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중국은 이슬람권 국가들에게 가장 환영받는 나라이다. 중국 사람들은 많은 이슬람권 국가에 비자 없이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현재 활발하게 사업과 건설업 등에 종사하고 있다. 중국은 무슬림 인구 4,200만 명으로 세계 9위 이슬람 대국이다. 중국은 56개 민족이 합쳐져 하나의 거대한 집단으로 구성된 나라이다. 그 집단 속에 이슬람을 신봉하는 소수민족이 10개이며, 이들 중에 가장 큰 무슬림 종족은 후이족이다. 후이족은 하나의 민족으로 중국에서 세 번째로 큰 종족이며 중국 전역에 살고 있다. 후이족은 이주, 다른 종족과의 결혼, 입양을 통해 증가했다.1)
전 세계 이슬람 사회에서 모든 무슬림 여성들이 종교적 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일반적이다. 그러나 세계 최초로 여성들을 위하여 여성들에 의해 운영되는 모스크(mosque, 女禮拜殿, 女大殿, 사원)는 중국 후이족 이슬람에서만 나타나는 독특한 현상이며, 여성 지도자 아홍(ahong, 아랍어로 imam"지도자")이 있다. 중국에서 후이족 여성모스크 설립은 흥미로운 사회적 현상이다. 여성모스크는 주로 중국 중원인 허난성, 산시성 동부, 산동성 서부, 황하의 중하류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우리가 세계선교와 무슬림들에게 복음전파를 고려한다면 중국 후이족 무슬림여성2)들을 잊어서는 안 된다. 중국 문화에 상황화된 후이족 여성의 특징을 인식하여야 한다. 후이족 여성모스크와 여성 아홍의 역할을 통하여 후이족 여성을 더 깊게 이해하므로 효과적으로 그들에게 다가갈 수 있다.
후이족 여성모스크의 일반적 배경
이슬람의 상징인 모스크는 이슬람이 아라비아 반도를 넘어 전 세계로 그 세력을 확장할 때 가장 우선하여 지어진 건물이다. 모스크는 이슬람의 5대 기능 중 가장 실천적인 기능을 가진 예배장소이다. 모스크는 아랍어로 마스지드라고 하며, '이마를 땅에 대고 절하는곳' 이라는 뜻이 있으며, 영어로는 모스크(mosque)라고 한다. 아랍·이슬람세계에서는 일반적으로 모스크라는 용어보다는 '마스지드' 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중국에서는 모스크를 흔히 칭전스(淸眞寺)라고 한다.
1) 여성모스크의 역사
중국과 중동의 접촉들은 이슬람이 발생한 610년보다 앞선다. 한 왕조3)시대 중국제국의 원정들은 아랍세계에 도달했다. 인도양 해운업은 4세기와 6세기 사이에 이란 반도를 지나 아랍 강들 위 내륙에 출현하는 중국과 인도 선박들과 함께 확장되었다.4) 당 왕조(618-907년)시기에 중동으로부터 온 상인들은 광저우, 취안저우, 항저우, 양저우 등의 공동체의 일부가 되었다. 그들 중의 많은 사람들이 중국 여성들과 결혼했다.
13세기 몽고족은 중앙아시아 정복기 동안 군대를 파견했다. 이들은 전쟁을 준비하는 동안 농작을 하며 중국 전체에 흩어졌으며 장인, 학자, 관원과 종교지도자로서 중국 전역에 거주했다. 이들이 오늘날 후이족의 조상들이다. 비교적 많은 무슬림들은 오늘날 허난성, 산둥성 서부, 산시성 동부로 불리는 중원에 걸친 황하 유역에 정착했다. 최초의 누시(nusi, 여성들을 위한 이슬람 학교)가 설립되었다. 중원 내 종교 교육의 개발은 세월이 흐름에 따라 이슬람문화센터와 여성들의 종교 교육을 위한 장소로 바뀌었다. 후에 중국의 이슬람문화센터가 서쪽으로 옮겨졌지만, 여성모스크 시스템은 가경제(Jiaqing, 嘉慶帝)의 통치(1796-1820년) 속에서 여성아홍에 의해 운영되는 여성모스크로 진화하였다.5)
여성 아홍에 대한 기록은 청조 11대 황제 광서제(Guangxu, 1875-1908 재위)4년(1878) 카이펑의 왕지아(王家) 거리 여성모스크 비문에서 최초로 찾아볼 수 있다. 여성들은 종교적인 선생들로서 남성들을 대신했다. 윈난성 내, 두 종류의 호칭이 대중적이다. 시무(shimu, 아홍의 아내 혹은 선생)는 교육의 정도에 상관없이 존경의 호칭이었다. 그러나 시무의 호칭은 여학교를 세울 수 있는 자격을 지닌 잘 훈련된 여성들에게도 적용된다. 여성 선생들은 과부,혹은 아홍의 아내이다. 시무는 결혼 여부나 남편의 직업에 상관없이 적용된다. 이 호칭은 아마 무슬림 여성들을 위한 종교적인 조언자들로서 아홍의 아내들에게 역사적인 기능이 주어졌을 것이다.
중국 전역의 여성모스크에 대한 숫자와 분포는 정보의 부족으로 정확한 통계가 없지만 대략 400여 개의 여성모스크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중국 내 대부분의 지역과 도시들에 후이족 공동체들이 있다. 베이징에 약 185,000명의 후이족이 있으며, 그들은 60개가 넘는 모스크에서 예배를 드리고 있다.6) 여성모스크들은 대부분 남성모스크의 부속기관으로 있다. 그러나 남성모스크에서부터 분리되어 나온 독립적인 여성모스크도 있고, 원래 독립적인 여성모스크였던 것이 나중에 남성모스크에 귀속된 것도 있다. 여성모스크가 없는 지역의 후이족 여성들은 일반 모스크의 뒤쪽 커튼 뒤에서 기도한다.
2) 여성모스크 발생원인
중국 후이족 무슬림 사회에서 여성모스크라는 독특한 문화가 발생한 원인은 다양하다.
첫째, 많은 여성모스크들이 청 왕조 말기와 중화인민공화국의 기간, 중국의 북부, 북서부, 북동부와 양쯔강의 남쪽 지역에 지어졌다. 빈번한 전쟁과 근래 과격한 사회적 변화는 중국의 종교적인 문화들에 큰 영향을 주었다. 여성모스크 시스템은 중원에 깊게 뿌리를 박고 계속하여 존속하고 발전하였다.
둘째, 여성모스크들은 중국에서 현대 민주주의의 형태를 갖고 있으며, 사회적으로 낮은 신분의 사람들에 의하여 설립되었다. 아홍과 관리위원회 지위는 최고의 능력과 신뢰성 있는 여성에 의하여 늘 결정된다. 이러한 체제는 타락과 낭비, 친인척 고용, 불공평의 문제를 피하는데 도움이 되며, 더 강한 모스크 기구를 만든다.
셋째, 여성모스크들은 중국 국가와 가부장적 사회로부터 오는 압력을 후이족 여성들이 성공적으로 이겨내고 독립심을 실행하는 장소이다. 후이족 여성들의 창의성이 여성모스크를 그들 자신들의 장소로 만들었다.
넷째, 중국 북서부와 남동부 무슬림들은 중국 외부 이슬람 세계와 늘 약간의 접촉을 유지하며, 지역과 공동사회의 다수민족과의 접촉을 즐겼다. 그러나 중부와 동부의 무슬림들은 주변의 한족과 더욱 밀접한 접촉을 가졌으나 외부 세계 무슬림과는 거의 접촉을 갖지 않았다. 따라서 여성모스크는 발생한 지역의 지리적 · 문화적 환경의 영향을 받아 창의적으로 발생한 사례이다.
다섯째, 일본의 중국 침략 이전 1911-1930년과 세계2차대전 기간 동안 여성들을 위한 교육 개발은 여성들을 위한 큰 무리의 종교적 장들을 만들도록 이끌었다.7) 1980년 중엽에 덩샤오핑(鄧小平, 1904-1997)이 이끈 개혁들 이후, 종교사무국은 여성모스크들을 건축하거나 재건축함으로써 무슬림 여성들의 사회적 증진을 확실하게 하도록 했다. 20세기 초 중국 인민공화국 시대에 무슬림 여성들에 의해 운영된 여성모스크들의 출현이 좀 더 확실하게 자리잡게 되었다. 이슬람 문화운동의 지속성은 후이족 무슬림들이 계속적으로 변하는 사회에 적응하도록 만들고 있다.
여섯째, 여성모스크의 부흥은 중국 여성해방을 지지했던 공산주의 유산의 일종이다. 마오쩌동(毛澤東, 1893-1976) 이후, 여성모스크들은 중국 이슬람의 종교적 부흥의 새로운 양상으로 지원을 받았다. 여성모스크들은 여성 아홍의 리더십 지도하에 효율적인 기능하기를 원하는 동기에서 계속 유지되고 있다.
일곱째, 여성모스크가 많이 발생한 중원 내 무슬림들은 여성들의 필요충족이 반드시 채워져야 하기에 여성모스크의 존재를 당연하게 생각하였다. 여성모스크는 후이족 여성들이 그들의 능력과 창작력을 발휘할 수 있는 장소로 활용되기도 한다.
후이족 여성모스크의 모형과 역할
중국에서 후이족 여성모스크의 모형과 역할은 지역에 따라 크게 다르지 않고 비슷하다.
1) 모스크 모형: 외부와 내부
일반적인 모스크의 외형은 특유의 둥근 지붕과 건물을 둘러싼 미나레트라 불리는 첨탑이 특징적이다. 벽면은 꾸란의 구절이나 아라베스크 무늬로 장식한다. 이는 이슬람교가 무함마드의 초상화 등 종교에 관련된 그림을 금지했기 때문이다.
중국의 모스크는 중국식 건축기술을 받아들여 탑과 같은 모습을 지녔으며, 다른 곳의 모스크와 달리 첨탑이 없고 지붕에 녹색 기와를 얹혔다. 이는 돔으로 된 전형적인 모스크와는 매우 다른 모습이다. 모든 모스크의 외형은 종교적인 양상들로 불교 탑모양의 외양을 가졌다. 무슬림들은 중국 스타일 건물로 초기 청 왕조 때 대부분의 후이족 공동체들이 모스크들을 가졌다. 명 왕조 동안 많은 모스크들과 중국 모스크들을 구별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해 모스크들의 첨탑들이 제거되었다. 그러나 윈난성에서는 명 왕조와 청 왕조 시대에 지어졌던 많은 모스크들이 첨탑들을 가지고 있다.8)
중국에서는 모스크를 칭전스라고 지칭하지만, 모스크마다 부르는 이름은 따로 있다. 2009년 8월 필자는 베이징에서 가장 오래된 이슬람 모스크 뉴지에리바이스(牛街禮拜寺, 우가예배사)를 방문하였다. 이 모스크는 요(遼)나라 때인 996년에 처음 세워진 것으로 천 년이 넘는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베이징의 서남쪽의 뉴지에(牛街)에 있다. 이 모스크의 부속건물로서 여성모스크가 따로 있으며, 남녀를 분리하는 이슬람의 전통이 오늘날에도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이 근처 큰 길가에는 무슬림 지도자 양성을 위한 학교와 무슬림 전용식당이 있다.
대체로 큰 모스크들은 두세 개의 안마당을 가지고 있다. 모스크들은 학교, 아홍의 기숙사, 일반 모임방, 부엌, 세정실들, 저장실, 모스크 행정을 위한 사무실 등을 갖추고 있으며, 어떤 모스크들은 화실과 도서실도 있다. 여성들은 남성들과 완전히 분리된 세정실을 사용했으며,분리된 건물 혹은 모스크 내 분리된 방에서 예배를 드린다. 여성들이 예배드릴 때는 어떤 모스크들은 남성들의 예배드리는 소리가 여성들이 모이는 방들에 스피커를 통하여 들을 수 있게 연결시켜 놓았다. 여성모스크에서 드리는 예배는 남성들의 예배 방식보다 간단하고 시간도 짧다. 2) 여성모스크의 역할
후이족 무슬림들은 모스크를 중심으로 사회생활을 형성한다. 여성모스크는 무슬림 여성을 위해 세워진 예배와 신앙활동 장소로서 여성들의 기도실, 꾸란 교육, 사회복지 등 여성들의 다목적 공간이다. 무슬림들은 모스크에서 기도하고, 이슬람 달력을 지키며, 가정의 종교적 행사와 의식, 어린이들에게 종교교육을 하고 종교적 여성 리더를 훈련하기 위한 교육을 하는 곳이다. 사회적, 종교적이든 여성들의 교육 수준이 남성들에 비하여 낮으므로 여성모스크는 무슬림여성들과 아이들을 위한 기본적인 종교교육과 여성아홍을 양성하기 위한 학습의 장소가 되었다.
모스크는 중국 내 무슬림 여성들의 종교적 생활과 교육이 공존하는 복합적인 형태이다. 여성 교육은 여성모스크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이다. 여성모스크에서 교육하는 것으로 가정도덕이 있다. 여성이 가정에서 해야 할 책임과 의무를 강조하며, 개인수양에서 마음의 순결과 거룩을 강조하는 일종의 사회도덕이다. 여성모스크에서의 교육은 이슬람 교리와 유교적인 원리에 초점을 두며, 종교와 가정생활 속에서 그들의 책임과 의무들을 통하여 무슬림 여성들의 정체성을 갖도록 한다.
후이족 여성들에게 모스크는 때로 제2의 집으로 간주되어 편안하게 여겨지기도 한다. 아이들은 모스크에 와서 놀고, 어른들은 이야기를 나눌 수 있으므로 모스크에 가면 환영을 받는다고 생각한다. 모스크들은 지역 사람들의 편의를 위해 테이블, 의자, 각종 식기구와 요리기구 등을 제공함으로 사회활동에 참여한다. 그러한 물건들은 모스크 내에서 잔치가 있을 때에 주로 사용하고 회중이라면 언제든지 이 품목들을 빌릴 수 있었다. 대부분 사람들은 출생식, 할례식, 약혼식, 결혼식, 장례식과 애도의식과 같은 의식행사 때에 모스크의 그릇들과 테이블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모스크는 때로는 무슬림들에게 오락을 제공한다. 라마단을 마친 후 희생제 축제 때(Eid ul-Fitr, 이드 알 피트르)는 무도공연이 있다. 많은 모스크들은 아이들의 무도팀과 그들의 공연으로 많은 군중을 이끌 수 있도록 팀을 가지고 있다.
이슬람의 종교절기에는 전등, 메카의 그림이 새겨진 큰 포스터와 그림들, 깃발들과 현수막들로 모스크를 꾸민다. 큰 모스크에서는 매년 이슬람의 주요 절기 행사 때에는 그 구역의 전기가 들어오기 전 수백 개의 작은 기름 램프를 가지고 나와 불을 밝힌다. 이런 장식들은 지역 사람들을 특별히 밤에 이 광경을 방문하고 즐기도록 이끌었다. 라마단을 마친 후 희생제 축제 때 남성들이 예배드리는 것을 여성들이 지켜볼 수 있다. 여성들은 라마단 기간 동안 특별한 예배에 참석할 수 없었기 때문에 이것은 여성들에게는 오락의 개념으로 인식하는 경형이 있다.
대체로 모스크 옆에 여성들을 위한 목욕탕이 있다. 이들은 이슬람 예배의식 전에 세정을 하는 관습을 위하여 세워졌다. 모스크는 축제를 준비하고 사람들이 함께 축제에 참여하는 곳이며, 생활의식의 준수사항과 종교적 언어들을 가르치며, 이슬람법을 해석하며 집행한다. 모스크는 사회적 친분을 쌓기 위한 중요한 장소이다. 이슬람 축제기간에는 훨씬 많은 비공식 모임들이 매일 열린다. 모스크에 예배드리기 위해 온 노년의 남성들과 여성들은 약 30분 전에 도착해서 다른 회중 사람들과 대화를 나누며 교제를 하기도 한다. 모스크는 무슬림 여성들에게 기타 신앙 활동 및 생활 서비스를 제공한다. 경전 통독, 사망한 여성들을 위한 염을 하는 것 외에 유치원과 양로원 같은 기타 사회복지시설 등의 사회적인 기능을 한다.
여성모스크들의 관계는 역사적이고 개별적인 관계에 기초한다. 모스크의 크기에 관계없이 모든 여성 모스크는 독립적이고 평등하므로 서로 우정을 유지한다. 같은 구역의 남성모스크와의 관계는 여성모스크에게 가장 중요하며, 마치 가족과 같이 연결된다. 만약 여성모스크가 어려움을 당하면, 먼저 같은 구역의 남성모스크에게 도움을 요청할 것이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여성들과 남성모스크들 사이의 관계는 변화를 겪게 되었다. 여성모스크들이 종교적 활동의 장소로서 등록되어 있다.
3) 여성모스크의 운영방법
중국에서 여성모스크는 역사적 조직과 현대 민주주의의 형태로 운영되고 있으며, 남성모스크에서 독립되어 있다. 여성모스크의 재정은 공개하며, 그것의 종교적 독립성은 절대적이다. 여성 아홍과 모스크 위원회 위원들은 계약에 기초하여 임명된 사람들이다. 지역 원로들은 회중들을 지배하고 대표하며 아홍 선발에 영향을 준다. 여성 아홍의 월급은 모스크 위원회와 여성 아홍 사이에 상호협조로 결정된다. 그러나 만약 여성 아홍의 월급이나, 여성 모스크 운영에 재정적으로 부족하면 남성 모스크 위원회들의 도움을 받는다. 즉 여성모스크들이 종교적인 일과 매일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돌보는 활동하는 반면, 모든 재정과 정치적인 이슈들은 남성 모스크에 속한다.
맺으며
중국 문화에 상황화된 후이족 안에는 세계 최초의 여성모스크와 여성 아홍이 있다. 후이족 여성모스크는 후이족 여성의 예배와 신앙 활동 장소로서 여성들의 기도실, 꾸란 교육, 사회복지 등 여성들을 위한 다목적 공간이다. 후이족 여성들에게 여성모스크는 때로 제2의 집으로 간주하며 기타 신앙 활동 및 생활 서비스, 사회복지시설 등의 사회적인 기능을 한다.
중국인이지만 중국인이 아닌 후이족들의 사회적 · 종교적인 규범들은 중국의 철학과 전통과 매우 다르다. 후이족 여성모스크와 아홍, 문화적 특징, 기도와 의식들, 달력과 절기들, 결혼식과 장례식, 의식주 생활에 있어서 그들만의 방법을 유지하며 문화의 핵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것들을 올바로 이해하는 것은 후이족 여성들을 위한 효과적인 선교전략을 형성하는 데 필수적이다.
중국 후이족 여성들은 인구의 자연적 증감에 증가할 것이다. 여성의 교육에 대한 관심과 중국의 사회의 물질적 풍요,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갈수록 후이족 사회도 세속화될 것이다. 이슬람권 국가들은 인터넷의 발달로 다른 이슬람국가들과 교류를 하므로 급변하고 있다. 이슬람도 이슬람 전파를 점차적으로 강화하며 전력을 기울이므로 21세기 중국 이슬람이 발전될 것이다. 한국교회는 이러한 것을 인식하여 한국 여성선교사들을 후이족 여성들에게 적극적으로 파송하여야 한다. 왜냐하면 이슬람 사회는 남녀가 확연하게 구분되는 사회여서, 아무리 재능이 많고 훈련이 잘된 남성선교사라 할지라도 후이족 여성들에게 접근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정순 | 백석대학교 기독교학부(선교학) 교수
각주)----------------- 1) Keith E. Swartly.,ed, Encountering The World of Islam (Waynesboro, 2005), 342. 2) 이하 ‘후이족 무슬림 여성은‘ 후이족 여성’이라고 칭한다. 3) 한(漢, 기원전 206년-220년)은 진 이후의 중국의 통일 왕조이다. 한 왕조는 고조 유방(劉邦)에 의해서 건국되었으며 약 400년을 지속하였으며, 중국의 역사상 가장 강대했던 시기 중의 하나이고, 오늘날에 중국인들을 부를 때 사용하는한족 역시 이 왕조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4) Michael Dillon, China's Muslim Hui Community (Surrey: CURZON, 1999), 11 5) Maria Jaschok and Shui Jingjun, The History of Women's Mosques in Chinese Islam (Surrey: CURZON, 2000), 68 6) Michael Dillon, China's Muslim Hui Community (Surrey: CURZON, 1999),1 7) Jean A. Berlie, Islam in ChinaHui and Uyghurs between Modernization and Sinicization (Bangkok: White Lotus Press, 2004), 51. 8) Jianping Wang, Concrd and Conflicts: The Hui Communities of Yunnan Society (Lund: Studentliltteratur, 1996), 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