력을 막고 터부시 했던 100년전의 상황과는 완전히 다른 배경을 보여준다.
국내적으로는 사회개혁적인 집단들이 있었는데, 이들은 구시대를 청산하고 새로운 사회
를 건설하는 기반을 기독교에서 찾았다. 또 출세에 목적을 둔 일단의 무리들도 영어공부와
신문물을 배우기 위해 어쩔 수 없이 기독교를 접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또 점점 나라의
기운이 기울자 일단의 애국지사들은 기독교를 통하여 나라를 구하고자 하였고, 이 운동이 실
패하자 현실에 만족을 못하는 이들이 기독교의 내세관에 깊이 빠져든 것이다.
선교사들도 영적인 열심이 있었고, 비교적 인도 등에 진출한 영국 선교사들과는 달리,
정치적으로 자유롭게 본국의 간섭을 받지 않으면서 구령운동에 전념할 수 있었다. 또한 직접
적인 복음전도도 하였지만 그보다는, 성경번역, 한글보급, 의료, 교육, 사회개혁 등을 통하
여 일반 민중들에게 좀더 친근하게 접근하였다. 그리고 더 나아가 각 기독교 교파별로 분열
하지 않고 어느정도 협력하였으며, 네비우스 선교정책도 어느정도 성공을 거두었다고 보겠
다.
이 모든 것을 다시 종합하고 본 팀이 내린 결론은, 한국에 내린 개신교가 성공을 거둘
수 있었던 배경에는 영적인 요인 이외에도, 국가적, 정치적, 사회적, 개인적 요소가 많았다
는 것이다. 그러므로 강근환 박사님의 의견대로, 초기 한국 기독교의 급성장의 원인에는 영
적인 요인 이외에도, 첫째는 이기적인 입교동기와, 둘째는 사회정치적 정황의 영향에 있다고
보겠다. 1907년에 있었던 평양의 대부흥을 이런 맥락에서 볼 때, 물론 영적인 은혜도 있었지
만, 이미 이전부터 부흥되어오던 교회의 한 흐름이었고, 국가의 장래가 암울해지자 내세에
소망르 두려는 도피주의적인 부흥운동이었다고 강근환 박사님은 논하였다.
{{
) 강근환, [신학과 선교] 제 9집, '한국 개신교회 초기에 있어서의 교세 급성장에 댕나 요
인과 문제성 고찰', p.105.
}}
그러므로 초기
한국 기독교가 부흥할 수 있었던 요인에는 영적, 사회적, 정치적, 개인적인 요인이 모두 결
합되었던 것이다.
지금까지의 논의를 정리해 볼 때, 구한말 개신교의 급속한 성장에는 여러 요인이 있었음
을 알 수 있다. 이것을 100년전에 한반도에 먼저 들어온 천주교와 비교해 보면서 여러 차이
점이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국외적으로는 조선 정부가 더 이상 쇄국정책을 유지할 수가 없었던 것이다. 비록 대원군
일파가 민비 일파에게 권력 투쟁에서 밀려난 결과라고 볼 수도 있겠으나, 분명히 과거와 같
이 서방문물을 무조건 반대하고서는 견딜 수 없도록 국외정세가 바뀌었던 것이다. 여기에다
일본의 한반도에 대한 야욕이 더욱 더 커진 상태이기 때문에, 고종의 아관파천에서 볼 수 있
듯이, 외국의 세력을 적극적으로 끌어들일 수 밖에 없는 상황이 전개된 것이다. 이것은 외국
의 세력을 막고 터부시 했던 100년전의 상황과는 완전히 다른 배경을 보여준다.
국내적으로는 사회개혁적인 집단들이 있었는데, 이들은 구시대를 청산하고 새로운 사회
를 건설하는 기반을 기독교에서 찾았다. 또 출세에 목적을 둔 일단의 무리들도 영어공부와
신문물을 배우기 위해 어쩔 수 없이 기독교를 접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또 점점 나라의
기운이 기울자 일단의 애국지사들은 기독교를 통하여 나라를 구하고자 하였고, 이 운동이 실
패하자 현실에 만족을 못하는 이들이 기독교의 내세관에 깊이 빠져든 것이다.
선교사들도 영적인 열심이 있었고, 비교적 인도 등에 진출한 영국 선교사들과는 달리,
정치적으로 자유롭게 본국의 간섭을 받지 않으면서 구령운동에 전념할 수 있었다. 또한 직접
적인 복음전도도 하였지만 그보다는, 성경번역, 한글보급, 의료, 교육, 사회개혁 등을 통하
여 일반 민중들에게 좀더 친근하게 접근하였다. 그리고 더 나아가 각 기독교 교파별로 분열
하지 않고 어느정도 협력하였으며, 네비우스 선교정책도 어느정도 성공을 거두었다고 보겠
다.
이 모든 것을 다시 종합하고 본 팀이 내린 결론은, 한국에 내린 개신교가 성공을 거둘
수 있었던 배경에는 영적인 요인 이외에도, 국가적, 정치적, 사회적, 개인적 요소가 많았다
는 것이다. 그러므로 강근환 박사님의 의견대로, 초기 한국 기독교의 급성장의 원인에는 영
적인 요인 이외에도, 첫째는 이기적인 입교동기와, 둘째는 사회정치적 정황의 영향에 있다고
보겠다. 1907년에 있었던 평양의 대부흥을 이런 맥락에서 볼 때, 물론 영적인 은혜도 있었지
만, 이미 이전부터 부흥되어오던 교회의 한 흐름이었고, 국가의 장래가 암울해지자 내세에
소망르 두려는 도피주의적인 부흥운동이었다고 강근환 박사님은 논하였다.
{{
) 강근환, [신학과 선교] 제 9집, '한국 개신교회 초기에 있어서의 교세 급성장에 댕나 요
인과 문제성 고찰', p.105.
}}
그러므로 초기
한국 기독교가 부흥할 수 있었던 요인에는 영적, 사회적, 정치적, 개인적인 요인이 모두 결
합되었던 것이다.
출처 : 두손선교회
글쓴이 : ysong777 원글보기
메모 :
'신학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한국 교회에서 가장 왜곡되어진 성경 두 구절 2) 금식 기도의 놀라운 능력 (0) | 2012.10.04 |
---|---|
[스크랩] 한국 교회에서 가장 왜곡되어진 성경 두 구절 1) 하나님의 말씀에는 다 짝이 있다! (0) | 2012.10.04 |
[스크랩] 프로테스탄트 한국 선교 초기의 일반적 배경 - III. 한말의 상황과 개신교 선교 및 교회성장과의 관계성 (0) | 2012.10.04 |
[스크랩] 프로테스탄트 한국 선교 초기의 일반적 배경 - III. 한말의 상황과 개신교 선교 및 교회성장과의 관계성 B. 종교적 혼란 (0) | 2012.10.04 |
[스크랩] 프로테스탄트 한국 선교 초기의 일반적 배경 - III. 한말의 상황과 개신교 선교 및 교회성장과의 관계성 A. 정치사회적 혼란 (0) | 2012.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