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자료

[스크랩] 프로테스탄트 한국 선교 초기의 일반적 배경 - II. 개신교 선교 초기의 대체적 상황 B.대외적 상황 3.청의 접근

수호천사1 2012. 10. 4. 13:40
3.청의 접근
a) 청의 압력
1882년 군인봉기를 진압한 청은 조선에 주둔한 군사력을 배경으로 '조청상민수륙무역장
정(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의 체결을 강요하였다.
{{
) 한국역사연구회, op. cit., pp.235-236.
}}
이 장정은 조선이 청의 예속국이라는 규
정을 명시하였을 뿐아니라, 치외법권 서울과 양화진의 시장개방 및 청국상인의 내지 통상권
연안어업권 연안무역권과 청국군함의 연안행정권까지 허용하여 일본과 체결한 조약보다 더욱
불평등한 내용을 포함하였다. 한편 청은 아편전쟁의 패배와 태평천국의 난등을 진압하는 과
정에서 근대화를 추진하였다. 근대화 운동은 어느 정도 소기의 목적을 달성한 것처럼 보였으
나, 청 불전쟁과 청 일전쟁의 패배로 유럽의 열강과 일본의 침략을 받게 되었다. 또한 청 일
전쟁의 패배후 하관조약등으로 인해 조선은 청의 예속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었다.
b) 청 일전쟁
1894년 조선에서는 농민봉기(동학군)가 일어났다. 동학군이 정부에 요구한 것은 단지 탐
관오리에 대한 숙청과 일본상인의 축출이었으나 고종이 청국에 원병을 청하여 청국군함이 아
산만에 1894년 6월 12일 경에 도착하였다. 이 사실을 안 일본은 병력을 조선에 침투시키고 7
월 25일 일본해군은 아산 앞바다에서 청국군함을 불시에 포격하여 청일전쟁을 도발하고야 말
았다. 결국 청 일전쟁은 일본의 승리로 끝나게 되었고, 일본은 조선에 독점적 세력을 부식케
되었다.
{{
) 강근환, op. cit.,
}}

출처 : 두손선교회
글쓴이 : ysong777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