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제2 스위스 신앙고백서와 설교 제2 스위스 신앙고백서와 설교 한일장신대 정장복 총장의 설교 코멘트 <제2 스위스 신앙고백>(A.D. 1566)은 츠빙글리의 제자였던 불링거(Henry Bullinger)에 의해서 작성되었다. 불링거는 칼뱅이 종교개혁에 뛰어들기 전에 이미 독일계 스위스 지역의 제2세대 개혁자로 등장하였고, 칼뱅이 .. 교리학 2012.04.02
[스크랩] 사도신경 영어 The Apostles' Creed 디 어퍼쓸 크뤼드 I believe in God, the Father Almighty, the Creator of heaven and earth, 아이 빌리빈 갓, 더 파더 얼마이리, 더 크뤼에이러 오브 해븐 앤 얼쓰 and in Jesus Christ, His only Son, our Lord: 앤 인 지저스 크라이스트, 히즈 올리 썬, 아우어 로드: Who was conceived by the Holy Spirit, born of the Virg.. 교리학 2012.04.02
[스크랩] 尼西亚信经 尼西&#20122;信&#32463; (The Nicene Creed,A. D.325) 《尼西&#20122;信&#32463;》是初期&#25945;&#20250;和&#24403;&#26102;的&#24322;端&#32463;&#36807;近三百年的激烈&#20105;&#36777;之后,于公元325年在&#25945;&#20250;的尼西&#20122;&#20250;&#35758;上制定,又于公元381年修.. 교리학 2012.04.02
[스크랩] 使徒信经 使徒信&#32463; (The Apostles' Creed,A. D.5~7) 《使徒信&#32463;》被&#35270;&#20026;基督&#25945;&#20250;(包括:新&#25945;、天主&#25945;、&#19996;正&#25945;)最早的信仰告白,&#23427;&#19982;《尼西&#20122;信&#32463;》、《迦克墩信&#32463;》及《&#20122;他那修信&#32463.. 교리학 2012.04.02
[스크랩] 사도신경 번역 사도신경 번역 칼빈대학교 강의안. 신원균 목사 사도신경(기존 번역) 전능하사 천지를 만드신 하나님 아버지를 내가 믿사오며, 그 외아들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믿사오니, 이는 성령으로 잉태하사, 동정녀 마리아에게 나시고, 본디오 빌라도에게 고난을 받으사, 십자가에 못박혀 죽으.. 교리학 2012.04.02
[스크랩] The Belgic Confession (1561년) The Belgic Confession (1561년) THE oldest of the doctrinal standards of the Christian Reformed Church is the Confession of Faith, popularly known as the Belgic Confession, following the seventeenth-century Latin designation "Confessio Belgica." "Belgica" referred to the whole of the Netherlands, both north and south, which today is divided into the Netherlands and Belgium. Th.. 교리학 2012.04.02
[스크랩] 신앙고백과 교회교육 신앙고백과 교회교육 1. 교회의 가르침 교회는 학교가 아니지만 교회에서도 교육은 중요한 것이다. 처음부터 교회에는 가르침과 배움이 있었다. 구약을 보자면, 이스라엘 백성의 아버지는 하나님의 크신 사역을 자녀에게 가르쳐야 했다. 예를 들어 이스라엘 백성은 해마다 애굽에서의 해.. 교리학 2012.04.02
[스크랩]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 대1. 인간의 제일되며 가장 높은 목적은 무엇인가? ☞ 인간의 제일되며 가장 높은 목적은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며, 영원토록 그를 온전히 즐거워하는 것이다. 대2. 하나님이 계시다는 사실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 인간 안에 있는 본성의 참된 빛과 하나님의 피.. 교리학 2012.04.02
[스크랩] 니케아신조과니케아-콘스탄티노플신조의 비교 니케아신조과니케아-콘스탄티노플신조의 비교 - 역사적 배경을 근거로 하여 - 서론 초대 기독교가 갖고 있는 최대의 주제는 “주 예수 그리스도”였다. 초대 기독교의 배경 속에서도, 그리고 속사도, 변증가, 교부들의 글 속에서도 그리스도는 핵심 주제였다. 과연 그리스도는 어떤 존재.. 교리학 2012.04.02
[스크랩] 니케아 회의 Ⅰ. 서 론 기독교의 대박해는 콘스탄틴 시대(니케아 시대)종식 되었다. 그러나 외부적인 박해가 끝이 나고 평안의 시대가 교회 안에 주어졌을 때 내부적인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것은 교리의 논쟁이었다. 초대 기독교가 갖고 있었던 최대의 교리 논쟁의 주제는 “예수 그리스도”였다. 예.. 교리학 2012.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