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의 종족에 대한 이어지는 설명입니다. 전에 말씀드린 것처럼 데이타를 분류하고 분석하게 되면, 정보가 생산이 되고 그 정보에 의해 전략이 수립이 됩니다. 교사의 경우, 한 반 학생 50 명에 대한 데이타 자체로서는 정보가 아니기 때문에 학급 운영에 대한 전략을 수립하는데 유용하지 못합니다. ● 그러나 그 데이타(자료, data)를 출신학교별, 남녀별, 생일별, 지역별 등으로 분류하고 분석하게 되면 소위 정보(information)로 가공되어 학급운영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 선교적 기준에 의해 파악된 중국 490개 종족은 중국내에 우리가 선교해야 할 전체적인 대상을 파악한다는 의미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그리고 이 종족을 몇가지 기준에 의해 분류할 때, 우리는 매우 중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 첫번째 분류기준은 정치적 종족입니다. 중국정부에서 분류하는 56개 종족기준이지요. 총 490개 이상의 세부 종족을 56개의 종족으로 분류하여, 56개의 종족과 490여 개의 세부 종족과의관련성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유용한 선교정보가 될 수 있습니다. ● 두번째는 종교별 분류입니다. 종교별로 분류된 각 종족에 대한 정보를 잘 분석해 보면, 여기에서도 좋은 전략이 나오게 됩니다. 종족의 종교별 분류를 자세히 관찰해 보면, 다음과 같은 전략적인 문제를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 종교별 분류를 보면서 다음과 같은 문제를 생각해 보십시오. 가. 기독교가 주된 종교(6% 이상)가 된 8개의 종족은 어떤 방법으로 복음화가 되었는가? 그러한 과정에서 배울 수 있는 선교전략은 무엇인가? 나. 가장 많은 미전도종족이 믿고 있는 종교는 무엇인가? 다. 어떤 종교를 믿고 있는 종족이 복음의 수용성이 가장 낮다고 할 수 있는가? 라. 복음이 가장 쉽게 수용될 수 있을 것 같은 종교는 무엇인가? 마. 각 종교의 기본적인 신념(Belief)는 무엇이며 그 종교의 어떤 면이 복음의 접촉점이 될 수 있겠는가? ● 세번째 분류는 지역별분류입니다. 종족에 대한 지역별 분류표는 각 성의 종족과 세부 종족 수와 그 종족의 주 종교 및 복음화율을 정리하여 도표화한 것입니다. 지역전문가로서의 선교사가 자기가 거주하는 지역(성)에 대한 이러한 정보를 활용하여 실제적인 사역의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지역별 종족정보를 보면서 다음과 같은 문제를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가. 이 지역에는 몇개의 종족집단과 종족이 있는가? 나. 그들의 주된 종교는 무엇인가? 다. 복음화율이 5% 이상의 종족은? 라. 5% 이상의 종족을 활용하여 5%미만의 종족에게 복음을 전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마. 이 지역의 특정 종족은 다른 지역의 어떤 종족과 가장 관련이 있는가? 바. 이 지역에서 종족별 가장 중요한 관문도시는 무엇인가? 사. 이 지역의 종족은 원거주지에서 어느 곳으로, 어떤 이유로 가장 많이 이동하는가? ● 네번째 분류는 복음화율에 의한 분류입니다. 일반적으로 미전도 종족 분류기준으로는 복음화율 5% 이하의 기준을 사용합니다. 5%를 기점으로 유의해 보시기 바랍니다. ● 다섯번째 기준은 인구수입니다. 인구수는 인구통계적 정보가운데 가장 기본적인 정보이자, 특히 우리 선교계에는 매우 중요한 정보입니다. 이와 같은 분류 기분에 의해 중국의 480여개의 종족을 분류하고 분석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선교의 잔략적 정보는 실로 막대한 것입니다. 자료를 꼼꼼히 검토하며 각 교회 별로 검토해 보시기 바랍니다. |
'선교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신학적 관점에 의한 선교 이론의 변화와 역사적 상황에 의한 선교 방향의 변화에 관한 고찰 (0) | 2009.05.20 |
---|---|
[스크랩] [요약] 선교와 문화인류학 (폴 히버트) (0) | 2009.05.20 |
[스크랩] 제8강 선교에 있어서의 종족개념과 계층 개념의 이해 (0) | 2009.05.11 |
[스크랩] 제7강 중국 종족 중 한족의 경우 (0) | 2009.05.11 |
[스크랩] 선교에 있어서 사회적 접근의 필요성 (김요셉) (0) | 2009.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