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자교회는 어떤 교회인가?
중국의 선교를 짧은 글로 이야기하기는 어려운 일이다. 워낙 넓은 땅에, 많은 사람들이 사는 나라이고, 중국 선교의 이야기는 세계 인구의 20%에 해당하는 어마어마한 사람들에 대한 선교 이야기이기 때문에 긴 시간을 가지고 해야할 이야기이다. 그러나 가능한한 간단하고 어렵지 않게 이야기를 풀어가자면 삼자교회라는 중국 만의 특수한 교회의 모습을 가장 이해하기 쉽게 풀어 나가야 할 것이다.
중국의 공식교회를 삼자교회라고 부르는 이유는 중국 정부의 종교 정책의 모토인 "자전, 자양, 자치"에 스스로 자(自)가 세번 들어가기 때문이다. 그리고 삼자교회는 중국 공식 교회를 관할하고 있는 기관이 삼자애국운동위원회 산하의 교회 라는 의미이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가정교회는 삼자교회의 울타리 밖에 있는 교회들이라고 말할 수 있다. 즉 삼자교회는 공식적으로 인정되는 교회이고, 합법적인 교회인 반면, 가정교회는 비공식교회이며, 지하교회이며 불법교회라고 할 수 있다.
삼자의 원칙은 기독교 뿐 아니라 중국 내의 모든 종교에 대한 중국 정부의 대원칙이다. 삼자를 구성하는 자전, 자양, 자치 등 세가지 원칙에 대한 세세하고 학문적인 설명은 피하기로 한다. 다만 좀 간단하게 이 대원칙을 설명하면 중국 정부의 감독을 받아야 한다는 점과 함께 특히 외국의 종교기관이나 종교관련 단체와의 교류를 철저하게 금지하고 있다는 점이라고 말할 수 있다.
심지어 카톨릭 같은 경우는 개신교의 삼자교회와 마찬가지로 카톨릭애국연합이라는 관영 단체 산하의 관영 카톨릭교회가 존재하는데, 이 교회는 카톨릭교회 임에도 불구하고 외국기관과의 차단의 원칙에 따라 바티칸의 치리를 거부하고 있다. 과연 바티칸의 치리를 거부하는 조직이 카톨릭 조직이라고 할 수 있는지 모르겠지만, 여하튼 카톨릭 내의 주요 요직은 공산당의 감독을 받는 카톨릭애국연합이라는 기관에 의해서 임명이 된다.
이 같은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해 바티칸은 카톨릭애국연합에 의해 임명된 고위직의 신부들을 어지간하면 추인해서 임명하는 형식을 밟고 있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형식에 불구하고 바티칸은 중국의 관영 카톨릭조직에 대한 인사권과 치리권을 전혀 행사하지 못하고 있다.
또 때로는 중국에서 내정된 사람에 대해 바티칸이 도저히 동의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중국과 바티칸 사이에 외교적 긴장관계가 형성된다. 새 교황이 취임한 후 바티칸과 중국이 수교를 검토하고 있는 중이나 바로 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해 수교협상이 쉽게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
삼자교회의 모든 문제는 중국교회가 정부의 감독을 받아야 한다는 데서 출발한다. 중국 정부는 익히 알다시피 공산당 정부이다. 비록 중국이 개혁과 개방을 통해 자본주의국가보다 더 자본주의적인 곳으로 변했다고 하지만, 중국 정부와 국가의 공식이념은 공산주의이다. 공산주의는 종교에 결코 우호적이지 않으며 무신론을 표방한다.
결국 하나님이라고 하는 절대자이자 창조주를 믿는 교회라고 하는 집단이 신은 없다고 믿는 무신론집단의 감독과 지휘를 받아야 하는 것이다. 삼자교회의 모든 문제들은 여기에서부터 시작된다. 내일은 이러한 구조적인 모순으로 인해 삼자교회에서 나타나는 문제들을 살펴보기로 한다.
'중국의 기독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중국의 삼자교회 (0) | 2008.10.08 |
---|---|
[스크랩] 내적 갈등에 시달리는 삼자교회(三自敎會) (0) | 2008.10.08 |
[스크랩] 어느 선교사가 체험한 삼자교회 (0) | 2008.10.08 |
[스크랩] 신앙개조 운동 (0) | 2008.10.08 |
[스크랩] 조선족 목사가 말하는 삼자교회 (0) | 2008.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