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음운론 4 - 음소 교체/음운론적인 교체
음소 교체
한국어에는 음소 교체의 종류가 많아 다음과 같은 교체들이 있다.
음운론적인 교체
음운론적인 교체란 음소가 놓이는 소리의 환경으로 알미암아 해당 음소가 다른 음소로 바뀌는 현상을 이른다. 자음 음소는 허용되지 않는 음소 배열이 있기 때문에 그런 경우에는 해당 음소가 다른 음소로 교체된다.
평음의 경음화
평음 /ㅂ, ㄷ, ㅅ, ㅈ, ㄱ/은 장애음 종성 /ㅂ, ㄷ, ㄱ/ 직후에 올 수 없다. 그 경우 평음은 경음 /ㅃ, ㄸ, ㅆ, ㅉ, ㄲ/으로 각각 교체된다.
- 입시 /입씨/
- 국밥 /국빱/
/ㅎ/의 격음화
/ㅎ/은 장애음 종성 /ㅂ, ㄷ, ㄱ/ 직후에 올 수 없다. 그 경우 /ㅎ/은 직전 장애음과 동일한 조음 위치에서 발음되는 격음 /ㅍ, ㅌ, ㅋ/으로 각각 교체된다.
- 입학 /이팍/
- 각하 /가카/
장애음의 비음화
장애음 종성 /ㅂ, ㄷ, ㄱ/은 비음 /ㅁ, ㄴ/과 유음 /ㄹ/ 직전에 올 수 없다. 그 경우 장애음 종성은 비음 /ㅁ, ㄴ, ㅇ/으로 각각 교체된다.
- 욕망 /용망/
- 앞날 /암날/
/ㅂ, ㄷ, ㄱ/ 직후에 /ㄹ/이 올 때 남의 표준어에서는 /ㄹ/도 동시에 /ㄴ/으로 교체된다. 북의 표준어에서 /ㄹ/은 /ㄴ/으로 교체되지 않고 /ㄹ/이 유지된다.
- 독립 /동닙/ (남의 표준어) ― /동립/ (북의 표준어)
유음의 비음화
남의 표준어에서 유음 /ㄹ/은 비음 /ㅁ, ㅇ/ 직후에 올 수 없다. 그 경우 /ㄹ/은 비음 /ㄴ/으로 교체된다. 북의 표준어에서 /ㄹ/은 그대로 유지된다.
- 통로 /통노/ (남의 표준어) ― /통로/ (북의 표준어)
/ㄴ/의 유음화
/ㄴ/은 유음 /ㄹ/ 직전이나 직후에 올 수 없다. 그 경우 /ㄴ/은 유음 /ㄹ/로 교체된다. /ㄹㄹ/이라는 소리 연속체의 실제 음성은 [ll] 이다.
- 신라 /실라/
- 찰나 /찰라/
출처 : MyLoveChina
글쓴이 : null 원글보기
메모 :
'민족-우리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한국어 음운론 6 - 모음조화 (0) | 2009.02.03 |
---|---|
[스크랩] 한국어 음운론 5 - 음소교체/형태음운론적 교체 (0) | 2009.02.03 |
[스크랩] 한국어 음운론 3 - 음소 배열상의 제약/높낮이/음절구조 (0) | 2009.02.03 |
[스크랩] 한국어 음운론 2 - 음소/자음/초성/종성 (0) | 2009.02.03 |
[스크랩] 한국어 음운(音韻) (0) | 2009.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