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디아스포라

[스크랩] 중국 朝鮮族의 사회적 지위 (김병호)

수호천사1 2008. 12. 16. 18:15

중국 朝鮮族의 사회적 지위

 

김병호/중앙민족대학 교수



1) 중국 朝鮮族의 사회역사적 지위확립의 근거

 

중국 朝鮮族은 근 백년에 이르는 시간동안 중국에 이주하여 번창한 민족으로, 중국 56개 민족으로 구성된 대가정에서 그 일원으로서의 평등한 지위를 확립하였을 뿐만 아니라, 가장 선진적인 민족중의 하나로 발전하였다.  朝鮮族이 중국의 통일된 다민족국가의 사회역사적 지위를 확립하는 대는 역사적 근거와 현실적 근거를 가지고 있다.

 

역사적 근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한반도에서 중국으로 이주하기 시작 부터 20세기 50년대초까지의 역사를 종적으로 훑어보면, 중국朝鮮族은 조국의 다른 민족과 함께 반제반봉건투쟁과 항일전쟁, 해방전쟁, 한국전쟁에서 중화민족의해방사업과 “ 국가 보위(保家衛國)”사업을 위한 불후의 공훈을 세웠다! 중국의 제 1·2차국내혁명전쟁시기에 朝鮮族의 우수한 자녀들은 북벌전쟁과 중국공산당창건 및 군대건립의 난창(南昌)봉기, 징깡산(井岡山)혁명근거지 건립투쟁, 홍군의 2만 5천리 장정에 참가하였을 뿐만 아니라 섬감녕(陝甘寧)혁명 근거지 건설과 보위투쟁에도 뛰어들었다.  항일전쟁시기에 朝鮮族은 만주족, 蒙古족, 회족과 같이 소수민족 중에서 항일투쟁에 최다수가 참가하고 최대공헌을 한 민족이었다.  해방전쟁시기에는 대부분의 朝鮮族지역이 이미 해방되었음으로 말미암아 중국공산당의 근거지를 건립하였으며, 따라서 중국 소수민족중 인민해방군과 지방혁명무장대오에 참가한 인원이 가장 많은 민족이었으며, 가장 큰 희생을 치렀고 가장 큰 공헌을 한 민족이었다.  한국전쟁시기에는 같은 민족이란 이유등으로 인해서 소수민족 중에서 참군 참전 숫자가 가장 많은 민족이었으며, “국가보위”를 위해 가장 많은 희생을 치룬 민족이었다. 이상과 같은 내용의 구체적인 수치는 이미 앞에서 언급하였으므로 여기에서 다시 중복하지 않는다.

 

한반도에서 중국으로 이주한 때부터 중화인민공화국 건립이전에 이르는 중국 朝鮮族의 역사를 종적으로 살펴보면, 중국의 朝鮮族은 옌볜개발과 옌볜건설, 헤이롱장성(헤이륭쟝성)·랴오닝성(遼寧省)의 변경지역개발을 위해 노고를 치루었다.  특히 한랭한 동북지역의 차가운 바람과 눈을 두려워하지 않고 곤란과 위험을 마다하지 않으며 어려움과 장애를 극복하여, 황무지 개간으로 밭을 일구고 벼를 심어 성공하였는데, 이것은 동북지역 농업발전사에 대한 커다란 공헌이다.  朝鮮族은 동북지역에서 가장 빠른 논벼 시험재배자이며 가장 큰 논개척자이자 논농작자라고 말할 수 있다.  朝鮮族은 또한 동북지역의 광산자원 개발채취, 철로노선부설, 공장기업의 운영 등에도 참가하였다.  朝鮮族은 동북지역의 농업발전 특히 논벼재배업에 대해 가장 큰 공헌을 한 민족이며, 옌볜지역의 개척과 건설에 가장 많은 땀을 흘리고 가장 큰 공헌을 한 민족이라고 할 수 있다.

 

종합해 보면, 중국혁명투쟁과 동북지역의 개척 및 건설과정에서 무수한 피와 땀을 흘리고 막대한 희생을 치루었으며, 이것이 중국朝鮮族의 사회역사적 지위의 견실한 기초와 확실한 근거가 되었다.

 

현실근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중국朝鮮族이 거주하는 지리적 위치를 살펴보면, 헤이롱장성, 지린성(吉林省), 랴오닝성의 절반이상의 朝鮮族 인구가 변경, 혹은 변경에 근접해 있는 현에 거주하며, 전략적 지위가 매우 중요한 곳이다.  특히 옌볜은 북위 41도 59분에서 44도 30분, 동경 127도 27분에서 131도 18분의 사이에 있는데 동쪽으로는 소련과 인접해 있으며, 남쪽으로는 투먼장(圖們江)을 사이에 두고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을 바라보고 있어 국경의 길이가 755.2 킬로미터에 이른다.  옌볜동부의 훈춘(琿春)시는 중국에서 유일한 중, 러, 조선 삼국의 경계지역이며 중국이 동북아로 통하는 중요한 창구로서 중요한 전략적 지위를 갖고 있다.  따라서 朝鮮族은 중국의 동쪽 변경의 중요한 건설자이자 보위자이다.  중화인민공화국 건립이래 50년동안 변경지역에 거주하는 朝鮮族 인민은 변경지역의 사회안정과 통일국가의 공고화, 국가영토의 완정함을 위하여 피와 땀을 흘렸으며 커다란 공헌을 하였다.

 

중국朝鮮族 거주지역의 자연자원 분포를 살펴보면, 朝鮮族이 비교적 많은 헤이롱장성, 吉林省, 랴오닝성의 많은 현은 광산자원, 삼림자원, 수리자원이 매우 풍부하다. 특히 옌볜지역의 창바이산구(長白山區)는 산과 숲, 초목, 물, 특산품, 광산자원이 많아 생산발전과 경제번영을 위한 양호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자연자원의 풍부함은 옌볜의 가장 큰 특징이다.  삼림자원: 옌볜은 전국 목재생산기지중의 하나이다.  전체 삼림지면적이 5200여만 무(畝)이며 전 自治州 총면적의 81.30%이고, 목재 저축량은 3.6억 입방미터이다.  광산자원: 전 自治州 지역내 금속광산이 50여종이 있으며 비금속광산은 40여종이다.  이미 확인된 석탄매장량이 10억톤 이상에 달하며, 석유매장량은 1억톤 이상이다.  수리자원: 전 自治州내에 크고 작은 강이 487개이고, 강의 총길이가 1만 킬로미터에 달하며, 전 自治州의 수력에너지의 이론상 저축량은 140여만 킬로와트, 이론상 발전량은 123만 킬로와트이다.  목축자원: 전 自治州의 천연초원이 88.5만 무, 임간초지(林間草地) 946.5만 무, 초원 2959.5만 무, 인공초지 1.2만 무가 있다. 토지특산자원: 自治州내에 인삼, 천마(天麻)등 800여종의 약용식물과 50여종의 포유동물이 생장하고 있다.  전 自治州의 연초는 년생산량이 성 전체 연초생산량의 95%정도를 점하고 있다.51)  관광자원: 옌볜은 독특한 풍격을 지닌 자연경관과 독특한 인문적 경관이 있어 관광자원으로도 국내외에서 이름이 높다.

 

중국 사회주의 경제, 정치, 문화, 교육건설과 사회주의 민족관계에 대한 중국 朝鮮族의 역할을 회고해 보면, 중국 朝鮮族은 50년동안 소수민족중에서 경제발전이 가장 빠른 민족중의 하나이며, 문화, 교육의 수준이 가장 높은 민족중의 하나이고, 민족관계가 양호하게 처리된 민족의 하나이며, 중국 소수민족의 발전 및 중화민족의 발전을 위한 본보기로 되었고, 많은 공헌을 하였다.

 

종합하면, 중국 朝鮮族 거주지역의 독특한 지리적 위치와 전략적 위치, 풍부한 자연자원우세 및 朝鮮族의 종합적 자질과 신중국건립 이후 50년의 사회주의 각종 사업건설에 대한 특출한 공헌은 중국 朝鮮族의 사회·역사적 지위를 확립하는 현실적 기초와 중요한 근거가 되었다.

 

2) 朝鮮族은 중국 각 민족중의 평등한 일원이다.

 

朝鮮族은 중국 56개 민족 대가정중의 평등한 일원으로서, 우리나라 각 민족중에서 종합적으로 발전된 선진민족중의 하나이다.

 

朝鮮族은 중국 각 민족중에서 교육발전이 가장 빠르고 평균문화수준이 가장 높은 민족의 하나이다.  朝鮮族 지역은 기본적으로 촌마다 朝鮮族 소학교가 있으며, 매 현(縣)마다 朝鮮族 중·고등학교가 있을뿐만 아니라 조선어문을 사용하여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朝鮮族은 고등학교 교육을 보급하였다.  옌볜은 5개의 대학이 있다(국가 21세기 100개 대학 대열에 진입하기 위하여 현재 하나로 합병되었다).  朝鮮族은 천명당 44명이 대졸수준이다(漢族14명, 소수민족평균6명).  朝鮮族의 남성 문맹률은 4.69%로서 중국 각 민족중 가장 낮다.  중국 각 민족의 문화교육정도 종합지수는 朝鮮族이 가장 높아 8.55에 달한다(만주족6.37, 蒙古족 5.58, 한족 5.47, 藏族 1.82). 朝鮮族은 200만 정도밖에 되지 않지만 자기 민족의 문자로 도서를 출판하는 4개의 출판사(전국의 출판사는 천여개정도이다)와 신문사 4개, 조선어 잡지 십여종을 가지고 있다.  또한 몇몇 도시에 조선민족도서관, 문화관, 방송국, 텔레비젼 방송국도 있다.  朝鮮族의 과학기술인력도 비교적 많아 취업인구의 10%이상을 점하고 있다.  항공우주, 지질, 화학, 의학등 첨단기술영역에 많은 유명한 전문가들이 있다. 중국공정원(中國工程院)에는 1명의 朝鮮族 院士가 있다.

 

朝鮮族은 중국 각 민족중에서 경제발전이 비교적 빠른 민족으로, 직업구성이 상대적으로 합리적이며 생활수준이 대부분 해당지역의 평균수준을 초과한다.  옌볜自治州는 30개의 自治州중에서 경제발전이 빠른 自治州에 속한다.  朝鮮族의 취업인구는 55%정도에 달해 한족의 수준에 상당한다.  중국 각 민족의 생활수준종합지수에서 朝鮮族이 가장 높아 71.2에 달하는데, 만주족은 67.1, 한족 63.4, 하니족(哈尼族)이 38.3이다.


3) 朝鮮族은 평등하게 국가사무의 관리에 참여한다

 

朝鮮族은 기타 소수민족과 똑 같이 평등하고 적극적으로 국가사무의 관리에 참여하며, 지방국가정권기관사무의 관리에 참여한다.  제1차부터 제9차에 이르는 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정협위원중에 朝鮮族 대표가 모두 참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2,978명의 전국인민대표중 朝鮮族 대표가 17명으로 대표총수의 약 0.57%를 점해 朝鮮族 인구의 전국총인구 비례인 0.169%의 근 3배에 달한다.  朝鮮族 출신의 중앙정부 부부장이상급 영도간부가 10여명이며(퇴직자 포함), 국가 영도자 직무를 담임하고 있는 사람도 1명 있다(전국정협부주석 趙南起). 군대에는 소장이상의 장군이 10명에 달하며(그 중 上將 1명), 국가기관과 당기관 기업·사업단위의 영도직무를 담임하는 朝鮮族은 朝鮮族 총인구의 3%로, 한족(1.59%)의 1.5배에 해당한다1).  朝鮮族이 비교적 많이 거주하는 지역의 지방정부와 지방인민대표대회에는 모두 朝鮮族 각급간부가 있다. 예를 들면 吉林省에는 朝鮮族 출신인 1명의 부성장, 수명의 廳局長, 위원회주임, 自治州州長, 자치현현장이 있으며 수명의 일반 縣과 市의 현장·시장이 있다.  옌볜 朝鮮族 自治州의 朝鮮族 간부는 自治州 간부 총 수의 45%를 점하여, 전체 自治州 인구의 39.5%를 점하는 朝鮮族 인구비율보다 높다.  뿐만 아니라 自治州를 건립할 당시부터 현재까지 줄곧 옌볜朝鮮族 간부의 점유비율은 朝鮮族 인구점유비율보다 높다(5.5 - 18.9百分点 높다).  1965-1985년의 朝鮮族 인구의 점유비중은 모두 50%이하(40.5-46%)인데 반해 朝鮮族 간부의 비중은 모두 50%이상(51-59.5%)이다2).  교육과 과학연구기관, 특히 대학과 연구소에 많은 교수와 연구원등 고급전문인력이 있으며 많은 대학의 행정관리요원도 있다.  예를 들면, 중국소수민족의 최고학부인 中央民族大學에서, 부총장과 처장, 학부장, 연구소소장을 담임하는 朝鮮族은 근 20명에 달한다.

 

그 외에도 朝鮮族은 2개의 민족자치지방-延邊朝鮮族自治州와 長白朝鮮族自治縣을 건립하였으며, 자주적으로 이 지역의 사무를 관리하고 민족평등과 자치의 권리를 충분히 행사하고 있으며, 주인으로서 민족과 지역내부 사무를 관리하는 권리를 충분히 행사하고 있다.

출처 : MyLoveChina
글쓴이 : null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