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응답: 한국 선교운동의 현재와 미래적 전망 (김종국) 응답: 한국 선교운동의 현재와 미래적 전망 김종국 선교사 (인도네시아 장로교신학대학원장) 한국 청년 선교운동의 중요한 축을 감당하고 있는 발제자의 폭넓은 경험에서 우러난 갚진 원고에 감사하고, 한 시대의 선교를 위해서 ‘선교한국’이라는 귀한 도구를 허락하신 하나님께 영광 .. 선교학 2012.07.09
[스크랩] 한국 선교운동의 현재와 미래적 전망 (한철호) 한국 선교운동의 현재와 미래적 전망 -효과적인 선교동원의 관점- 한철호 (선교한국 상임총무) 1. 한국교회의 선교 이제 한국교회가 선교에 그 헌신을 더해가면서 점차로 세계선교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시작했다. 2004년 현재 파송된 12,000여명의 선교사들이 전 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그.. 선교학 2012.07.09
[스크랩] 교회의 사명과 복음 선교론 - 왜 선교는 해야 하는가 (성기호) 교회의 사명과 복음 선교론 - 왜 선교는 해야 하는가 성기호(성결대 명예총장) 복음을 땅끝까지 전하라고 하는 것은 유언처럼 그리스도께서 마지막 부탁하신 명령이다. 승천하시기 직전 땅에서 마지막 하신 말씀이 "내 증인이 되라"(행 1:8)는 부탁이었다. 그리스도의 생애와 교훈을 기록하.. 선교학 2012.07.09
[스크랩] 인도선교의 중요성 "인도선교의 중요성" 1. 인도 개요 인도는 세계 4대 문명(메소포타미아 문명, 이집트 문명, 인더스 문명, 황하 문명)중의 하나를 기원 전 약 3,000 년경부터 약 1,500 년간 이루었는데, 이 시기는 고대 이집트, 앗시리아, 바벨론 문명과 거의 동시대로 볼 수 있다. 또한 세계 4대 종교(기독교, 회.. 선교학 2012.07.09
[스크랩] 선교와 선교학 (R.프리들리) 선교와 선교학 R. 프리들리 / 김웅태역 제1절, 오늘날의 선교 상황 선교(Mission) 개념은 신학적인 어원에 있어서 지적인 혼동과 감정적인 불확실한 개념들로 뒤덮여 있다. 「선교란 먼저 세상의 비가톨릭 부분(portion)에 있어서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사랑을 위하여 시도된 사업」으로 이해.. 선교학 2012.07.09
[스크랩] 십자가 신학과 선교 (김영동) 십자가 신학과 선교(Theologia crucis and Mission) 김영동(조교수/선교학/세계선교대학원장) 1. 오늘의 상황 진단과 논지 개신교의 핵심 모토는 "항상 개혁하는 교회"(ecclesia semper reformanda)이다. 이것은 성경과 복음을 떠난 중세 말기 타락한 기독교를 개혁하는 종교개혁자들의 결연한 의지를 압축.. 선교학 2012.07.09
[스크랩] 선교의 목표는 교회입니다. 교회의 본질은 선교입니다 (이교욱) 선교의 목표는 교회입니다. 교회의 본질은 선교입니다.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선교학 이교욱 교수 살아계신 하나님은 선교하시며 하나님의 백성에게 선교를 명한 선교의 하나님이시다. 그러므로 선교의 교과서는 살아계신 하나님의 말씀인 신구약 성경이다. 죄인이 회개하고 예수 그리.. 선교학 2012.07.09
[스크랩] 선교가 계속되는 한 사도행전도 계속된다 (이재환) 선교가 계속되는 한 사도행전도 계속된다 이재환 목사/ 컴 미션 대표 새로운 교회운동으로 ‘ACTS 29’ 라는 이름으로 선교의 비전을 앞세우는 교회가 있다. 그리고 이에 따른 많은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는 것과 주위의 교회들로부터 비판을 받고 있다는 소리도 들었다. 사도행전 후기에 일.. 선교학 2012.07.09
[스크랩] 선교와 예루살렘 교회/사도행전 1-12장을 중심으로 (남전우) 선교와 예루살렘 교회(사도행전 1-12장을 중심으로) 남전우/GMTC 교수 들어가는 말 역사적으로 지상 최초의 지역 교회는 예루살렘 교회이다. 예루살렘 교회에 대한 역사적인 자료는 남아 있지 않다. 그러므로 역사적 관점에서의 예루살렘 교회를 추적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그러나 신앙.. 선교학 2012.07.09
[스크랩] 선교와 예루살렘 교회/사도행전 1-12장을 중심으로 (남전우) 선교와 예루살렘 교회(사도행전 1-12장을 중심으로) 남전우/GMTC 교수 들어가는 말 역사적으로 지상 최초의 지역 교회는 예루살렘 교회이다. 예루살렘 교회에 대한 역사적인 자료는 남아 있지 않다. 그러므로 역사적 관점에서의 예루살렘 교회를 추적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그러나 신앙.. 선교학 2012.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