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교학

[스크랩] 제10강 미전도 종족의 기준

수호천사1 2009. 5. 22. 19:27

제10강  미전도 종족의 기준

 

● 이제 미전도 종족에 대한 내용이 시작됩니다. 이 내용은 5단계로 구분되어 있는데, 그 1단계는 그림과 같습니다. 중국선교의 첫 걸음인 1단계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중국의 종족을 아는 것이라고 봅니다.  중국의 종족을 저는 China operation(2000)에 의해 482개 종족으로 분류했는데, 그 중 복음화률 5% 이하의 종족을 미전도 종족으로 구분합니다. 482개 종족 중 5% 미만의 종족을 선교대상으로 보고 구별하는 것입니다. 종족 인구수가 10,000명 이상만 282개 종족이 됩니다.

 

  

● 그런데 미전도 종족에 대해서 조금 더 알아 볼까요?󰡒미전도 종족󰡓이란 󰡒자기가 속한 종족 내에 자신의 종족을 그리스도께로 인도할 만한 견실한 공동체가 없는 사람의 집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1982년 3월 로쟌회의) 즉  "자기 종족에게 복음을 전할 수 있는 자생적 교회가 있다󰡓고 볼 수 있는 그리스도인의 수를 전체 종족 수의 5% 정도로 보고 그 이하를 미전도 종족으로 봅니다. 그런데 미전도 종족을 규정할 때, 단일의 기준만이 적용되는 것은 문제가 되겠지요? 왜 하필 5%냐는 것이지요.


● 그래서 그 종족의 전체적인 인구수와 신도수 그리고 종족성 등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은 기준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① 5% 기준: 선교학적인 측면에서는 각 종족 당 기독교인이 5% 미만의 종족을 미전도 종족의 범위에 포함시킨다.

② 2%:기준:선교학자에 따라서는 2% 정도를 미전도종족의 기준으로 보기도 한다.

③ 1~5% 기준:종족의 인구 수에 따라 차별적인 기준을 적용할 수 있다. 인구수가 적고 많은 경우에 따라 5%에서 1%를 적용할 수 있다.


● 이 중 2% 기준은 매우 설득력이 있습니다. 그런데 아쉬운 것은 그것이 단일기준이라는 것입니다. 다양한 인구수를 가진, 적게는 몇 천명, 많게는 수천만명의 인구를 가진 종족을 생각할 때, 단일 비율은 좀 무리가 있다고 봅니다. 그래서 저는 1-5%의 복합기준을 적용하는 것이 좋다고 봅니다.



● 이러한 주장의 근거는 상황적 경험과 성경적 근거입니다. 인구가 100명인 경우, 최소한 몇 명 정도의 성도가 있어야 그 성도들이 정체성을 잃지 않을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 다른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할 수 있는가 하는 것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경험적으로는 최소 5명이 있어야 한다고 저는 봅니다.


● 그런데 이런 5%의 기준을 종족인구수가 100,000명, 1,000,000명, 10,000,000명인 경우에 적용해 보면, 그리스도인의 수가 5,000명, 50,000명, 500,000명이 있으면 자생적 교회가 생성된다는 것이겠지요? 100명 정도의 교인이 있는 교회가 각각 50개, 500개, 5,000개 있을 수 있는 수이지요.

아마 종족의 인구 수가 많아 질수록 5% 기준이 꼭 적용될 필요가 없고 2%라도 자생적 교회가 생성될 가능성이 많이 있을 수 있습니다.


● 1-5%라는 복합적 기준의 성경적 근거는 레26:8 󰡒너희 다섯이 백을 쫒고 너희 백이 만을 쫒으리니󰡓에서 찾습니다. 백을 쫒을 수 있는 다섯은 5%, 만을 쫒을 수 있는 백은 1%라는 것입니다. 이 말씀이 보여주는 시사점은 전체 인구수가 많으면 낮은 비율이, 전체 인구수가 적으면 높은 비율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는 것과 그 비율은 1-5%라는 것입니다.


● 1단계에서 꼭 알아야 할 세 가지를 기억합시다.

 가. 중국의 종족

 나. 중국의 미전도 종족

 다. 미전도 종족의 기준

 


출처 : 내 사랑 중국 [MyLoveChina]
글쓴이 : null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