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음운론 2 - 음소/자음/초성/종성
자음
표준어에서 자음 음소는 총 열아홉 가지다.
초성
자음 음소 열아홉 가지 모두가 초성 위치에 올 수 있다.
양순음 | 치경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폐쇄음 | 마찰음 | ||||||
장 애 음 |
평음 | /b ㅂ/ [p/b] |
/d ㄷ/ [t/d] |
/s ㅅ/ [s~ɕ] |
/j ㅈ/ [ʨ/ʥ] |
/g ㄱ/ [k/ɡ] |
|
격음 | /p ㅍ/ [pʰ] |
/t ㅌ/ [tʰ] |
/c ㅊ/ [ʨʰ] |
/k ㅋ/ [kʰ] |
/h ㅎ/ [h/ɦ] | ||
경음 | /β ㅃ/ [pʼ] |
/δ ㄸ/ [tʼ] |
/σ ㅆ/ [sʼ~ɕʼ] |
/ζ ㅉ/ [ʨʼ] |
/γ ㄲ/ [kʼ] |
||
비음 | /m ㅁ/ [m] |
/n ㄴ/ [n] |
/ŋ ㅇ/ [ŋ] |
||||
유음 | /r ㄹ/ [ɾ~l] |
한국어의 장애음은 무성음·유성음의 대립이 음운론적으로 의미를 갖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한국어 화자는 무성음·유성음을 구별하지 못하며 둘다 동일한 음운으로 인식한다.
한편 한국어에는 평음·격음·경음이라는 대립이 있다. 이 소리들은 숨의 강도와 목의 긴장 여부에 의해 서로 다른 음운으로 인식된다.
평음(예사소리, 순한소리)는 숨을 거세게 내지 않으며 목을 긴장시키지 않는 소리다. /ㅅ/을 제외한 평음 /ㅂ, ㄷ, ㅈ, ㄱ/은 유성음 사이(즉 모음-모음 사이, 비음-모음 사이, 유음-모음 사이)에서 유성무기음으로 나타나며 그 이외 환경(구체적으로는 어두)에서 무성무기음(화자에 따라서는 약간 숨을 수반할 수 있음)으로서 나타난다.
- 비누 /binu/ [pinu] ― 나비 /nabi/ [nabi]
/ㅅ/은 유성음 사이에서도 항상 무성음으로 나타난다. 또 /ㅅ/은 모음 /ㅣ/(반모음 /y/ 포함) 직전에서 [ɕ]로 나타난다. /ㅅ/은 일반적으로 평음으로 구분되지만 이것을 격음으로 구분하는 연구자도 있다.
- 가수 /gasu/ [kasu]
- 가시 /gasi/ [kaɕi]
격음(거센소리) /ㅍ, ㅌ, ㅊ, ㅋ/은 숨을 거세게 내는 소리며 어떤 위치에서든 무성유기음으로 나타난다. 중국어의 유기음과 같은 성질을 지닌 소리다.
- 도토리 /dotori/ [totʰoɾi]
격음 /ㅎ/은 유성음 사이에 있을 적에 유성음화되어 [ɦ] 로 나타나며 경우에 따라서는 소리가 없는 것처럼 들린다. 유성음화라는 특성에서 이를 평음으로 구분하는 연구자도 있다.
- 지하 /jiha/ [ʨiɦa]
경음(된소리)은 목을 긴장시키면서 내는 무성무기음이다. 국제음성기호로는 이 소리를 정확히 표시하기 위한 기호가 없어 성문 폐쇄음을 나타내는 [ʔ] 를 자음 기호 왼쪽 어깨에 달거나 방출음을 나타내는 [ʼ] 를 사용하는 등 기호를 대용하는 경우가 많다. 또 음성학 논문 등에서는 [p#], [p*]와 같은 표기도 볼 수 있다.
- 꼬리 /γori/ [kʼoɾi]
경음 /ㅆ/은 평음 /ㅅ/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모음 /ㅣ/(반모음 /y/ 포함) 직전에서 [ɕʼ] 로 나타난다.
- 김씨 /gimσi/ [kimɕʼi]
비음은 /ㅁ, ㄴ, ㅇ/ 세 가지가 있지만 /ㅇ/은 어두에 오지 않는다.
유음 /ㄹ/은 초성 자리에서 보통 탄음 [ɾ] 로 나타나지만 종성 /ㄹ/ 직후에 나타나는 초성 /ㄹ/은 설측음 [l] 로 나타난다.
- 물리 /murri/ [mulli]
평양 방언에서는 /ㅈ, ㅊ, ㅉ/이 치경구개음 [ʨ/ʥ], [ʨʰ], [ʨʼ] 가 아니라 치경파찰음 [ʦ/ʣ], [ʦʰ], [ʦʼ] 로 나타난다.
종성
음절말 위치에 있는 자음을 종성이라 한다. 초성 자리에는 열아홉 가지 자음 모두가 올 수 있으나 종성 자리에는 다음 일곱 가지 자음밖에 올 수 없다.
양순음 | 치경음 | 연구개음 | |
---|---|---|---|
장애음 | /b ㅂ/ [p̚] |
/d ㄷ/ [t̚] |
/g ㄱ/ [k̚] |
비음 | /m ㅁ/ [m] |
/n ㄴ/ [n] |
/ŋ ㅇ/ [ŋ] |
유음 | /r ㄹ/ [l] |
장애음 종성은 조음 기관을 개방시키지 않는 불파음이다. 다만 /ㅆ/ 앞에서는 개방이 되며 /ㅆ/ 앞에서 /ㄷ/은 [s] 로 나타난다.
- 젖소 /젇쏘 jɔdσo/ [ʨɔssʼo]
유음 종성 /ㄹ/은 보통 [l] 로 나타나지만 직후에 /ㅎ/이 올 때는 [ɾ] 로 나타난다.
- 괄호 /gwarho/ [kwarɦo]
'민족-우리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한국어 음운론 4 - 음소 교체/음운론적인 교체 (0) | 2009.02.03 |
---|---|
[스크랩] 한국어 음운론 3 - 음소 배열상의 제약/높낮이/음절구조 (0) | 2009.02.03 |
[스크랩] 한국어 음운(音韻) (0) | 2009.02.03 |
[스크랩] 한국어 음운론 - 음소/모음/단모음 (0) | 2009.02.03 |
[스크랩] 위키백과에서 설명하는 [한국어] (0) | 2009.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