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 종교적 혼란
근대 한국은 종교적으로 공백상태에 있었다. 예를 들어 불교는 이미 조선조 전기부터
억불책(억불책)으로 인하여 쇠미해져서 서울 시내엔 무당과 함께 승려를 천시하여 출입이 금
지 되다시피 되었다. 그리고 유교마저 이미 이념적으로나 현실적으로 국민으로 부터 소외
되어 있었다.
{{
) 심일섭, op. cit., p. 141.
}}
외국의 선교사들에게는 한국에는 종교가 없는 것으로 보이기도 하였다.
F.A. Mckenzie는 당시 서울(1905)에는 종교적 의식을 집행하는 예배 처소가 하나도 없다고
보고했다.
{{
) 민경배, [한국기독교회사], op. cit., p. 121.
}}
그러나 당시에 종교 형식이 잠적되었을 뿐 본질적인 한국인의 심성은 종교적이
었다. 한국인의 전통적인 종교적 심성이 어떤 것이냐 하는데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많겠지
만, 유교의 종교적 국면이 완전히 제거된 근대 한국에서는 새 종교에 대한 일종의 갈망이 현
상적으로 널리 퍼져 있었다고 추정해서 좋을 것이다.
{{
) 민경배, [한국기독교회사], op. cit., p. 120.
}}
. 이러한 현상이 기독교 선교에 준
영향을 소극적인면과 적극적인면으로 볼 수 있는데, 소극적인 면으로는 재래 종교의 약화 현
상이 한국 선교에 크게 공헌하였으며, 적극적인 면으로는 그러한 풍부한 종교적 배경에서 형
성된 한국인의 심성이 새 종교인 기독교를 수용하는데 공헌 하였다.
{{
) 강근환, 한국개신교의 성장에 미친 초기 선교정책의 영향, [신학사상], 한국신학연구소
p. 621.
}}
. 즉 한국인들은 지금
까지의 여러종교가 자신들의 삶을 이끌어 줄 수 없게되자 새로운 종교를 갈망하게 되었던 것
이다.
근대 한국은 종교적으로 공백상태에 있었다. 예를 들어 불교는 이미 조선조 전기부터
억불책(억불책)으로 인하여 쇠미해져서 서울 시내엔 무당과 함께 승려를 천시하여 출입이 금
지 되다시피 되었다. 그리고 유교마저 이미 이념적으로나 현실적으로 국민으로 부터 소외
되어 있었다.
{{
) 심일섭, op. cit., p. 141.
}}
외국의 선교사들에게는 한국에는 종교가 없는 것으로 보이기도 하였다.
F.A. Mckenzie는 당시 서울(1905)에는 종교적 의식을 집행하는 예배 처소가 하나도 없다고
보고했다.
{{
) 민경배, [한국기독교회사], op. cit., p. 121.
}}
그러나 당시에 종교 형식이 잠적되었을 뿐 본질적인 한국인의 심성은 종교적이
었다. 한국인의 전통적인 종교적 심성이 어떤 것이냐 하는데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많겠지
만, 유교의 종교적 국면이 완전히 제거된 근대 한국에서는 새 종교에 대한 일종의 갈망이 현
상적으로 널리 퍼져 있었다고 추정해서 좋을 것이다.
{{
) 민경배, [한국기독교회사], op. cit., p. 120.
}}
. 이러한 현상이 기독교 선교에 준
영향을 소극적인면과 적극적인면으로 볼 수 있는데, 소극적인 면으로는 재래 종교의 약화 현
상이 한국 선교에 크게 공헌하였으며, 적극적인 면으로는 그러한 풍부한 종교적 배경에서 형
성된 한국인의 심성이 새 종교인 기독교를 수용하는데 공헌 하였다.
{{
) 강근환, 한국개신교의 성장에 미친 초기 선교정책의 영향, [신학사상], 한국신학연구소
p. 621.
}}
. 즉 한국인들은 지금
까지의 여러종교가 자신들의 삶을 이끌어 줄 수 없게되자 새로운 종교를 갈망하게 되었던 것
이다.
출처 : 두손선교회
글쓴이 : ysong777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