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문법
[ 3. 대명사 ]
⑴ 대명사의 정의 : 사람이나 사물, 장소의 이름을 대신하여 가리키는 말
⑵ 대명사의 특성
① 형태가 고정되어 있어 변하지 않는다.
② 조사가 붙어 여러 가지 문장 성분으로 쓰인다.
③ 대명사 앞에 오는 관형사는 극히 제한적이다. 그러나 용언의 관형사형 (-는,-ㄴ,-을,-ㄹ,- 던)의 꾸밈을 받을 수 있다.
예) 아름다운 당신, 내가 보던 그것, 아무 이것(×)
⑶ 대명사의 갈래
① 인칭 대명사 : 사람을 표시하는 데 쓰이는 대명사
○제1인칭:말하는 이를 가리키는 것 예) 나, 우리, 저, 저희
○제2인칭:말 듣는 이를 가리키는 것 예) 너, 너희, 자네, 그대, 당신
○제3인칭:다른 사람을 가리키는 것 예) 이분, 저분, 그분, 이이, 그이, 저이, 누구, 아무
② 지시 대명사 : 사물이나 장소를 지시하는 대명사
▶ 이, 그, 저
"이, 그, 저" 다음에 조사나 의존 명사가 있으면 대명사, 없으면 관형사이다.
예) ○그리운 이는, 그가 운다. (대명사)
○이 책, 저 사람 (관형사)
▶ 이리, 그리, 저리
이것들은 대명사가 아니라 부사이다. 왜냐하면 조사가 자유로이 붙을 수 없기 때문이다.
예) 이리가(×), 그리를(×)
[ 4. 수사.체언 ]
⑴ 수사의 정의 : 사물의 수량이나 순서를 가리키는 말
⑵ 수사의 특성
① 형태가 고정되어 있어 변하지 않는다.
② 조사가 붙어 여러 가지 문장 성분으로 쓰인다.
③ 관형사나 용언의 관형사형의 수식을 받을 수 없다.
예) 새 하나(×), 큰 둘(×)
⑶ 수사의 갈래
① 양수사 : 수량을 가리키는 수사
② 서수사 : 순서를 가리키는 수사
┌▷고유어계: 하나, 둘, 셋, 넷, 다섯......
┌양수사 └▷한자어계: 일, 이, 삼, 사, 오, 육......
수사 ┤ ┌▷고유어계: 첫째, 둘째, 셋째, 넷째......
└서수사 └▷한자어계: 제일, 제이, 제삼, 제사......
⑷ 체언의 정의 : 명사, 대명사, 수사를 묶어서 가리키는 말
⑸ 체언의 특성
① 문장 안에서 주로 주체가 되는 자리에 쓰인다.
② 형태가 고정되어 있어 변하지 않는다.
③ 조사가 붙어 문장에서 여러 가지 구실을 한다.
④ 관형어의 수식을 받는다.
○명사:관형사, 관형사형에 의하여 꾸밈을 받을 수 있다.
○대명사:관형사형에 의해서만 꾸밈을 받을 수 있다.
○수사:관형사, 관형사형에 의하여 꾸밈을 받을 수 없다.
▶ 수사와 관형사
①수사:뒤에 조사가 올 수 있다. 예) 둘보다 하나가 적다.
②관형사:뒤에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가 온다. 예) 한 사람이 간다.
▶ 수사와 대명사
①수사:문장속의 한 대상을 가리킨다.
예) 사과 하나를 샀다.("사과"를 가리킴)
②대명사:문장 밖 이야기 현장의 대상을 가리킨다. 예) 철수가 거기에 있다.
▶ 체언의 복수
셀 수 있는 명사와 대명사에 접미사 "-들"을 붙여 복수를 표시한다.
예) 학생들이 운동장에 있다.
'민족-우리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한국어 문법 | 6. 동사. 형용사(용언) (0) | 2011.10.10 |
---|---|
[스크랩] 한국어 문법 | 5. 조사 (0) | 2011.10.10 |
[스크랩] 한국어 문법 | 1. 품사의 개관 / 2. 명사 (0) | 2011.10.10 |
[스크랩] 띄어쓰기의 원리와 실제 (정희창) (0) | 2011.10.10 |
[스크랩] 한글 맞춤법 정리 (정희창) (0) | 2011.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