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문법
[6. 동사,형용사(용언)]
⑴ 동사 : 사물의 동작이나 작용을 나타내는 말
① 동작:사람의 움직임
예) 가다, 오다, 노래하다, 사랑하다, 생각하다
② 작용:자연의 움직임
예) 뜨다, 새다, 흐르다, 피다, 죽다, 늙다, 닮다
⑵ 형용사 : 사물의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말
① 성상 형용사: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형용사
○ 성질(객관적 형용사):"-아/어하다" 불가능 예) 꽃이 붉다. (→꽃이 붉어 한다.(×))
○ 상태(주관적 형용사):"-아/어하다" 가능
예) 나는 꽃이 좋다. (→나는 꽃을 좋아한다.(○))
② 지시 형용사:지시성을 띤 형용사
예) 이러하다, 저러하다, 그러하다
▶ 동사와 형용사의 판별
① "-는다", "-ㄴ다" 를 붙여본다.
┌ 먹다 - 먹는다(○) →동사 ┌ 그리다 - 그린다(○) →동사
└ 높다 - 높는다(×) →형용사 └ 그립다 - 그립는다(×) →형용사
② 명령형 "-아라", "-어라"를 붙여본다.
┌ 먹다 - 먹어라(○) →동사 ┌ 그리다 - 그려라(○) →동사
└ 높다 - 높아라(×) →형용사 └ 그립다 - 그리워라(×) →형용사
(감탄형은 가능하다)
▶ 동사의 성격
동사 ┬ 동작 - 사람의 움직임
└ 작용 - 자연의 움직
▶ 형용사의 종류
형용사 ┬ 성상 형용사 - 성질, 상태
└ 지시 형용사
▶ 동사와 형용사의 판별
동사와 형용사는 모두 형태가 변하므로 "어간+-다"의형태인 기본형을 가진다. 따라서 기본형을 가진 말은 동사와 형용사뿐이다.
① "-ㄴ다/-는다"를 취하면 동사이다.
② 기본형만으로 완전한 서술 능력을 가지면 형용사이다.
┌ 밥을 먹다.(×) →동사
└ 꽃이 아름답다.(○) →형용사
③ "-아라/어라"가 동사에서는 명령형, 형용사에서는 감탄형으로 쓰인다.
┌ 밥을 먹어라.(명령) →동사
└ 산이 높아라.(감탄) →형용사
⑶ 용언 : 문장의 주체를 서술하는 기능을 가진 말로, 동사와 형용사가 이에 속한다.
① 쓰임에 따라 형태가 변한다.
② 문장에서 주로 서술어가 된다.
③ 용언의 뜻을 나타내는 어간과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는 어미로 나눌 수 있다.
'민족-우리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한국어 문법 | 9. 어미 / 10. 본용언. 보조 용언 (0) | 2011.10.10 |
---|---|
[스크랩] 한국어 문법 | 7. 용언의 활용 / 8. 불규칙 활용 (0) | 2011.10.10 |
[스크랩] 한국어 문법 | 5. 조사 (0) | 2011.10.10 |
[스크랩] 한국어 문법 | 3. 대명사 / 4. 수사.체언 (0) | 2011.10.10 |
[스크랩] 한국어 문법 | 1. 품사의 개관 / 2. 명사 (0) | 2011.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