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유.은사

[스크랩] 예언을 식별하기

수호천사1 2012. 3. 10. 21:59

1.예언 식별의 필요성

하나님의 말씀은 정확 무오한 것이지만 이 말씀이 질그릇과 같은 사람을 통하여 나올 때 변질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식별은 반드시 거쳐야 하는 예언의 중요한 요소이다(영성 식별에서 상당 부분 다루었다). 예언에 대해서 우리는 크게 세 가지 점을 중심으로 살펴야 한다.
–하나님으로부터 온 것인가?(계시의 진정성)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가?(해석의 정확성)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가?(적용의 문제)

1)계시의 진정성
­첫째 점검: 먼저 성경에 근거하여 살펴야 한다. 예언의 말씀은 성경이 지지하는 내용과 상반되게 주어지는 경우는 없다. 성경의 원리에 어긋나는 말씀은 단호히 거부해야 한다.
­둘째 점검: 내면의 증거를 살핀다. 이는 간단히 정의하기 어렵지만 우리의 영이 평안과 확신으로 이를 받아들이는지를 자세히 살핀다.
­셋째 점검: 중요한 결정은 한 번의 예언으로 결정하지 말아야 한다. 성경을 읽고, 상황을 살피며, 다른 현명한 조언자들의 조언들과 내면의 평안 등을 종합하여 결정해야 한다.

2)해석의 정확성
둘째 단계가 해석의 문제이다. 하나님의 말씀이 주어지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다. 말씀, 환상, 꿈, 묵시, 문득 떠오르는 생각 등이다. 하나님의 말씀은 다양한 상징과 비유로 주어진다. 그러므로 이 모든 말씀을 정확히 해석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요구되는 힘든 과정을 거쳐야 한다.
상징과 비유를 정확히 해석하기 위해서는 성경에서 사용된 상징에 대한 넓은 이해와 지식이 있어야 한다. 한 가지 상징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의미들을 정확히 적용하는 것은 마치 외국어의 단어의 많은 의미 가운데 정확한 뜻을 이끌어내어 해석하는 것과 같다. 이 부분은 “꿈”에서 자세하게 다룬다.

3)적용
예언의 시기와 계시된 말씀의 성취에 대해 살펴보자. 예언의 이해와 적용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우리 자신의 방향이나 소원에 맞추려고 애쓰지 않는 것이다. 아브라함과 요셉에서 그 모범을 구할 수 있다. 아브라함은 이삭에 대한 예언이 성취되기까지 25년을 기다렸다. 요셉은 꿈으로 예언적인 말씀을 받았다. 그러나 그 꿈으로 인해서 받게 될 고난에 대해서는 어떤 언급도 받지 못하였다. 그러나 요셉은 그 꿈의 최종적인 성취를 위해서 모든 고난을 기꺼이 받아들였다. 그의 삶은 예언에 의해 지배된 삶이었다. 최종적 성취를 위해 기꺼이 고난을 받은 바울 역시 자신이 로마에 가기 전까지는 결코 죽을 수 없음을 계시를 통하여 이미 알고 있었다. 그러므로 빌립의 딸들의 예언에 전혀 동요하지 않고 예루살렘으로 올라갔다.

주어진 예언에 대하여 우리는 마땅히 시험해 보아야 한다. 성경은 모든 예언을 시험하라고 했다. 특히 예언의 영을 우리는 시험해야 한다. 실질적인 시험에 들어가기 전에 그 배경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1)예언을 시험하는 필요성(살전 5:19-22)
우선 성령의 불이 꺼지지 않도록 성령의 움직임과 은사에 대해 부정적인 자세를 가지지 말아야 한다. 다음으로 예언을 멸시해서는 안된다. 그러므로 우리는 예언을 신중하게 다루어야 한다. 하나님에게서 온 말씀일 경우 우리는 절대로 순종해야 하기 때문이다.

2)예언을 시험하는 사람의 태도(행 17장)
사도행전 17장의 베레아 사람들의 태도를 생각해 보자. 그들은 신사적으로 성경을 상고하고 진위여부를 살폈다. 생소한 성령의 역사를 목격하면 무조건 부정적인 시각으로 볼 것이 아니라 자신의 지식의 부족을 겸손히 인정하고 신사적인 자세로 성경을 통하여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3)성경의 중요성(딤후 3:16-17)
성경은 성령의 감동으로 기록되어 있는 살아있는 말씀이다. 그러므로 성경을 해석할 때는 성령의 도움이 없이는 그 의미를 정확히 알 수 없다. 성경을 해석하기 위해서는 성령 충만해야 한다.
그 밖에도 위에서 언급한 세 가지 분별의 중요 요소 이외에도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들을 살펴보면,

a)예언이 그리스도를 높이는가 아니면 다른 사람을 높이는가?
예언이 그리스도 이외에 다른 사람을 높인다면 이는 조심해야 한다. 만약 예언이 교회나 자신을 높인다면 적용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특히 조심해야 한다. 교만의 유혹은 실질적이다.

b)예언자의 인격(마 7:15-17)
예언자의 삶의 열매를 살펴야 한다. 예언자에게 예언을 시험하겠다고 말했을 때 그 반응이 부정적이거나 좋지 못할 때 예언자의 인격을 의심해야 한다.

c)성령의 내적 증거(요일 2:20)
성령의 음성은 우리의 속 사람에 의하여 식별된다. 그러므로 우리의 영이 우리 마음에 어떤 반응을 나타내는지 주의를 기우려야 한다. 우리의 영은 성령께서 거하시는 곳이다. 속 사람이 긍정하는지 부정하는지를 살핀다. 예언의 배후에 있는 영이 무엇인지를 구별하여야 하는 것은 필수사항이다. 바른 예언이라 할지라도 그 예언이 성령께서 주신 것이 아닐 때는 단호히 물리쳐야 한다(행 16:16-18).

d)독립적인 증거(신 19:15)
특히 삶의 전환을 가져오는 예언의 경우 독립적인 확증을 얻기까지 동결시켜 두는 것이 필요하다. 다른 예언이나 성경 읽기나 상담 등을 통하여 확정 짓기까지 결정을 유보해야 한다.

e)말씀이 우리를 자유케 하는가?(요 8:32)
진정한 예언은 받는 자에게 강요하거나 통제하지 않는다. 모든 개인적 예언은 조건적이기 때문에 예언의 성취는 전적으로 받는 사람의 순종에 달려있다. 순종하면 성취되고 불순종하면 성취되지 않는다. 여기에는 강제가 없다.
통제는 감독하고, 감시하고, 인도하고, 지시하는 것과 연관이 있다. 그리고 다른 사람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올바르지 못한 예언은 그 말에 책임을 지지 않는다. 책임을 지지 않는 사역자는 그 말에 신빙성을 의심해야 한다. 다른 사람의 의지를 빼앗는 행위는 순수하지 못하다. 자신의 사역을 다른 사람이 판단하게 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면 그는 오만과 이기심에 빠진 증거가 된다.
직분으로 누르는 행위 역시 통제와 조작이다. 우리는 우리보다 못한 사람으로부터 오는 하나님의 말씀에 귀를 기우릴줄 알아야 한다. 설명이나 해석을 요구하는 일을 도전으로 받아들여서는 안된다.
무시무시한 경고를 하는 것 역시 통제의 한 형태이다. 협박하는 행위는 자신의 사역에 두꺼운 장벽을 쳐서 어떤 도전도 용납하지 않겠다는 아집에서 비롯된 것이며, 더 나아가 사단의 일인 것이다. 듣는 사람으로 하여금 어떤 영적 분별도 할 수 없게 함으로써 사단에게 길을 열어주는 것이다.

f)예수가 육으로 오심을 증거한다(요일 4:1-3)

g)교회 지도자들이 무어라 말하는가?(히 13:17)
하나님께서는 교회의 지도자를 세워 우리의 신앙이나 개인적으로 주어지는 예언에 대해 선한 통찰력을 가지게 하시는 것이 성경적 원리이다. 이 말은 그들이 항상 올바르다는 말은 아니다. 그러나 지도자들에게서 오는 확정은 상당한 지지력을 하나님께서 부여한다는 뜻이다. 교회 지도자가 예언의 은사가 없다고 할지라도 성령의 기름부음을 통하여 신실한 분별력을 주어 올바른 식별을 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이는 하나님의 백성을 위해서 새운 지도자를 통하여 하나님의 백성을 보호하시는 하나님의 인자하심이다.

h)예언자가 다른 형제 자매에 대한 태도가 어떠한가?(요일 2:11)

2.예언의 경과를 살핀다

신약 예언에 대한 하나님의 주된 목적은 세우고 격려하기 위함이다. 그 결과 우리는 구약의 예언의 상당 부분을 아래와 같은 관점에서 보지 않으려고 한다.

1)감추어진 죄가 드러나다
감추어진 죄가 있다면 그것을 다루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백지 위임장은 아니다. 그러한 형태의 폭로는 우리가 하고 있는 사역의 범위 밖의 일이다. 이것은 걱정하거나 조급해 할 이유가 없다.

2)정정과 책망
이러한 유형의 예언은 목회적 관계에서 나오는 것이지 예언적인 관계에서 오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이러한 부분에서 일할 필요가 있다면 갑작스럽게 튀어나오는 것을 두려워할 필요는 없다. 반대로 하나님이 이러한 분야를 다루도록 허락하셨다고 가정하지 말라.

3)방향제시
방향을 제시하는 예언이 경험이 많은 예언자에게서 주어진 경우 확실하다. 그러나 되도록 그런 예언은 피하도록 권유한다.

4)조급한 결정
하나님은 과정을 통하여 일하신다. 예언은 어떤 분야에서 돌파구를 만드는 열쇠가 될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예언 사역이 모든 문제를 결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언 사역의 목적은 하나님과 더욱 가까운 관계를 맺도록 돕는데 목적이 있다. 하나님의 음성을 더욱 분명하게 듣고 하나님의 계획에 맞추어 걸어가도록 돕는데 있다.

http://cafe.Godpeople.com/healinghouse/?B21-1163

출처 : 보좌로부터흐르는생명수
글쓴이 : 하늘 산소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