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중생과 회심(回心)의 차이 중생과 회심(回心)의 차이 마틴 로이드존스 “그러므로, 중생의 의미가 무엇인지 고찰할 때, 한 가지 중요한 점은 중생을 회심과 구분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너무나 자주, 이 둘은 혼동되어집니다. 하지만, 중생은 회심이 아닙니다. 회심은 우리가 하는 것인 반면, 중생은 우리에.. 교리학 2012.01.23
[스크랩] 개혁주의와 근본주의는 어떻게 다른가? / 튤립선교회의 김명도 교수 개혁주의와 근본주의는 어떻게 다른가? / 튤립선교회의 김명도 교수 오늘은 근본주의에 대해서 말씀을 드립니다. 많은 분들의 근본주의 (Fundamentalism) 에 대해서 잘 모르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이 기회를 이용하여 좀 자세히 말씀드리고 저 합니다. 18세기에 독일에서 일어난 .. 교리학 2012.01.23
[스크랩] 종교다원 주의와 기독교 종교다원 주의와 기독교 오늘은 먼저 종교다원주의에 대하여 알아보려고 하는데 종교다원주의란 한마디로 모든 종교를 인정하고 모든 종교에 구원이 있다고 주장하는 사상을 말한다. 그들의 주장을 한마디로 요약한다면 산에 오르는 길은 다르지만 올라가보면 똑 같다는 것이다... 교리학 2012.01.12
[스크랩] 카톨릭의 비 성경적 교리 역사 44가지 카톨릭의 비 성경적 교리 역사 44가지 1. 루시안이 장로를 사제라고 처음으로 부름 --- 2세기 2. 시프리안이 사제가 집전하는 미사를 만들어 냄 --- 3세기 3. 죽은 자를 위한 기도(바빌론 종교의 풍습) --- A.D. 300 4. 십자가 형상을 만듦 --- A.D. 300 5. 촛 불 --- A.D. 320 6. 천사, 죽은 성인들, 형.. 교리학 2012.01.12
[스크랩] 천주교가 현대에 새롭게 해석한 십계명 천주교가 현대에 새롭게 해석한 십계명 호렙 산에서 하느님은 모세에게 십계명을 넘겨주었다. 십계명이란 하느님의 뜻을 따라 자매형제인 타인을 사랑하면서 살아가고자 하는 사람을 위한 열가지 기본적인 요구이다. 오늘날 우리들에게 새롭게 들려주시는 그분의 십계명을 들어.. 교리학 2012.01.12
[스크랩] 천주교도 기독교인가? (M. L. Jones) 천주교도 기독교인가? 개신교의 대표적인 학자였던 마틴 로이드 존스 박사님께서 천주교에 관해 책을 저술하였는데, 요약한 자료입니다. 책제목 : <로마 카톨릭 사상 평가 > 마틴 로이드 존스(Martyn Lioyd Jones) Originally Printed in Great Britain at The Burlington Press, Foxton, Near Cambridge. ........ 교리학 2012.01.12
[스크랩] 천주교(天主敎; Catholic) 연구 (오아론) 천주교(天主敎; Catholic) 연구 / 오아론 목사 한국에서는 천주교에서도 성경 공부를 하고 있으며, 성령 운동을 하고 있는 것을 볼 때 기쁜 마음 금할 길 없다. 그러나 우리가 세계 선교를 할 때 가장 극심한 방해를 하고 있는 종교가 천주교이며, 오늘날 전도하기가 가장 힘든 사람들.. 교리학 2012.01.12
[스크랩] 기독교와 천주교의 간략한 교리 비교 기독교와 천주교의 간략한 교리 비교 주요 교리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1. 교회사(敎會史) 1) 기독교: 주후 33년 예수님의 제자들에 의하여 시작 되었으며, 1527년 마틴 루터, 장 칼빈 등의 종교 개혁으로 초대교회의 모습을 되찾아 예수교로도 불린다. 2) 천주교: 주후 313년 로마의 .. 교리학 2012.01.12
[스크랩] 스토아학파와 에피쿠로스학파 스토아학파와 에피쿠로스학파 1. 스토아 학파 (1) 스토아 학파의 정의와 구분 (2) 유물론과 범신론적인 세계관 (3) 인간관과 윤리학 2. 에피쿠로스 학파 (1)에피쿠로스학파의 정의 (2)형이상학과 인식론 (3)에피쿠로스주의 3. 회의학파 4. 쾌락주의와 금욕주의 1. 스토아 학파 (1) 스토아.. 교리학 2012.01.05
[스크랩] 스토아 학파(Stoikoi School) 스토아 학파(Stoikoi School) B.C. 315년경 키프로스섬 출신의 제논에 의해 창립되었는데, 그가 아테네의 스토아 포이킬레라는 건물에서 가르쳤다 하여 스토아 학파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이 학풍은 이후 아테네, 타르수스, 셀레우케이 아, 로도스 등지에 계승되고, B.C. 2세기경 로마에 .. 교리학 2012.0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