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문화

[스크랩] 마르크스주의의 전파와 모택동 사상의 발전

수호천사1 2011. 3. 25. 04:25

마르크스주의의 전파와 모택동 사상의 발전

 

 

§마르크스주의와 모택동 사상 발전 단계

①제 1단계/1918년~1927년 : 마르크스주의 수입기, 이대조․진독수

②제 2단계/1927년~1949년 : 모택동 사상의 성숙기, 구추백․모택동․유소기

③제 3단계/1949년~1976년 : 모택동 사상의 절대적 지배기

④제 4단계/1976년~현재 : 새로운 모색기

 

1. 마르크스주의의 수입

 

-러시아혁명은 5․4운동시기의 진보적 지식인들을 자극

-이대조는 <신청년>을 통해 마르크스주의를 보급

-마르크스 원전이 아닌 일본 학자의 해설서를 통해 받아들임

-마르크스 이론 중 유물사관, 계급투쟁설을 집중적으로 받아들임

 

§이대조

-과학과 민주를 사회주의적으로 재해석함

:민주는 서민의 민주, 노동자의 민주

과학은 유물사관

-호적과 함께 ‘문제와 주의 논전’을 일으킴

-실제 행동의 지침으로 삼은 것은 유물사관, 계급투쟁설

§유물사관이 진화론보다 설득력이 있었던 점

-경제적 토대, 상부구조, 이데올로기 등에 대해 이성적 설득력을 지님

-중국 전통의 유토피아사상들이 계급투쟁설을 받아들이는 토양이 됨

§초기 중국 마르크스주의의 특징

-인민주의(Narodnickism) : 자본주의를 거치지 않고 농촌, 농민을 기반으로 사회주의 건설

-도덕주의(相互扶助論) : ‘서로 돕기’를 통해 계급투쟁설의 단점 보완

 

2. 모택동 사상의 성숙

 

§구추백(瞿秋白/1899~1935)

-1단계와 2단계를 매개하는 인물

-변증유물론을 우주관과 방법론으로 삼아 역사․인생․사회․혁명을 해석

-민중의 무장폭동을 주장(이론적 인식에 의한 결론이었다.)

§변증유물론이 요청된 배경

1)다른 유파들과의 논쟁을 통해 자신들의 이론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음

2)공산당 내부에서도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여러 갈래가 있어 과학적 해석이 필요했음

 

§모택동(毛澤東/1893~1976)

-유물변증법을 중국의 현실문제에 적용

<중국 사회 각 계급의 분석> <호남 농민운동 고찰보고> <작은 불씨가 요원의 불길이 되어>

<중국에서 붉은 정권의 수립은 어떻게 존재할 수 있는가> <정강산의 전투>

-실제적 경험을 중시하며 군사투쟁의 성격도 띠게 됨

-전통적 개념의 실사구시를 마르크스주의를 이해하는 개념으로 재해석

:실사구시(實事求是)

:실사(實事)란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모든 사물이다.

:시(是)는 객관사물 내부의 관계로서 바로 법칙성이며, 구(求)는 우리들의 연구이다.

-혁명전쟁과 군사투쟁의 경험과 이론을 사상의 높이까지 끌어올려 <실천론>, <모순론>을 발표

 

5)실천론

 

①심리와 논리의 상호통일

②실천을 진리의 표준으로 삼는 ‘변증법적 유물론의 인식론’을 제기

-인식론에서 강조한 것은 직접경험과 지행합일

③인간이 다른 사물과 구분되는 類的 본성은 ‘자각적 능동성’과 ‘이론과 실천의 결합’

-‘자각적 능동성’을 강조함과 동시에 ‘실사구시’를 강조(자각적 능동성과 경험이성의 결합)

-마르크스주의 이론과 중국 혁명의 실제상황이 결합한 산물이자 마르크스주의의 중국화

④실천론을 경험론적 유물론이라고 한다.

 

6)모순론

 

①교조주의를 반대하는 이론

②모순의 보편성과 특수성, 주요 모순과 주요모순의 동일성과 투쟁성 등의 이론을 제시

③변증법의 가장 중요한 측면은 헤겔과 마르크스의 변증법을 하나로 환원시킨 점

 

3. 모택동 사상의 절대적 지배

 

1)건국이후 단기간에 사회주의적 개조를 완성한다는 방향으로 생각을 바꿈

2)생산력이 걸음마단계에 불과함에도 생산력이 고도로 발달한 단계에 대해 적용되는 마르크스주의

적 사회체제를 중국 사회에 적용하는 무리한 생각

3)정치분야만을 선구적으로 변화시키려함(생산관계만을 변화시키려함)

-문화대혁명이 발생하게 됨

§문화혁명기의 모택동 사상

-계급투쟁 강조, 주관 능동성의 강조, 도덕지상주의

-극단적인 주관주의로 흘러 실사구시의 사상 원칙에서 벗어남

 

4. 새로운 모색과 혼돈

 

1)1980년대 중반 중국의 지식인들은 ‘인도주의’를 중국적 마르크스주의의 특징으로 채택

2)이것은 유물사관을 기초로 한 마르크스주의의 토대를 흔드는 새로운 모색과 혼돈의 시작이다.

출처 : 내 사랑 중국 ♡ MyLoveChina
글쓴이 : null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