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음의 관통로, 중국의 관문도시 베이징과 상하이
베이징(北京)
|
중국의 수도 베이징은 화북평원의 동북단에 자리하고 있으며 서북은 산지, 동남쪽은 평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총면적은 1.68만㎢로 우리나라의 강원도와 거의 같은 크기이다.
베이징은 도시 전체가 박물관이라고 일컬어지는 3천년 역사의 고도(古都)이며 중국의 수도이다. 중국의 정치, 경제, 행정, 문화, 학술의 중심지일 뿐만 아니라 만리장성을 비롯해서 천안문(天安門), 고궁(故宮), 이화원(?和?), 천단(天壇), 명십삼릉(明十三陵) 등 관광명소로도 유명하다.
베이징이 가진 고풍스러운 아름다움은 1949년 이래로 현대화와 공업화에 의해 거의 파괴되었지만 아직도 도시 일부에는 옛 모습을 상기시키는 부분이 남아 있다. 불멸의 역사적 가치를 지닌 훌륭한 건물들과 오래된 음식점, 전통공예품 등에서 과거의 향기를 느낄 수 있다.
행정구역 및 인구
베이징 시내에는 둥청(?城), 시청(西城), 충원(崇文), 쉬안우(宣武)구(?)가 있고 그 중심을 대사관을 비롯한 대부분의 한국기업이 집중해 있는 차오양(朝?), 펑타이(?台)구, 베이징에서 유일하게 산이 있는 스징산(石景山), 중국의 실리콘 밸리를 중심으로 엄청난 숫자의 대학을 보유한 하이뎬(海淀) 등 네 개의 큰 구가 둘러싸고 있다. 외곽에는 먼터우거우(??溝), 팡산(房山), 퉁저우(通州), 순이(??), 창핑(昌平), 따씽(大?), 핑구(平谷), 화이러우(?柔)구와 미윈(密云), 양칭(延?)현(?)이 있다.
베이징의 인구는 총1,456만 명(2002년)으로 전국에서 각 민족이 가장 많이 집중되어 있다.
역사
베이징을 말할 때 종종‘천년의 왕도(王都)??라는 말을 사용한다. 베이징이 처음으로 10세기 무렵에 역사에 등장하여 1421년 명 ? 청조 시대부터 계속 중국의 수도가 되었다. 1921년 신해혁명으로 청왕조가 멸망한 뒤 수도는 난징(南京)으로 옮겨졌다.
1949년 10월 1일 천안문 위에서 마오쩌둥(毛澤東)주석이 중화인민공화국을 선포하면서 다시 수도의 지위를 되찾았다. 이후 톈안먼 광장은 현대 중국의 굵직한 사건의 무대가 되었다. 1960~1970년대의 문화대혁명의 폭풍우 속에서 민주화 시위가 일어났고, 1989년 6월 톈안먼사태 등 격변화는 현대의 정국이 일어난 곳이다. 지금도 천년의 왕도 베이징의 역사는 끊어지지 않고 계속 이어지고 있다.
기후 및 교통
1월의 평균 기온은 -5℃, 7월의 평균 기온은 26℃ 정도이며 강수량은 연평균 635mm로 전형적인 대륙성 기후대에 속한다.
베이징은 전국의 철도, 도로, 항공기의 최대 중심지로 교통이 매우 편리하다. 시내 중심으로부터 원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이환(二環), 삼환(三環), 사환(四環)로는 신호등 없는 고가도로로 운용되고 있다. 지하철은 중요한 교통수단으로 운행되고 있다.
산업 및 경제
정치 도시로서의 역사를 거쳐 온 베이징은, 종래 스징산제철소의 중공업 외에 소비재공업이 활발했으나 역시 소비도시로서의 성격을 강하게 지니고 있었다. 공산정권 수립 후 계획 경제가 실시되어 시역(市域) 서부에 종전의 스징산제철소 및 징시탄전(京西炭田)을 바탕으로 대규모 철강 콤비나트가 형성되고 동부·북동부·남부에도 새로운 공업지대가 형성되어 기계·전자제품·철도차량·전기기기·합성섬유·플라스틱 등 중화학공업, 면방직·모방직·식품 등 경공업이 일어났다. 그 밖에 경태람(景泰藍:七寶)·옥기(玉器)·상아조각(象牙彫刻)·칠기 등 전통수공예 공업도 이루어진다. 징시탄전은 매장량 20억 톤의 풍부한 무연탄전으로, 스징산에는 그 무연탄을 연료로 하는 화력발전소가 있다. 근교의 농업 지대에서는 채소·과수 농업 및 오리·젖소 사육이 집단적으로 이루어지고, 수리 개량에 따라 논도 많이 조성되었다.
종교 및 기독교 현황
기독교가 베이징에 전래된 것은 1807년 개신교가 중국에 들어오면서 선교사들을 통해서였다. 1930년대부터 1940년대까지 중국 전역의 교회에 부흥이 일어나 베이징 지역에 60여 개소의 교회가 세워졌고 계속 성장하였다. 그러나 1966년 문화대혁명이 시작되면서 어떠한 종교 활동도 허용되지 않아 교회는 문을 닫아야만 했다. 그렇지만 성령의 역사로 지금까지 교회가 부흥되어 현재는 매년 1,500명씩 세례를 받고 있다고 한다. 베이징시는 인구 1천만 명이 넘는 대도시이지만 8개의 공인교회와 300개의 집회장소가 있을 뿐이다. 지금 베이징시에서 제일 큰 교회는 충원먼(崇文門) 교회인데 매주 2,000여 명 정도 모여 예배를 드리고 있다. 현재 베이징 시의 신도는 약2만 명쯤 되고 목사가 30여 명 정도가 있다.
베이징에 위치하고 있는 연경신학원(燕京神學院)은 중국의 화북, 서북 지역에 있는 10개 성시에서 사역할 사역자들을 양성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연경신학원을 통해 젊고 유능한 사역자들이 많이 배출되어 교회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감당하도록 기도해야 할 것이다.
기도제목
1. 베이징의 소외된 자들이 영적 구원을 받을 수 있도록. 베이징의 교회들이 예수님의 이름으로 배고픈 자들을 먹이며, 가난한 자들을 옷 입히며, 집 없는 자들에게 거처를 제공하며, 병든 자들을 돕는데 힘을 기울일 수 있도록. 그들을 위로하고 하나님께 이끌 수 있는 일꾼들을 하나님께서 불러 세워주시도록 기도하자.
2. 베이징에 만연한 물질주의와 죄악들을 대적하자. 베이징의 불신자들이 세상의 모든 물질을 소유한다 해도 예수님께서 그들의 구세주가 되시지 않으면 결코 만족한 삶을 누릴 수 없다는 사실을 발견할 뿐 아니라 육체적 쾌락을 추구할수록 그들의 삶은 더욱 공허해진다는 것을 깨닫고 주님께서 채우시기를 갈망할 수 있도록 기도하자.
3. 베이징에 계속적으로 늘어나는 수백만의 사업종사자들이 복음을 듣고 예수님을 믿을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사업을 위해 베이징 내에 주재하고 있는 많은 외국인 사업가들 중 기독교인들이 그들의 영향력을 최대한 활용하여 현지 사업가들에게 복음을 전할 수 있는 기회를 갖도록 기도하자.
4. 하나님께서 베이징에 계속적인 부흥의 불길을 일으켜 주셔서 성령의 크신 역사로 잃어버린 수백만의 영혼들이 회개하고 주 예수 그리스도를 만나도록. 새신자들이 계속 늘어남으로써 교회개척과 폭발적인 교회배가운동이 베이징 전역에 일어나며 나아가 중국 전체에까지 퍼져 나갈 수 있도록. 베이징과 온 중국이 하나님의 능력으로 완전히 복음화됨으로써 이를 통해 하나님께서 영광을 받으시도록 기도하자.
상하이(上海)
‘바다로 가는 길??을 뜻하는 상하이는 100여 년 전만 해도 보잘 것 없는 작은 어촌 마을에 불과했다. 그러나 창(長)강(江) 하구, 즉 수천 마일을 달려온 창강이 태평양으로 유입해 들어가는 곳이라는 지리적 이점을 십분 발휘하여 중국 내륙과 외국 간의 교역을 담당하는 중심지로 부상하였고 20세기에 들어서 중국에서 가장 큰 무역도시로 탈바꿈하였다. 특히 중국이 개혁개방의 깃발을 올린 후 상하이는 신(新)중국의 무역 ? 금융 ? 첨단산업 중심지로 발돋움하기 위해 외국 투자가들을 적극 유치하는 등 혼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
행정구역 및 인구
상하이는 면적 6,340.5㎢로 동부는 장쑤(江蘇)성, 서남부는 저장(浙江)성과 접한다. 동쪽은 동중국해(海)에 면해있다.
행정구역은 황푸(?浦), 루완(??), 수후이(徐?), 창닝(??), 징안(?安), 푸퉈(普陀), 자베이(?北), 훙커우(虹口), 양푸(?浦), 푸둥신(浦?新), 바오산(?山), 민항(?行), 자딩(嘉定), 진산(金山), 쑹장(松江), 칭푸(?浦), 난후이(南?), 펑셴(奉?)구(區)와 충밍(崇明)현(?)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인구는 1,711만 명(2002년)이다.
역사
상하이는 1920년대 전국시대에 지금의 상하이에 해당하는 춘션군(春申君)의 봉토였기 때문에 지금도 션(申) 또는 후(?)라고도 불린다. 당나라 시기에는 화팅(華亭)현의 일부였는데 송대에 상하이진(上海?)이 형성되어 1292년에 상하이현이 되었다. 상해현은 원래 장쑤성에 속하였다.
아편전쟁을 끝낸 1842년 난징조약에 의하여 상하이는 조약항으로서 개항하여 1848년 이래 영국, 프랑스 등의 조계가 형성되었다. 1920년대부터 1930년대에 걸쳐 상하이는 극동 최대의 도시로 발전하여 아시아 금융의 중심이 되었고 1992년 이래 본격적으로 개발된 푸둥(浦東)지구가 견인하여 고도 경제발전은 계속되고 있다. 1927년에는 특별시로 1930년에는 직할시로 성립하였다. 또 상하이시 지도부로부터 장쩌민(江澤民), 후진타오(胡錦濤), 주룽지(朱鎔基) 등 중화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 총리가 배출되었다.
기후 및 교통
아열대 기후이나 4계절이 분명하다. 여름에는 습도가 높으며 때때로 40℃를 오르내릴 때도 있을 만큼 몹시 무덥다. 겨울은 1월 평균기온이 3℃ 내외로 비교적 따뜻하다. 연강수량은 1,100㎜ 정도이다. 상하이는 유명한 국제항구로 해상 교통을 비롯한 모든 교통이 매우 발달하였다.
산업 및 경제
상하이의 경제는 매우 발달하여 2002년 전 성의 총 생산액은 5,408.76억 위안(元)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은 소득을 올렸다. 주요 공업으로는 자동차, 발전 및 플랜트 설비, 석유화학, 철강 등이 있으며 최근에 자동차, 발전 및 플랜트 설비, 정보통신, 금융, 유통, 부동산 등을 6대 기간산업으로 지정하여 집중 육성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중공업 비중이 64.8%를 차지할 정도로 높으며 산업구조는 1차, 2차, 3차 산업이 각각 1.7%, 47.6%, 50.7%로 3차 산업 비중이 높게 나타나는 등 중국에서는 산업구조가 가장 고도화 되었다.
종교 및 기독교 상황
상하이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 이외의 어떤 것도 믿지 않는다고 단언한다. 교육·종교 분리주의, 합리주의, 그리고 물질주의가 대부분의 사람에게 있어 보편화된 사고방식이다. 그러나 조금씩 전통 종교들이 부활하고 있으며 도시의 큰 불교와 도교 사원에 가는 사람들이 많아 졌다. 그들 중에 젊은이들도 상당히 많다. 그러나 대부분은 행운을 빌기 위해 가는 것이지 실제로 신앙심이 깊어서 가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변두리 지역에 사는 사람들이 도심에 사는 사람들 보다 종교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하이에서 종교를 가진 사람들의 62%가 상하이의 10%밖에 안 되는 변두리 지역에 산다. 이들 중 대다수가 농촌출신들이다. 등록된 268개의 종교 활동지가 상하이의 모든 종교 활동지의 84%가 되는 농촌에서 시작되었다. 74개의 천주교 성당, 129개의 개신교 교회, 50개의 불교 사원과 13개의 도교 사원이 있다.
상하이에 있는 16만 명의 가톨릭 신자들의 80%가 농촌에 사는데 특히 푸동에 많다. 농부와 어부 중에도 가톨릭교도들이 많은데 셰샨의 가톨릭 성지 가까이에 있는 쑹장이나 칭푸 등에 특히 많다. 이 지역에 있는 마을 중에 일부는 주민 모두 천주교도이다.
공인된 삼자교회에는 대략 15만 명가량의 신자가 있으며 등록되지 않은 가정교회에는 더 많은 사람들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도시 내에는 가정교회들이 6천 개에 이를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시골에서 볼 수 있는 역동적인 움직임과는 달리 이들 중 많은 수가 다른 곳과 연결되어 있지 않으며 빠른 속도로 늘어나는 것도 아니다. 도시에 있는 많은 모임들이 소규모 모임들이다. 등록되지 않은 기독교 모임에 대한 박해는 계속 있어왔다. 대다수의 사람들은 기독교에 대해 무관심하다.
기도제목
1. 성공과 물질주의가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돈이 그들 생활의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이 돈과 탐욕의 영을 대적하며 기도하자.
2. 성적 욕망과 매춘이 혁명 이전 상하이의 특징이다. 이 세력이 다시 중국인 사회의 도덕 구조를 파고들고 있다. 이 타락의 영이 이 도시에서 완전히 떠나가도록 기도하자.
3. 교회 안에 더 많은 일꾼들을 세워 주시고 젊은이들이 훈련되어 신세대에 대한 목회활동을 이끌어가는 지도자 역할을 감당하도록 기도하자.
'중국의 기독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중국교회의 위기와 기회 (로널드 위) (0) | 2008.10.08 |
---|---|
[스크랩] 현대 중국지식인이 기독교를 대하는 태도와 인식 (0) | 2008.10.08 |
[스크랩] 덩샤오핑(鄧小平) 시대와 중국 기독교 (강인규) (0) | 2008.10.08 |
[스크랩] 린즈핑 대만 중원대 교수 “중국선교, 한·중 기독인 협력부터 시작해야” (0) | 2008.10.08 |
[스크랩] 중국교회 자양(自養)의 상황과 필요 (0) | 2008.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