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기독교

[스크랩] 중국선교 연구

수호천사1 2016. 4. 11. 00:03

중국선교 연구


1. 다양한 중국 교회

(1) 중국 선교를 이해하려면 먼저 중국 교회에 대해 이해해야 합니다.
중국 교회는 표현하기 어려울 만큼 다양합니다. 주로 삼자교회와 가정교회로 나뉘며 요즘은 삼자교회와 가정교회 중간상태에 있는 교회도 있습니다.


(2) 혼돈의 와중에 있는 삼자교회
삼자교회란 중국기독교 삼자애국운동위원회의 약칭이다. 삼자교회의 주장은 "중국 공산당과 인민 정부의 영도 아래 전국의 기독교신도들을 단결하여 조국을 사랑하면서 국가의 법령을 준수하고 자치, 자양, 자전의 삼자를 지지해 나가자"이다.

삼자교회는 중국정부에 등록을 한 교회인데 주님을 모르는 체 정부의 주구 노릇만 하는 세속화된 사역자들이 많지만 오바댜와 같은 복음적이고 헌신적인 사역자와 성도들도 있다. 삼자교회의 현황은 신도가 1천만명, 예배당 12,000개, 예배처소 25.000개 신학교 17개, 신학생 1000명.

[ 삼자교회의 특징 ]

(1) 사회주의 체제의 중국에서 삼자교회는 공개적, 공식적으로 존재한다.
(2) 사회의 조직체로서 삼자교회는 정부의 입장과 노선을 옹호, 실천한다.
(3) 삼자교회의 존재와 활동은 정부의 정책과 관리, 통제를 따라야한다.
(4) 개별적 삼자교회의 특징과 상황은 각 지역의 상황과 종교간부, 교역자로 인해 결정된다.

삼자교회를 한마디로 성경적인 교회인가 아닌가를 판단하기는 불가능하다. 중국이라는 특별한 상황에 존재하는 교회인 만큼 그 교회의 성격은 목회자의 신앙과 신학의 직접적인 지배를 받게된다. 때문에 삼자교회 중에도 성경적인 교회와 비성경적인 교회가 공존한다.

[ 삼자교회의 문제점 ]

(1) 공산당의 통제에 타협할 수밖에 없다.
(2) 잘못된 정치적 신학
(3) 독립가정교회들과 모순과 갈등을 일으키고 있다.
(4) 삼자교회 지도자들의 양적 질적 부족. 비록 1,000명의 신학생이 있다고 하나 교인이 1000만명이라는 점을 생각해보셔야 한다. 그리고 삼년제 전문대학수준이고 신학대학원은 오직 1개로서 교수진만 양성하고 있어, 목회자들의 학문적인 수준이 아주 낮다. 많은 교회에는 신학교육을 받은 목회자가 부재한 상태이다. 800명 이상의 교회도 목사님이 부재한 경우가 많다.


2. 핍박받는 가정교회

중국의 가정교회는 비공식적인 통계로 7,000∼8,000만명 좌우라고 한다. 놀라운 것은 1949년 중국공산당 집정 전까지 중국교인의 수는 8만명 밖에 안되었다는 것이다. 50여 년간 핍박 속에서 놀라운 성장을 한 것이다. 이 성장율은 기독교역사에서 전례가 없었다고 한다.

(1) 정부 혹은 삼자교회로부터 핍박받는 가정교회

중국의 가정교회를 표현하는 여러 가지 가운데 하나가 「고난받는 교회」 혹은 「핍박받는 교회」이다. 중국은 표면적으로 종교 자유가 헌법상 보장되어 있는 나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그러한 표현이 존재하는가 하는 것이다. 현재도 많은 가정교회들은 정부의 허울좋은 보호아래 "들어 오라" 등록하라는 권유를 받고 있다. 종교활동에 관한 정부규정에 따라 등록하지 않은 교회는 불법 집회이므로 보호받을 수 없으며, 도리어 단속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래서 적지 않은 가정교회들이 이러한 정부의 단속과 탄압을 모면하기 위해 등록하는 한편 합법적인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고 안심하기도 한다.
가정교회가 받는 핍박의 배경에는 정부 당국인 공안이나 종교사무국 관계자 외에도 삼자교회 관련자가 있다. 물론 삼자교회 지도자인 목사나 장로의 자질에 따라 그 차이는 있을 수 있겠지만 농촌 지역 삼자교회의 지도자들에게서 받는 인상은 마치 초대교회의 부흥과 발전 당시의 제사장이나 서기관들과 같다는 것이다. 가정교회 부흥에 대하여 일종의 시기나 인간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가정교회가 삼자교회의 방침을 따르면 교회의 본질이자 생명인 복음전파가 제한될 수 밖에 없다. 일부 가정교회에서는 일단 등록하여 직접적인 핍박을 면한 뒤에 정부나 삼자교회의 방침을 따르지 않겠다고 생각하며 등록하기도 한다. 그러나 더 많은 가정교회는 등록을 거부하며 정부의 삼자 방침과 타협하지 않음으로 인해, 해마다 행사와 같이 치러지는 정부의 「옌다(嚴打 : 엄격하게 사회치안 유지와 범죄척결)」와 숨바꼭질하고 있다.


(2) 이단 발생 혹은 이단 침투의 취약점을 가진 가정교회

중국의 가정교회는 은밀성과 환경적인 여러 요인으로 인해 자생적이거나 외국에서 들어온 이단이 발붙이기 쉬운 상황에 있다. 그 주요 원인으로는, 주님의 주권적인 은혜와 역사로 교회는 부흥되고 있으나 정확한 성경적 가르침을 받을 기회가 없기 때문이다. 중국 내 자생적 이단이나 극단파로 중국선교기관의 자료에서 많이 언급되고 있는 것으로는 「영영교(靈靈敎)」, 「세 종들」, 「동방의 번개파」「큰 소리로 외치는 파」, 「큰 빛파」등이 있으나 아직 전국 규모에는 이르고 있지 못하다.

한편, 해외에서 침투한 이단은 한국에서 온 「엘리야선교회」가 최근 동북에서 조선족뿐만 아니라 한족에게까지 세력을 확장하고 있다. 「통일교」나 「몰몬교」등도 침투하고 있지만 아직 확연하게는 드러나지 않고 있다.

(3) 중국복음화와 세계 선교의 희망인 가정교회

중국은 아직 복음을 들어보지 못했거나 교회가 없는 곳이 매우 많다. 또한 복음이 아직 미치지 못한 소수민족 지역도 많이 있다. 현재, 가정교회는 이러한 복음 전파의 사명을 가지고 열심히 잃어버린 영혼을 찾아다니며 사역하고 있다. 많은 가정교회가 전도팀을 구성하여 파송하거나 순회 전도를 하고 있다. 중국 기독교인이 증가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가 바로 가정교회의 복음전파 결과이다.

삼자교회의 원칙적인 방침에 의하면 사람들이 수동적으로 교회에 나오는 것을 기대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가정교회는 어떤 환경과 상황에서도 모일 수 있다. 그리고 「온 천하에 다니며 만민에게 복음을 전하라」는 주님의 명령을 충실히 순종하고 있다. 중국복음화의 희망은 가정교회 사역의 발전 여부에 달려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가정교회의 복음전파 사역을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것이야말로 중국선교의 중요한 과제 중 하나다. 그리고 중국 가정교회에 의한 중국복음화는 진정한 의미에서의 자전(自傳)을 실천하는 것이다.

중국의 가정교회에는 또한 세계선교를 주제로 하는 찬양노래가 있다. 세계의 선교학자들은 중국교회가 21세기 세계선교의 주축을 이루게 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중국인들의 해외 출국의 문도 점차 넓어지고 있다. 벌써 몇 년 전에 필자는 이스라엘로 갈 노동인력을 모집하는 지방신문 광고를 보고 깜짝 놀란 적이 있다. 또 어떤 지역의 가정교회는 젊은 교역자들에게 영어학습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즉 중국인들이 세계선교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문이 다양하게 열려지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중동 이슬람국가에 대한 선교도 중국교회의 중요한 몫이 될 것이다.

3. 중국 교회는 무엇을 필요로 하는가?

중국 교회의 발전 상황을 보면, 각 방면에 있어서 서로 다른 필요가 있다. 그 필요가 무엇인지를 알아보자.


첫째, 신도들을 양육해야 한다. 중국 교회는 많은 신도가 있으나 목회자와 전도인이 매우 부족하다. 게다가 대부분의 신도들이 농촌에 살고 있고 교육수준이 높지 않아 성경공부를 할 때 환경적인 영향으로 종종 어려움을 당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신도들이 영적으로 성장할 수 없으며, 이단 사상에 쉽게 넘어가 버리기도 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신도들의 자질을 향상시켜야 하고, 훈련반을 만들어 적극적으로 발전시켜야 한다. 현재 중국 교회의 가장 시급한 일은 신도들을 양육시키는 일이다.


둘째, 목회자와 평신도 지도자를 훈련시켜야 한다. 중국 교회에 목회자와 신도들 간의 비율은 1 : 10,000 명 이상으로 목회자가 매우 부족한 상태이다. 현재 중국 교회의 목회자를 양성하는 곳은 모두 17개로 신학교가 13개, 성경학교가 4개 있다. 비교적 편벽한 곳에 위치한 신학교는 교수 요원이 매우 부족하고, 성경에 관한 참고서적이 거의 없는 형편이다. 여러 방면에 걸쳐 자원이 부족하기 때문에 발전에 어려움이 많다. 목회자를 양성하는 일은 현재 중국 교회의 가장 큰 필요이다.

셋째, 문서선교 사역이 필요하다. 최근 들어 양회(삼자애국운동위원회와 중국기독교협회)에서는 많은 영적인 서적을 출판했다. 그러나 여전히 중국 교회의 필요를 만족시키기에는 부족하다. 특별히 성경 공구서(工具書; 사전·자전·색인·연표·연감·백과전서 등의 서적 - 편집자 주)가 매우 부족하고, 중국 교회의 자원봉사자(義工), 전도인들이 사용할 서적이 매우 필요하다.

넷째, 이단을 막아야 한다. 최근 들어 중국 교회에 이단이 성행하고 있다. 그들은 진리를 왜곡시키고 있으며, 심지어 사회치안을 어지럽히고 있다. 이단들은 갈수록 미친 듯이 날뛰면서 발전해 가고 있어, 교회는 이단을 대적하는 일에 힘써야 한다. 그 방법으로는 신도들을 잘 양육시키고, 또한 교회 각 방면에 걸쳐 사역을 잘 개발하여야 한다. 그렇게 하여 신도들이 교회생활을 잘 할 수 있도록 돕고, 전인적으로 성장하도록 해야 한다.

21세기 한국 교회의 중국 선교의 중점사역은 사역자 양성과 신학교육이어야 한다. 중국 선교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요체는 중국 특색의 중국 교회를 섬기는 것이다. 어떤 사역을 하든 중국 교회와 동역하지 않고는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선교를 수행할 길이 없다. 20세기 한국 교회의 중국 선교는 일방적이었다.


[자료제공: 한국세계선교협의회 (www.kwma.org), ACTS ]


 

출처 : 내 사랑 중국 ♡ MyLoveChina
글쓴이 : null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