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자료

[스크랩] 프로테스탄트 한국 선교 초기의 일반적 배경 - II. 개신교 선교 초기의 대체적 상황 B.대외적 상황 2.일본의 접근

수호천사1 2012. 10. 4. 13:40
2.일본의 접근
a) 일본의 상황
당시 일본은 구미 열강에 의해서 개국을 맞고 있었다. 1858년에 미국 네덜란드 러시아
영국 프랑스 등과 차례로 불평등한 수호통상조약을 체결하였다.
{{
) 도히 아키오(토비소부), [일본기독교사] 김수진 역, (서울:기독교문사, 1991), p.16.
}}
일본은 정치 사회 경제적
근대화 개혁을 추진하고 열강의 제국주의 정책에 편승하여 대륙침략을 시도함으로써 열강의
대열에 참여하고자 하였다. 일본에 기독교가 도입된 시기는 도쿠가와 막부(덕천막부) 말기였
다. 국내외 정세에 영향을 받았던 막부는 여러 국가와 통상조약을 체결하였지만 국내에서는
개국론과 양이론(양이론)이 서로 싸움을 벌였고, 이것이 좌막파(좌막파)와 반막파(반막파)의
격돌이 되기도 했다. 이미 약해진 막부 세력은 사스마(살마), 죠슈(장주)를 중심으로 해서
일어난 막부 타도 세력에 의해 무너지고 말았다. 여기에 메이지유신(명치유신, 1868)이 실현
되었다. 새 정부는 왕정복고(왕정복고)를 부르짖으며 천황을 정점으로 하여 통일 정권하에
강력한 중앙집권적 관료기구를 확립하는 한편 부국강병, 식산흥업(식산흥업)을 슬로건으로
내세우고 구미 열강의 압박으로 부터 독립된 국가를 건설하는데 힘을 쏟았다. 이 일을 위해
서 서구 문명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개화정책을 취하였다. 1870년대부터 80년대에는 이러한
기운과 그 반대 기운이 교차하는 격동의 시기라고 말할 수 있다.
{{
) Ibid., p.37.
}}

b) 조일수교
미국 프랑스에 이어 일본도 조선을 침략해 왔다. 일본은 미국이 자기 나라를 무력으로
개항시킨 방식
{{
) 1854년 도쿠가와 막부(덕천막부)가 미국의 M. Perry제독의 함포위협에 굴복하여 불평등
하게 체결한 미일화친조약(미일화친조약). 심일섭, "한말 개항사상과 기독교 수용과정에 관
한 연구" [신학사상] 제28집, (서울:한국신학연구소, 1980), p. 150.
}}
을 모방하여 1875년 운양호 사건을 도발하고 1876년 초에는 이 사건을 구실
로 부산항에 군대를 불법상륙시켜 조선인을 살륙 약탈하고 개항을 요구 하였다. 일본의 무력
위협에 대응할 만한 군사력이 없었던 정부는 박수규등의 자주적인 개국통상론과 청나라 사신
의 권유를 받아들여 문호개방 요구에 응하였다. 조선은 1876년 2월 일본과 '조일수호조규(조
일수호조규)'를 맺고 7월에 그 내용을 구체화한 '조일수호조규부록'과 잠정적 통상협정인
'조일무역규칙'을 조인하였다. 이 조약으로 조선은 자본주의 세계체제에 종속적으로 편입되
었다.
{{
) 한국역사연구회, op. cit., pp. 234-235. 이 조약들은 불평등조약으로 무관세 무역, 치
외법권, 일본 화폐 사용등을 허용했고, 결국 조선정부는 이 조약의 체결로 일본의 경제적 침
략에 무방비상태로 놓이게 되었다.
}}

c) 하관조약
{{
) 1895년 4월 청 일간에 맺은 조약으로 이조약을 통하여 청일전쟁은 일본의 승리로 끝나고
일본은 조선을 독점하는 계기가 되었다. 강근환, "한국개신교회 초기에 있어서의 교세 급성
장에 대한 요인과 문제성 고찰" op.cit., p.93.
}}
과 일본의 의도
일본은 하관조약의 제1조에 그들의 전략적 상투 구절인 "조선의 자주독립국"임을 내세웠
으나, 그것은 청의 조선에 대한 종주권을 거부하기 위한 것이었다. 다시 말하여 청일전쟁의
결과로 빚어진 청일간의 조약은 조선에 대한 청국의 종주권을 일본으로 교체하는 일이나 다
름이 없었다. 그 결과 일본의 조선에 대한 내정간섭은 노골적으로 강화 되었다.
d) 로 일전쟁과 카츠라 태프트 밀약
일본은 1904년 2월에 선전포고도 없이 여순항을 기습함으로써 로 일 양국간에 전쟁이 발
발하게 되었다. 로 일전쟁은 일본에 결정적으로 유리하게 되었다. 그러나 일본은 러시아와의
전쟁에서 승리를 거두고 있었지만 장기전을 치를 만한 경제력이 없었기 때문에 미국의 중재
로 러시아와 강화교섭을 추진하였다. 1905년 7월에 일본수상 카츠라(주태랑)와 미국육군장군
Taft사이에 밀약이 일본 동경에서 성립되어 일본은 미국이 필리핀을 지배하고 조선은 일본이
지배하는 것을 상호인정하기로 했다. 또한 영국과의 제 2차 영 일동맹을 체결하여 일본의 조
선에 대한 권리가 승인되었고, 영국은 그 대신 인도에 대한 지배권을 확인하였다. 영 미 일
은 아시아에 있어서의 식민정책에 서로 합일(합일)하였을 뿐만 아니라 러시아의 남진정책을
공동으로 저지하였다. 그래서 영 미 양국은 일본을 적극 후원한 끝에 로 일전쟁은 미국대통
령 Roosevelt의 중간 알선에 의하여 1905년 7월에 맺어진 포오츠머드조약에 의하여 일본의
승리로 끝났다. 여기서 일본은 조선에 있어서의 정치 군사 경제를 러시아로 부터 인정받게
되었다. 그리고 마침내 조선의 주권을 강탈하는 을사조약을 조인하게 되었다.
{{
) Ibid., pp.99-100.
}}
출처 : 두손선교회
글쓴이 : ysong777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