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니미즘권 선교에 대한 응답
강병권 선교사
Africa Inland Mission (AIM) Korea Director
알타이선교회 대표 유기남선교사 발제 “애니미즘권 선교현황과 전략에 관한 제언: 중앙아시아와 몽골계, 시베리아를 중심으로”란 글에 대한 응답으로 간략하게 적어본다.
유선교사는 몇 명 학자들의 애니미즘 정의를 인용하면서 특히 조지 코웬의 정의 “생명이 없는 대상들과 자연현상이 영적, 초자연적 힘을 소유하고 있다는 믿음“에 자신의 설명을 덧붙인다. ‘애니미즘은 창조주와 인간과 자연 및 동물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양식으로, 특히 창조주와 피조물 간에는 분명한 한계가 없다. 애니미즘이란 모든 만물에는 영이 존재한다는 신앙이기 때문에 범신론도 되고 혹은 다신론으로 말하기도 한다. 애니미즘은 종교학적으로는 일원론(Monism)에 속한다. 창조주와 피조물의 근원이 같다는 철학적인 면에서 그렇다. 이런 점에서 유선교사는 애니미즘을 범신론이라고도 할 수 있고, 일원론이라고 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현재 세계적으로 애니미즘이 약화되고 있다는 서구 복음주의 선교학자들의 주장에 대해 유선교사는 조심스럽게 이의를 제기한다. 한국의 귀신공포증, 뉴에이지운동의 신비의식행위와 점성학, 심령술, 부두교, 조상숭배, 화물숭배, 샤머니즘의 원류로서의 애니미즘을 예로 들고 있다. 이러한 경향을 보면 도리어 애니미즘이 전 세계적으로 다시 부활하는 모습을 볼 수 있고, 그런 점에서 애니미즘을 심각하게 다루어야 한다고 발제자는 주장한다. 본인의 아프리카 선교 경험을 통해 불 때 그의 이러한 견해에 동의한다.
윌버 오도노반이 쓴 “아프리카인의 관점에서 본 성경적 기독교 (Biblical Christianity in African perspective), 1995" 라는 책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비록 현 세대의 아프리카는 변화하고 있지만 전통신앙들과 관례들은 아직도 매우 중요한 이슈이다. 대부분의 전통종교들은 중재자의 시스템을 가지고 있는데, 점술이나 조상의 영들을 통해서 하나님께 나아가거나 인생의 문제를 풀어 가는 것들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전통신앙들은 많은 기독교인들에게도 영향을 끼치는데 특히 하나님과 그 말씀에 약한 자들에게 더욱 그렇다.“ (245쪽)
이상의 들어가는 말을 마치면서 발제자는 민속 신앙적 뿌리를 가진 중앙아시아, 몽골계 종족, 시베리아 지역(연해주, 사할린, 노보시비리스크, 알타이공화국, 이르쿠츠크)에서 볼 수 있는 애니미즘적 신앙을 조사, 연구하여 설명해 간다.
이 부분에서 발제자는 각 지역의 애니미즘적 신앙뿐만 아니라 각 지역의 발전과정, 고려인들의 이주과정, 한국 선교사들의 선교역사와 사역들을 자세히 열거하고 있다. 중앙아시아와 몽골계 종족과 시베리아 지역에서의 한국선교를 잘 정리한 자료로서 앞으로 한국선교행전을 기록할 때 매우 유익한 자료 중 하나가 되리라 생각한다.
발제자는 이상의 종족들을 대상으로 선교할 때 어떠한 선교전략을 가질 수 있을지 다섯 가지로 제안하고 있다. 이 제안들은 앞으로 선교사를 파송하는 교회나 선교단체가 충분히 고려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상의 제안들과 더불어 개인적으로 덧붙이고 싶은 것들은 첫째로 애니미즘주의자들이 가지고 있는 질문들에 대해서 성경적으로 답해 줄 준비가 선교사인 우리에게 있어야 하고, 둘째로 비교우위지역 선교의 효율성을 생각하면서도 이제 앞으로의 선교지역은 세계 모든 지역임을 (애니미즘주의자들을 Los Angeles, New Orleans 혹은 Sao Paulo와 같은 거대 도시들에서도 쉽게 볼 수 있음-Alan R. Tippett, Perspectives on the world Christian movement, 623) 감안하여 동서양 선교사들이 서로 협력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끝으로 애니미즘 연구에 큰 공헌을 한 Alan R. Tippett의 '애니미스트들에 대한 복음전도 (The Evangelization of Animists, Perspectives on the world Christian movement, 3rd Edition, 625-631)'를 참고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보여진다.
1. 인카운터(encounter)에 주의하라.
애니미스트들이 한 순간에 기독교신앙 안에 들어올 수 없다. 특별한 삶의 변화 즉 ‘무엇으로부터 나와서 매우 다른 어떤 것으로 들어가는 충성의 변화’가 요구된다. 이것은 새로운 믿음에 대한 헌신과 옛 신앙을 거부하는 결단의 행동이다.
2. 동기에 주의하라.
애니미스트들은 여러 가지 이유들 때문에 기독교에 흥미를 갖는다. 기독교를 받아들이는 동기가 무엇인지 잘 알아야 하는 이유는 그것이 기독교에 대한 그들의 관점과 복음의 성격과 기독교 윤리의 성격과 기독교인의 책임에 대한 개념에 크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3. 의미(meaning)에 주의하라.
청중들의 세계관, 전달자의 이미지, 메시지의 형태에 따라 성경의 메시지가 애니미스트들에게 매우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
4. 사회적 구조에 주의하라.
대부분의 애니미스트 사회는 회중중심의 형태를 갖는다. 무엇을 결정할 때도 회중적인 결정을 한다. 지도자를 세울 때도 한 개인보다는 집단형태가 바람직하다.
5. 상호협력에 주의하라.
애니미즘 사회에서의 개종자들에게는 믿는 자들의 교제 안으로 들어 올 수 있는 어떤 상호협력의 통로가 있어야 한다.
6. 문화적 공백에 주의해야 한다.
애니미스트들을 그리스도께로 인도하고 양육함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회심자들이 그들의 문화를 반영할 수 있어야 하고, 그럼으로써 회심자들이 그들의 고유한 문화 속에서 믿는 자로서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선교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선교시스템 구축: 선교사 멤버케어 (엄은정|최형근) (0) | 2012.07.09 |
---|---|
[스크랩] 소셜 네트워크와 스마트폰 시대의 선교전략 (이영제) (0) | 2012.07.09 |
[스크랩] 애니미즘권 선교현황과 전략에 관한 제언 (유기남) (0) | 2012.07.09 |
[스크랩] 인물론 선교: “하나님의 사람 운동”을 제창하며 (김성환) (0) | 2012.07.09 |
[스크랩] 19세기 서구 선교사들로부터 배우는 교훈 (안승오) (0) | 2012.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