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 복음전도가 미미한 부분
1. 중국인
기독교로의 위대한 전환이 한중국인 가운데 더 많이 있었다. 1992년까지 6.5-7%의 기독교인이 있었지만, 사회에서의 기독교의 확산은 한결같지는 않다.
1) 공산당원들
5100만 명이라는 공식 집계는 비현실적이다. 이데올로기는 자기본위의 기회주의를 덮는 겉모양에 불과하다. 환멸과 기독교로의 변절은 많은 사람을 은퇴하게 했다. 성령께서 그들로 하여금 그들의 죄와 필요를 더 많이 깨닫게 하시도록 기도하자. 그들 가운데는 비밀리에 신앙 생활을 하고 있는 신자들도 많이 있다.
2) 군대
이들은 마르크스주의를 보호하며, 그들의 특권적 지위를 열정적으로 지킨다. 303만 명의 군인이 있지만, 그들 중에 기독교인은 극소수이다.
3) "잃어버린 세대"
이들은 문화혁명 당시 홍위병으로 군대에 동원된 젊은이들이다. 여기에 동원된 수백 만의 젊은이들은 당시의 혼란 속에서 그들의 젊음, 교육적 기대감, 개선의 희망 등을 잃었으며, 도덕적으로 뒤틀리고 착취당했다.
4) 이교도들
도교, 불교, 유교 같은 우상숭배의 미신에 여전히 매여 있는 사람들 이들 관습과 철학 사상들은 부활되고 있다. 그러나 젊은이들은 그것들에 그다지 매력을 느끼지 못한다. 새 종교인 QiGong은 역시 많은 추종자를 얻고 있다. 복음만이 줄 수 있는 자유를 필요로 하며 여전히 매여 있는 수백 만의 사람들을 위해 기도하자.
5) 미래의 주역인 학생들
1989년 사고의 충격으로 많은 이들이 기독교로 개종했지만, 210만 명의 대학생 대부분은 여전히 미전도된 상태이다. 그들 가운데 있는 기독교인들이 신앙 안에서 자라가고 열정적인 복음증거자가 되도록 기도하자. 1,075개의 캠퍼스 각각에 성경공부 그룹이 세워지도록 기도하자. 또한 일본(9만), 호주(4만) 등에서 유학 중인 중국인의 복음화를 위해 기도하자. 상당수가 주의 진리를 발견했다.
6) 도시
이 나라 남동부와 중부에 있는 몇몇 도시에는 기독교인이 많이 있지만 북경, 천진, 타이위안, 란, 센양 등의 거대한 중국인 도시에는 신자들이 거의 없고 그들의 활동에 대한 감시가 좀더 두드러졌다. 이들 도시에만 3,000만 명이 살고 있다.
7) 복음화가 미미한 북부와 서부의 지역들
기독교인의 비율이 1% 미만인 지역은 샹흐, 간수, 지앙흐이다. 기도교인이 3% 미만인 지역은 큉하이, 헤베이, 질링, 리아오닝, 후베이, 후난이다. 이들 복음전도가 미미한 중국인들 가운데 성령의 역사가 일어나도록 기도하자. 그리고 이들 지역에서 사역하고 있는 복음전도자를 위해 기도하자.
2. 자치 지역
이것들은 가장 인구가 조밀한 5개의 소수 종족인 즈후앙, 위그루, 티벳, 몽골, 회족을 위해 설립되었고 중국에서 가장 덜 복음화된 지역이다. 한족의 대량 이민은 티벳 종족만을 뚜렷한 대다수 토착민으로 남겨 놓았다.
1) 티벳족(Xizang Zizhiqu)
인구 2,200,000. 티벳인 2,100,000. 티벳은 중국이 그 지역을 침략했던 1950년 신정주의 불교국으로서의 일시적인 독립을 상실했다. 공산당원들은 티벳 종족의 문화, 종교, 민족적 정체성을 파괴하려고 조직적으로 애썼다. 점령자들에 대한 저항은 잦은 폭동과 불안 상태를 초래했다. 백만 명 이상이 목숨을 잃었으며, 10만의 티벳인들이 그들의 영적, 정치적 지도자인 달라이 라마와 더불어 강제 추방당했다.
(1) 티벳인들은 그들에게 복음을 전하려는 시도들에 오랫동안 저항해 왔다. 현재의 고통이 라마적 불교의 속박을 깨기 위한 하나님의 수단이 되도록 기도하자.
(2) 티벳에서의 정치적인 민감성과 긴장은 그곳에서 복음을 증거하려는 중국인과 외국인의 입국과 여행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복음에 대한 문이 열려지고 복음 전파의 자유가 확립되도록 기도하자.
(3) Qinghai, Sichuan, Gansu의 근접 지역에 살고 있는 2,400,000의 티벳인들은 더 접근하기 쉽다. 그러나 소수의 사역자들만이 그들을 위해 사역하고 있다. 그 지역에 있는 다른 종족 그룹들은 복음을 더 잘 받아들인다. 효과적인 티벳인 교회 개척을 위해 기도하자.
(4) 450,000명의 티벳인은 망명중이다. 민족주의, 불교에 대한 강한 충성심, 불교도 관료들에 의한 복음증거로부터의 티벳인 수호는 복음전도를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인도에 거주하는 티벳인 가운데는 약간의 회중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네팔에서는 복음에 대한 반응이 늘어나고 있다.
2) 신장 위구르 Zizhiqu(Sinkiang)
광대한 중아아시아 지역-인구 15,155,000. 9개의 회교도 종족이 인구의 60 중국인 39 몽고인 1%. 1990년 소련 연방의 붕괴 이후로 독립을 위한 교란의 차원이 높아졌고, 많은 새 회교 사원의 건축과 더불어 이란인의 영감을 받은 회교 신앙부흥 운동이 상당히 상승했다. 구소련의 5개 중앙아시아 회교 공화국 내에 있는 종족 그룹들의 혈통적 근접성은 민족주의적 열정을 더욱 자극한다.
(1) 1930년대에 위구르족 가운데는 신자들과 몇몇 교회가 있엇으나, 폭력과 박해로 인해 교회들은 파괴되고 신자들은 살해되거나 뿔뿔이 흩어졌다. 현재는 소수의 신자들만이 남아 있을 뿐이다. 목적의 달성과 신약성경의 분배, 그리고 위구르족 내에서 "예수" 영화의 보급을 위해 기도하자.
(2) Xinjian과 Qinghai, Gansu의 근접지역에 있는 회교도 Dongxiang, Salar, Bonan, 카자흐, 키르기스, 타직, 우즈벡, 타타르 등은 복음이 미치니 않았다. 교회도 없고, 그들에게 증거할 장기체류하는 그리스도인들도 거의 없다.
(3) 신장에 있는 150,000 기독교인들은 거의 모두 한족이다. 그들은 그 고장 주미들로부터 문화적으로 독립해있다. 그들이 모슬렘에게 증거하는데 비전을 갖고 이해를 하도록 위하여 기도하자. 대부분은 수도 우룽키에서 산다. 중국인이 아닌 사람 가운데 약 30-40명만이 그리스도인으로 알려져있다. 그들의 숫자는 증가하고 있으나 그들은 모슬렘들에 의해 이슬람에 돌아가라는 무거운 압력을 받기가 쉽다.
3) Ningxia Ilui
인구 4,655,000. 그중 한족은 70%, 회교도 회족 30%. 회족은 중국 거의 모든 지역에 살지만 Ningxia나 Gansu에 가장 많이 집중되어 있다. 그들은 한족이 사용하는 Puounghua이지만 독특한 종족 그룹으로 인정된다. 그들에게 다가가려는 노력이 드문드문 있어왔다. 최근 재개된 그들의 복음화에 대한 관심이 그들 가운데서 봉사하려는 그리스도인들의 요구를 인도하도록 위하여 기도하자. 그들 가운데는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것으로 알려진 소수의 신자들만이 있다.
4) 내몽고
인구 21,457,000. 한족 86%. 몽골인 11%. 기타 3%. 중구이민자들의 대량유입이 고유의 몽골인들을 궁지에 몰아넣고 가장자리로 몰아넣었다. 그 몽골인들은 그들의 문화와 불교를 고수해왔다. 몽골국의 민주주의 건설은 몽골인들을 위한 실제 자치권을 요구하는 시위운동을 유발시켜왔다. 북경 당국에게 인정될 것 같지 않은 욕망-중국에는 몽골 기독교인이 2,000며에 지나지 않는다. 중국에 있는 몽골인들이 복음을 향해 문을 열도록 위하여 기도하자. 라디오 사역이 가망을 보이고 있다. 시릴자모 원본의 신약성서는 몽골국에 유용하다. 몽골인이 손수 쓴 신약성서의 준비와 몽골인 중에서 교회를 건설하려고 구하는 자들을 위해 기도하자.
5) Guangxi Zhuang
Zhuang은 중국의 대규모 소수종족이다. 수년간 그들은 주로 기독교인들에 의해 경시되었으나 7년이상이 지나서 위대한 노력들은 라디오, "예수" 영화, 개인전도, 사회 프로그램들을 수단으로 그들에게 미쳐졌다. 이 불교도/물활론자들을 위한 노력은 드라마틱했고 동시에 빠른 교회성장이 현재 일어나고 있다. Zhuan의 완전한 복음화와 Zhuan에서의 신약성서의 완수를 위해 기도하자.
3. 기타 소수 종족들
평균적으로 기독교인의 비율은 1.6%로 대부분 한족 가운데서보다 낮다. 공식적으로 인정된 55개의 소수종족 중 28개는 신자들의 모임이 알려진바가 없다. 일부는 전혀 복음이 전해지지 않았고, 일부는 기독교인의 비율이 높다.
1) 만주족 (980만명 기독교인 0.01%)
이들은 그들 고유의 언어를 잃었고, 한족과 혼합하였다. 그들은 15개의 지역에서 살지만 주 집결지는 만주가 한때 이용하던 Liaoning, Jilin 등이다. 기독교인이 약 1,000명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재개되는 관심은 그들의 복음화 속에서 보여지고 있다.
2) 이족(660만명. 그리스도인 3%)
그들은 주로 Sichuan과 Ynnan에서 산다. 1949년 이래 Nosu Yi 가운데 단지 작은 돌파구가 닥쳐왔다. Sani Yi에는 덜 미쳐졌다. 적어도 다섯 개의 이 방언으로 된 성경이 필요하다.
3) 기타
Tujia(570만명. 기독교인 0.2%), Dong(250만명, 기독교인 0.06%), Bouyei(250만명, 기독교인 0.94 Hainan Is; 기독교인 0.09%) 등은 남부지역인데, 이들은 문화적으로 뚜렷하지만 중국 문화와 병합이 되면서 그들의 언어를 잃었다. 최초의 교회가 약 1세기 전에 세워졌지만 그들은 그들 고유의 언어로 된 성경을 가져본적이 전혀 없다.
4) Yunnan의 복음이 덜 미쳐진 종족들
소수 종족들은 자립교회가 없는 27들룹으로 된 1300만 사람들로 이루어져있다. -Dai, Naxi, Blung, Pumi, Achang, Nung, Jino, Benglong, Drug-Lisu(기독교인52%), Jingpo(46%), Wa(21%), Lahu(12%), Miao(6%), Hani(4%), Bai(3%) 가운데 있는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Yunnan의 한족 가운데 있는 비교적 소수의 기독교인들을 위하여뿐아니라 그들 지역이 복음이 미치지 않는 곳을 위해 비전을 보도록 위하여 기도하자.
5) 북부지역의 복음이 미치지 않는 곳
다음 중에는 알려진 교회들이 없다.: Buddhist Tu of Qinghai; Shamanist Xibe of Jilin; Daur, Oroqen, Hizhen, Evenki of Nie Mongol, Muslim Salar of Qinghai, Bonan of Gansu.
6) Jilin Liaoning 내의 한국인들(190만명, 기독교인 6.3%)
그곳에는 복음이 거의 미치지 않았지만 복음화를 통한 교회성장과 라디오 사역이 일어나고 있다. 일부는 13,000의 기독교인들이 있다고 추정한다.
4. 성격번역은 90년대에 위대한 선교 도전 중 하나이다.
현재 17언어로 사역하고 있는 자국인 및 외국 언어학자들을 위해 기도하자. 그리고 신약으로 번역될 필요가 있는 60개 언어와 이외 번역이 필요한 59개 언어를 위한 번역자를 위해 기도하자.
출처:모퉁이돌
출처 : MyLoveChina
글쓴이 : null 원글보기
메모 :
'중국의 기독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중국교회와 한국교회의 중국선교 (오동일) (0) | 2008.10.08 |
---|---|
[스크랩] 중국 학원선교 사역의 새로운 도전 (장요한) (0) | 2008.10.08 |
[스크랩] 태평양 연안에서 이루지고있는 중국인 선교 (김정남) (0) | 2008.10.08 |
[스크랩] 중국교회의 위기와 기회 (로널드 위) (0) | 2008.10.08 |
[스크랩] 현대 중국지식인이 기독교를 대하는 태도와 인식 (0) | 2008.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