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자료

[스크랩] 프로테스탄트 한국 선교 초기의 일반적 배경 - II. 개신교 선교 초기의 대체적 상황 C.초기 선교사의 사역 1. 출판 및 한글보급

수호천사1 2012. 10. 4. 13:41
C.초기 선교사의 사역

개신교 한국 선교초기의 배경 중에 또 하나 중요한 요소는 바로 한국에 들어온 선교사의
한국에 대한 애정과 그들의 사역일 것이다. 선교사의 헌신적인 선교활동과 정열이 바로 한국
교회의 초기 성장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초기 선교사들의 선교활동 중에 공통적
인 요소는 그들이 직접적인 복음을 전하기 보다는 우회적인 방법을 선호하였다는 것이다. 이
것은 물론 직접적인 복음선포를 무시하였다는 의미는 아니다. 그러나 구한말 직접적인 복음
사역보다는 간접적 선교사업이 더 일반 대중에게 큰 의미를 주었다. 그 중에서도 의료, 교
육, 출판, 사회개혁은 초기 기독교 성장에 두드러진 역할을 하였다. 그리고 한일합방 이전에
는 선교사들의 한국에 대한 애정이 있었음이 드러난다. 이는 아시아와 아프리카에 진출하여
토착인들보다 자국의 이익을 더 앞세워 토착인들의 반발을 산 다른 국가의 선교사와는 비교
된다.

1. 출판 및 한글보급
천주교와 달리 개신교는 선교초기부터 성경보급에 대한 강한 열의가 있었다. 1866년 무
장한 미국 상선 제너럴 셔먼호에 승선하여 통역 겸 안내자로 온 토마스 선교사의 죽음에 대
하여 의혹과 찬사가 엇갈리고 있지만, 분명한 것은 그가 죽기전에 중국 성경책을 전한 것만
은 사실이다. 1907년 평양에서 부흥운동이 일어날 때, 어느 사람이 선교사에게 성경책을 주
며 "이것이 우리 할아버지께서 토마스 목사가 죽을 때 얻은 성경이다"라고 한다.
{{
) 이만열, [한국 기독교사 특강], (서울:성경읽기사, 1989), p. 36
}}

1882년 스코틀랜드의 장로교 선교사인 로스(Ross)목사가 만주에서 맥킨타이 목사와 한인
이응찬과 함께 '마가복음', '누가복음'을 번역 출판하였고 1887년에는 신약성경을 완역하여
'예수성교 젼셔'라고 하였다. 그러나 이 성경의 번역원문이 한문이었고 관서지방의 사투리
가 많아 널리 용인되어 사용되지 않았다. 예를 들어 "나는 참포도 남기오 나의 아반이는 농
민이라"(요15:1)이라
{{
) 채기은, op. cit., p.48
}}
하였다.
이러한 때 성경번역을 간절히 바라는 열망이 한국교인들 사이에 있었다. [대한 크리스도
인 회보] 1898년 5월 4일자에 보면 "평양에 사는 교우 한 분이 편지하였기로 좌 기재하노
라... 한문성경을 국문으로 번역하는 일은 어찌나 되었는지 답답하옵니다. 예수를 믿는 사
람의 양식은 성경이온대 한문을 모르는 사람은 남녀간에 국문으로 번역한 성경 나래 보내시
기를 배고픈 자의 밥과 목마른 자의 물과 같이 기다리오니..." 라 하였다.
1884년에는 이수정이 협조하여 일본에서 [마가복음]을 번역 출판하였고 1887년에는 [성
경번역위원회]가 조직되었으며, 1900년에는 신약전서를, 1910년에는 구약전서를 번역 출판하
였다. 개신교가 로마 카톨릭과 선교정착에서 달랐던 점 중에 하나가 바로 성경번역이었다.
개신교의 정통에 따라 성경을 중요시 여김으로서 성경번역을 하고 한글을 보급함으로서 일반
대중들도 쉽게 기독교에 접할 수 있는 길을 마련하여 준 것이다.
1888년에 입국한 북감리교 선교사 올린저(F.Ohlinger)는 삼문출판사를 설립하였고 1890
년에는 기독교 서회의 전신인 야소교 서회를 감리교와 장로교의 합동으로 설립하였다.
{{
) 이만열, Ibid., p.98
}}

또한 신문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는데, [죠선 그리스도인 회보](1898년 3월 2일)에는 "개
명의 긴요한 것, ...대저 나라이 개명되는 것은 백성이 열리는데 있고 백성이 열리기는 각항
신문과 서책에 있으나..."라 하였다. 그리고 한글을 깨우치고자 하는 열망이 강하였다.
{{
) Ibid., p. 99
}}

[그리스도 신문] 1902년 5월 22일자에 보면 "... 교인 중에 한문으로 성경을 보는 이도 별로
없고 더구나 국문으로 보는 이도 몇이 못되더니 금년부터는 주일 오후마다 국문공부를 착실
히 한다 하니 성경의 뜻을 많이 깨닫고 영혼의 양식을 넉넉히 만들기에 ... 뿐더러 문자상에
도 유식한 사람들이 되겠더라."
{{
) Ibid., p.101
}}
그러므로 구한말, 기독교의 신문, 출판사업과 성경보급은
무지한 일반대중을 일깨우는 귀중한 도구가 되었고 이는 기독교에 호감을 갖도록 인도하였
다.

출처 : 두손선교회
글쓴이 : ysong777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