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우리말

[스크랩] 한국어 문법 | 5. 조사

수호천사1 2011. 10. 10. 07:42

한국어 문법

 

 

[ 5. 조사 ]

 

⑴ 조사의 정의 : 체언 뒤에 붙어서 문장 안에서의 체언의 구실을 하면서 문장 의 의미가 잘 드러나도록 하는 말이다.

 

⑵ 조사의 특성:

    ① 자립성이 없어서 앞말에 붙여 쓴다.

    ② 주로 체언에 붙어 문법적 관계를 나타나거나 뜻을 더해주는 구실을 한다.

    ③ 부사나 용언의 연결 어미, 다른 조사와 결합할 수 있다.

 

⑶ 조사의 갈래:

    ① 격조사 : 체언 뒤에 붙어서 문장 안에서의 체언의 구실을 하면서 문장의미가 드러나도록 하는 말이다.

        ○ 주격 조사 :주어임을 표시해 주는 조사

                            예) 이/가, 께서, 에서(단체), (철수가 학교에 간다.)

        ○ 목적격 조사 :목적어임을 표시해 주는 조사

                            예) 을/를/ㄹ (앞을 똑바로 보아라)

        ○ 보격 조사 :보어임을 나타내는 조사

                            예) 이/가 (그는 학생이 아니다.)

        ○ 서술격 조사 :서술어임을 표시해 주는 조사

                            예) 이다 (영희는 학생이다.)

        ○ 관형격 조사 :관형어임을 표시해 주는 조사

                            예) 의(순이의 옷은 매우 예쁘다)

        ○ 부사격 조사 :부사임을 표시해 주는 조사

                            예) 에, 에서, 에게 께, 한테, (으)로, (으)로서, (으)로써, 처럼, 같이, 만큼, 보다, 라고 (이 책을 너에게 주마.)

        ○ 호격 조사:호칭의 대상이 되게 해 주는 조사

                            예) 아/야, (이)여, (이)시여 (철수야, 학교에 가자.)

 

    ② 보조사 : 체언의 어느 격으로 한정하지 않고 여러 문장 성분에 두루 쓰여 그 단어에 특별한 뜻을 더해주는 조사

                     예) 은/는(주제, 대조), 도(역시), 만(단독), 조차(역시, 최종), 부터(시작, 먼저), 까지(도착), (이)나 (선택), 마저(종결, 역시), 밖에(더 없음), 뿐(단독)

 

    ③ 접속 조사 : 두 단어를 같은 자격으로 이어 주는 구실을 하는 조사

                         예) 와/과, (이)며,(이)고, 랑, 에다(철수와 순이는 학생이다.)

 

⑷ 조사의 결합

 

    ① 조사는 주로 체언에 붙는다.

        예) 배가 빨리 달린다. 우리는 산을 좋아한다.

 

    ② 부사나 부사격 조사, 용언의 연결 어미에도 붙는다.

        예) 오늘은 날씨가 몹시도 나쁘다. (부사+조사) 서울에서는 별을 보기매우 힘들다. (부사격조사+조사) 그것은 마음에 들지가 않는다. (연결어미+조사)

 

    ③ 조사는 조사들끼리 결합할 수 있다.

 

        ○ 격조사 + 보조사

             예) 나에게는 쉽지 않다.

        ○ 보조사 + 격조사

             예) 철수까지가 합격이다.

        ○ 보조사 + 보조사

             예) 그 책만은 보지 말아라.

 

⑸ 조사의 모습 바뀜

 

    조사 가운데는 앞의 말이 모음으로 끝나느냐, 자음으로 끝나느냐에 따라 모습을 달리 하는 것이 있다.

       ○ 자음 + 이, 을, 아, 으로, 은, 과......

       ○ 모음 + 가, 를, 야, 로, 는, 와......

       예) 순이는 사과와 밤을 샀다. 아버님은 밤과 사과를 사셨다.

 

▶ 조사와 단어

 

    단어는 원래 자립성을 발휘하는 것을 가리킨다. 그러나 자립 형태소에서 쉽게 분리되는 조사도 단어로 취급한다. 따라서 조사는 앞 단어에 붙여 쓰는 유일한 단어이다.

 

▶ 부사격 조사의 갈래

 

○ 처소: 에, 에서 (학교에 있다.)

○ 부여: 에, 에게, 께, 한테 (동생에게 주었다.)

○ 탈취: 에서, 에게서, 한테서 (형님에게서 받았다.)

○ 유래: 에서, 서 (서울에서 오다.)

○ 향진: 에, (으)로, 에게로 (바다로 가자.)

○ 원인: (으)로, 에 (불에 타다.)

○ 기구: (으)로, (으)로써 (칼로써 연필을 깎다.)

○ 자격: (으)로, (으)로서 (학생으로서 할 일)

○ 공동, 비교: 와, 과, 하고, 랑

○ 비교: 처럼, 같이, 만큼, 보다

○ 인용: 고, 라고

 

▶ 보조사의 격 표시

 

보조사는 여러 종류의 격의 위치에 나타나므로 문장 성분을 밝힐 경우에는 원래의 격을 찾아 밝혀 본다.

 

○ 우리도 자유를 원한다. ⇒ 우리가 자유를 원한다.(주격)

○ 우리가 책도 샀다. ⇒ 우리가 책을 샀다.(목적격)

 

▶ "와/과"의 기능

 

조사 "와/과"는 비교, 공동의 뜻을 지닌 부사격 조사와 접속조사 두 종류가 있다

 

① 철수와 순이는 학생이다. ( ← 접속 조사)

② 순이는 철수와 다르다. ( ← 부사격 조사)

 

"와/과"가 ①처럼 주어(또는 목적어) 앞에 있으면 접속 조사이고,

              ②와 같이 주어(또는 목적어) 뒤에 있으면 부사적조사이다.

 

▶ 조사의 생략

 

① 구어체에서 나타난다.

② 체언으로만 자격이 분명할 때 나타난다.

출처 : 내 사랑 중국 ♡ MyLoveChina
글쓴이 : null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