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스크랩] ‘사회주의-자본주의 결합’ 中 부자마을 화시촌 50주년 행사 가보니

수호천사1 2011. 10. 10. 16:38

 

‘사회주의-자본주의 결합’ 中 부자마을 화시촌 50주년 행사 가보니

천하제일村? 선전용 마을?… 中 ‘화시촌’ 성공신화 열풍

 

[동아일보]

《 중국 상하이(上海)에서 서북쪽으로 약 110km 떨어진 장쑤(江蘇) 성 장인(江陰) 시 외곽에는 중국인들이 꿈꾸는 '천하제일 마을'인 화시(華西)촌이 있다. 마을 설립 50주년을 맞아 8일 기념행사가 열린 이곳에는 중국 매체들을 포함해 세계 50여 개국에서 취재진이 몰려 이 마을에 쏠린 세계의 관심을 반영했다. 》

<사진: 1t짜리 황금소 화시촌에 8일 개관한 호텔 60층에 1t 중량의 금으로 만든 황소상이 선을 보였다. 제작비가 3억 위안(약 555억 원)에 이른다고 한다. 화시촌 제공>

1만50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기념식이 열린 광장에서는 "화시의 하늘은 공산당의 하늘, 화시의 땅은 사회주의의 땅…사회주의는 화시를 부유하게 만들 것이다"라는 노랫말의 '화시촌가(歌)'가 끊임없이 흘러나왔다. 이날 중국 농촌의 미래를 상징하는, 세계 15번째로 높은 328m의 최고급 호텔이 준공됐다. 호텔에는 황금 1t으로 만든 '황금 소'가 놓였다.

화시촌은 중국식 사회주의를 알리는 매력적인 '선전 재료'다. 지난달 미국 뉴욕의 타임스스퀘어 광장 광고판에 중국을 대표하는 상징으로 '화시촌'이 등장하기도 했다. 리위안차오(李源潮) 공산당 조직부장 등 전현직 국가지도자들의 축하방문도 꼬리를 문다. 그동안 후진타오(胡錦濤) 원자바오(溫家寶) 등 중국 최고 지도자들도 이곳을 방문했다. 화시촌의 성공사례는 중국 매체의 단골소재다.

왜 중국은 인구 5만의 화시촌에 열광할까. 이곳은 중국식 사회주의가 추구하는 미래 농촌의 모습을 보여준다. 마을 대문을 들어서면 잘 자란 가로수 양옆으로 빨간색 지붕의 유럽식 별장지대가 나온다. 2층 또는 3층에 연면적 400∼600m²로 지어진 별장 앞마당마다 중형차 2, 3대가 서 있다.

마을 전체 면적은 35km²로 주민 소득은 다른 농촌에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높다. 농민공이라도 평균 임금이 중국 웬만한 도시보다 높고 일부 주민은 연평균 소득이 중국 농민(지난해 5919위안)의 10배를 훌쩍 넘는 8만5000위안(약 1573만 원)에 이른다. 또 많은 사람이 집을 싸게 분배받고 교육 의료 양로 등 각종 무상 복지혜택이 상당하다.

화시촌이 이처럼 잘살게 된 것은 기업을 통한 발전을 택했기 때문이다. 번영의 토대를 다름 아닌 '화시그룹'이라는 '마을 공동기업'이 만든 것이다. 1961년부터 주민들은 우런바오(吳仁寶) 당시 촌서기의 리더십 아래 일찌감치 공업화의 길을 모색했다. 문화대혁명 때 고초를 겪었지만 공업화를 위한 노력은 중국의 개혁개방과 맞물려 화시촌이 순풍에 돛을 단 듯 발전하는 도약대가 됐다. 1978년 우 서기와 마을 주민 1000여 명은 1978년 마을 재산을 모아 화시그룹의 모태를 만들었다. 화시그룹은 지난해 512억 위안(약 9조4771원 원)의 매출을 올렸고 창장(長江) 삼각주라는 지리적 이점을 이용해 산하에 철강 해운 건설 등 60여 개 기업이 있을 정도로 성장했다. 화시촌은 인근 마을까지 흡수했고 주민은 그룹 직원이자 근로자로 일한다. 현재 그룹 직원은 모두 2만5000명으로 이들과 가족은 회사의 발전에 공헌한 업적과 기간 등에 따라 지분과 배당을 받는다. 물론 주택 분배 등 각종 복지혜택도 차등적으로 제공받는다.

마을과 회사의 자산은 촌의 공동 소유이고 촌의 공산당위원회가 개인의 직업 선택을 포함해 촌과 그룹 내 모든 것을 좌우한다. 하지만 돈은 시장경제를 활용해 벌고 인센티브를 크게 중시하는 등 자본주의적 요소가 곳곳에 도입됐다.

이런 모형을 통한 발전 역시 우 서기가 창안했다. 84세로 촌서기 직에서 물러난 그는 이날 "화시촌이 사회주의냐 자본주의냐"는 질문에 "1970년대 문화대혁명 때 이미 해결된 질문"이라고 말했다. "사회주의 자본주의 모두 필요하다. 인민을 부유하고 행복하게 할 수 있다면"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 마을에도 극복해야 할 문제는 적지 않다. 우선 중국의 현실을 그대로 투영한 듯한 빈부격차다. 마을 내부에서 누구는 최고급 별장에, 누구는 허름한 아파트에 산다. 화시촌의 상징처럼 소개되는 유럽식 별장은 이 마을과 화시그룹 발전에 가장 크게 공헌한 주민 1000여 명에게 분배된 집일 뿐이다. 낙후된 주거 형태가 다양하게 존재하지만 화시촌은 이런 점을 솔직하게 공개하지 않는 듯했다. 나아가 이 마을을 조금만 벗어나도 저개발과 낮은 생활수준으로 신음하는 농촌 풍경이 그대로 펼쳐진다.

화시촌=이헌진

출처 : 내 사랑 중국 ♡ MyLoveChina
글쓴이 : null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