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신흥도시교회와 선교중국
박모세
1.들어가는 말
중국교회를 생각할 때 마다 늘 기억되는 성경구절은 사49:20-21절이다. 고난중에 낳은 시온의 자녀들이 이르기를 “이곳이 우리에게 좁으니 넓혀서 우리로 거처하게 하라”고 시온(Zion)에게 말할 때, 시온은 놀라며 “누가 나를 위하여 이 무리를 낳았는고!” 경탄한다. “나는 자녀를 잃고 외로워졌으며, 사로잡혔으며 유리하였거늘 이 무리를 누가 양육하였고, 나는 홀로 되었거늘 이 무리는 어디서 생겼는고!”. 하나님의 생각은 인간의 생각과 다르며, 그의 길은 인간의 길과 달라서 그의 자녀들은 사방으로 우겨쌈을 당하여도 싸이지 아니하였고, 답답한 일을 당하여도 낙심하지 아니하였으며, 핍박을 받아도 버린바 되지 아니하였고, 거꾸러 뜨림을 당하여도 망하지 아니하였다(고후3:8-10).
중국교회 연구 전문가인 토니 램버트는 중국교회의 성장과 부흥에 대한 사회학적인 해석에 이의와 불만을 표하면서 초자연적인 기원, 특히 고난을 통한 하나님의 섭리를 강조한다.1) 그는 가정교회의 지도자들의 생각들을 대변하여 고난이 교회를 정결케 하였으며, 제한된 자유와 주기적인 핍박이 수백만 개종자들을 그리스도의 참 제자로 키우는데 적극적인 역할을 했음을 지적한다.2)
지난 60년 중국교회의 역사를 통하여 하나님은 당신의 교회에 계획을 가지고 계시며, 오늘도 자신의 교회를 친히 인도하심은 더욱 강하게 느끼게 된다. 특히 최근에 중국의 도시마다 부흥하는 도시 가정교회들의 모습은 주목할 만한 새로운 현상으로, 그 역사적인 배경, 최근에 동향, 그리고 중국교회와 심지어 중국사회에 미칠 영향력, 그리고 중국교회가 선교하는 교회로 성장하는데 가능한 역할 등 을 숙고하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다.
2.중국신흥도시가정교회(新兴城市家庭教会) 발흥, 그 의미와 도전
본고에서 언급하는 신흥교회는 도시에 있는 삼자교회도, 80년대이후, 농촌에서 부흥한 가정교회와도, 심지어 전통적인 도시가정교회도와도 구별되는 새로운 형태의 도시교회이다. 학자 쑨이(孙毅)교수는 이렇게 이 부류의 교회를 이렇게 정의한다. “신흥도시가정교회는 주로 지난 세기 90년대에 중국대도시에 나타나기 시작한 새로운 형태의 교회들로서, 중국가정교회의 전통을 따르고 있으며, 주로 젊은 층 지식인들에 의해 주도되고, 구성된 가정교회를 가리킨다”. 그는 신흥도시교회가 역사적으로 전통가정교회의 신앙전통에 있음을 강조하면서 사회적, 문화적 변천으로 말미암아 도시에서의 가정교회가 새로운 형태를 띄게 된 제반 이유들을 탐구한다.3) 필자는 쑨이교수의 주요논지에 동감하면서도, 그가 신흥도시교회를 주로 지식인들과 연결시키는 점에는 이의를 제시한다. 신흥도시교회가 지식인들의 참여로 말미암아 특색을 띄게 된 것은 사실이나 주로 지식인들에 의해 주도되거나, 지식인들로 구성된 것만은 아니다. 이미 신흥도시교회는 그 인도자와 회중들의 구성면에서 상당히 복합성을 띠면서도 뚜렷한 통일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중국가정교회 연구전문가 류퉁수(刘同苏)박사의 북경의 46개 신흥도시가정교회에 대한 조사연구4) 를 진행하였는데, 그의 연구를 통하여 아래와 같이 신흥도시교회의 특징들을 찾아 볼 수 있다.
첫째로, 신흥도시교회는 3자에 속한 교회들과는 구별되는 강한 독립된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
신흥도시교회는 긴 중국가정교회의 역사의 흐름에 속한다. 그들은 비록 전통적인 가정교회처럼 3자교회자체에 대한 강한 비판을 하는 것을 통하여 자체의 정체성을 찾지는 않지만, 그들은 정권과 유착된 3자교회의 모델에 대하여 여전히 비판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으며, 고난중에 형성된 가정교회의 전통을 자랑스러워 한다.
둘째로, 주로 고등교육을 받은 젊은 층으로 구성되었다.
연구보고서에 의하면 46개의 신흥도시교회중에서35세 이하의 회중이 전체의 64 %, 고등교육을 받은 젊은 층은 76%에나 달하고 있다. 회중들중에 60.5%가 자체의 집을 소유하고 있었으며, 24.4%가 자가용 승용차를 소유하고 있었는데, 이는 류박사로 하여금 신흥도시교회를 중국의 중산층교회로 규정케 한다. 이는 전통적인 중국교회의 소위 3다(三多, 노년, 저 교육층, 빈곤한 자들이 많은 것)현상과 뚜렷하게 구별되게 한다.
셋째로, 교육받은 목회자들이 지역교회 목회에 주력한다.
조사에 의하면, 46개의 교회에, 49명의 전문목회자들이 있었으며, 그 평균연령은 38세, 그 중 75.51%가 신학교육을 받았으며, 그 중 57.14%가 고등교육을 받았는데, 이는 중국사회의 평균고등교육수준과 비교할 때,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으며, 전체적인 중국교회의 목회자들과 비교할 때에도 새로운 현상이다. 순회전도자들에 대부분 교육을 의지하는 전통가정교회 모델과는 뚜렷하게 구별하여, 그들은 지역교회 목회를 중요시한다.
넷째로, 대부분 교회는 자체의 제도와 온전한 예배형태, 목회계획들을 가지고 있다.
이는 자발적인 모임형태를 띠고 있던 초기 도시교회들이나, 전문인들의 모임과 구별되게 한다.
다섯째로, 강한 사회적인 참여의식과 책임의식, 그리고 법제의식(法制意识)을 가지고 있다.
비록 교회의 모임은 법적인 인가를 받은 상태가 아니지만, 사회문제에 대한 깊은 관심과 책임감이 강하다.5) 이는 전통적인 가정교회의 내적, 영적, 내세적인 신앙을 강조하는 전통과 뚜렷한 구별점을 이룬다. 정부로부터 오는 여러 가지 압력들을 대처하기 위하여 기존의 법들를 유용하게 사용하는 노력도 주목할 만 하다.
학자 이반(李凡)교수는 사회의 소외계층의 권익향상을 위한 법조계의 노력중에 가정교회 출신의 그리스도인 변호사들의 역할이 상당히 눈부시다고 지적한다.6)
상기의 현상들은 북경뿐만 아니라, 상해, 항주, 남경, 광주, 성도, 온주 등 도시들의 신흥교회들에서도 유사한 특징들을 볼 수 있다.7)
보다 최근에 도시의 가정교회들은 새로운 양상을 보이고 있는데, 필자는 상해 2009년 도시교회목회자모임에서 발표한 “도시가정교회의 발흥과 전망”(城市家庭教会的兴起和展望)이라는 논문에서 아래와 같이 다섯 가지로 요약한 적이 있다.
첫째는 은밀한 집회에서 공개적인 교회모임으로(从隐秘聚会走向开放教会) 발전하고 있다.
도시교회의 가정교회들은 이미 가정이나, 아파트 단지에서 은밀히 집회를 하던 상태에서 오피스텔로 그 집회장소를 옮겨 공개적인 집회를 가지기 시작했는데, 이는 단순한 장소의 변화나 예배형식의 변화만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도시의 가정교회가 중국사회에 공개적으로 자신을 드러내기 시작했음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그 규모에 있어서 50명 좌우의 규모에서 수백명의 규모로 성장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미 일부 도시에서 단일장소에 천명이상 집회하는 교회들이 생겨나고 있다.
둘째는 전도형교회모델에서 목양형 모델로(从传道型转向牧养型)의 전환이다.
이제는 단순한 설교자가 아니라, 목양자를, 평신도 목양자가 아니라, 보다 훈련된 전문적인 목양자를 요구하는 시대가 왔다.
셋째는, 고립에서 연합으로(从孤立走向联合) 발전하고 있다.
정부의 압력으로 인하여 가정교회, 특히 도시가정교회는 엽합 사역을 극도로 자제해 왔었다. 그러나 최근에 변화가 일고 있다. 북경을 예로 들어도, 2007년 10월, 도시목회를 위한 토론회의에 예상외로 100여명의 목회자들이 모여들어 모두를 놀라게 했다. 이어 12월부터 매월 북경시목회자들의 연합기도모임을 시작했는데, 이 모임은 오늘까지 많은 압력속에서도 굴하지 않고 지속되고 있다. 매년 2차례 모임을 갖는 전국도시교회 목회자 모임(中国城市教会牧者团契)에 참여하는 도시의 수와 목회자들의 수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넷째, 자기 변두리화에서 적극적인 자기표현으로(从自我边缘化到积极的自我 表现) 발전하고 있다.
중국의 도시가정교회는 전통적으로 극 소수의 교회를 제외하고 대부분 자기이 름을 가지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에 이름을 짓는 교회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자체의 공개적인 웹사이트를 가지고 있는 교회들도 생겨나고 있다. 교회자체의 문서사역도 활발해 지고 있다. “杏花”“教会”“橄榄树”등 상당히 수준 있는 전문잡지들이 등장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정부와의 관계를 처리하는 일에 있어서도 변호사를 통하여 자체의 권리를 주장하는 교회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심지어 정부종교부서를 법원에 고소하는 일까지도 일어나고 있다.
다섯째 사회적인 고립상태에서 적극적인 사회참여로(从社会孤立状态到积极的 社会参与) 발전하는 양태를 보이고 있다.
신흥가정교회의 목회자들은 대부분 강한 사회적인 참여의식과 책임의식을 가지고 있었는데, 2008년 5월에 일어난 사천대지진은 그들이 자신의 신앙을 실천할 수 있는 좋은 계기를 제공하였다. 재해민들을 돕는 일에 수많은 그리스도인들이 자원봉사자로 헌신하였으며, 爱心行动, 香柏领导力 등 가정교회의 NGO기구들을 탄생케 했다. 중국사회과학원의 판야펑(范亚峰)박사의 소식에 의하면 민간사회의 자원봉사자 100만중에 그리스도인들이 63만에 이르며, 전체 헌금총액 1000억중에 그리스도인들의 헌금수가 115억에 이른다 한다. 아직도 재해구에 머물며 재해민들을 돕고있는 자원봉사자와 민간단체중에 그리스도인들의 비율은 훨씬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다.
이상의 관찰로부터, 필자는 도시에서의 중국가정교회가 생존을 위한 투쟁에서 이제 전면 부상과 성장의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결론짓고 싶다. 뚜렷한 주체성을 가진 도시의 가정교회들이 일어나고 있으며, 그들은 지도력과 교회목회모델, 신학적인 전문성, 회중들의 구성, 그리고 사회와의 관계 등에서 새로운 모습들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전체적인 중국교회, 심지어 중국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의미심장하다.
첫째로, 중국도시가정교회의 발흥은 복음이 중국의 모든 사회의 영역에 능력 있게 파급되고 있음을 증거한다.
도시가정교회의 발흥은 49년도 중국공산화 이후, 전혀 새로운 현상이다. 49년도 이전 중국교회는 주로 도시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외국 선교기구의 지도력에 의해 인도되었다. 중국공산당은 집권이 후, 교회에 대한 공제권을 강화하기 위하여 철저한 혁신(革新)운동을 진행하였는데, 이로 말미암아 정부의 공제가 심한 도시에서 교회는 거의 파괴되었으며, 심지어 급격한 혁신을 통하여 생존을 꾀한 3자 교회마저 문화대혁명을 맞아 문을 닫게 되였다. 신앙의 전통과 복음의 물줄기는 다만 상대적으로 정부의 공제가 약한 빈곤한 농촌을 통해 간신히 유지되었다. 이는 79년도 이후 중국교회의 부흥이 도시가 아닌 농촌에서 먼저 시작된 이유이기도 하다. 도시는 정부의 인가와 지원을 받는 3자교회의 독점경영지역이었다. 90년대 이후 시작된 도시가정교회의 발전과 부흥은 이제 복음이 정부의 공제와 봉쇄를 뚫고, 중국사회의 거의 모든 영역에 파급되었을 뿐만 아니라 뿌리를 내리고 있음을 의미한다. 류퉁수박사(刘同苏)는 복음이 중국의 주류사회에 진입했다고 확언했는데, 필자 역시 기본적으로 이에 동조한다.
둘째로, 중국도시가정교회의 발흥은 중국가정교회역사의 새로운 전환점을 의미한다.
중국가정교회는 80년대 이후 주로 농촌을 중심으로 힘찬 성장을 이루어 왔다. 복음은 가난하고 순수한 중국농민들의 마음속에 하늘의 위로와 능력으로 그들에게 계시되었으며, 중국사회의 가장 낮은 계층에까지 뿌리를 내리게 되였다. 이로 말미암아 중국가정교회는 상당히 토착화된 교회의 영성과 전통을 소유하게 되였으며, 이제는 더는 서구적이지 않은 신앙과 교회를 이루게 되였다. 그러나 동시에 반지성적, 신비적 신앙형태를 가지게 되였으며 토착화 현상은 기독교와 중국의 민간종교와의 경계선을 흐리게 하는 결과를 가져오기도 했다. 도시가정교회의 부흥은 중국가정교회에 훈련된 다양한 인력자원을 공급하는 것을 통하여 온건한 신앙노선을 정립하고, 바로 된 신앙고백과 신앙교육을 이루는데 중요한 역할을 감당하게 될 것이다. 이범(李凡)교수 역시 도시교회에 지식인들의 비중에 늘어감에 따라 중국가정교회의 신앙의 관심이 훨씬 현세적이 되고 있음을 지적했다. 전중국가정교회를 아우르는 중요한 연합운동에도 도시교회 지도자들의 역할이 갈수록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도시가정교회들의 부상은 중국가정교회에 새로운 응집력과 생명력을 부여하고 있으며, 도시교회의 부흥들은 심지어 90년대 이후 주춤하던 농촌가정교회의 사역에도 새로운 힘을 불어 넣고 있다.
셋째로 중국도시가정교회의 발흥은 삼자교회개혁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다.
이미 지적한 바와 같이 도시는 삼자의 독점 경영지역이었다. 그러나 이제는 더는 아니다. 도시가정교회의 부흥은 3자교회로 하여금 자체의 존립을 위하여 새롭게 생각하지 않으면 안되게 할 것이다. 이미 일부 도시에서는 젊은이들이 3자교회보다 특색이 있는 가정교회를 선호하여 현상을 보이고 있다. 사상이 있는 지식층들도 가정교회를 선호하고 있다. 중국정부가 가정교회에 대해 보다 포용적인 정책을 쓸수록 3자교회는 더욱 큰 압력을 받게 된다. 도시가정교회의 부흥이 3자교회의 개혁에 적극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
넷째로 중국도시가정교회의 발흥은 중국정부의 종교정책과 관리모델에 영향을 끼칠 것이다.
전통적으로 중국정부는 가정교회의 존재를 공식적으로 부인하고, 내부로는 탄압하는 정책을 실시해 왔다. 부득이 한 경우에는 가정교회를 단순히 노인들과 병자들이 별수 없이 가정에서 드리는 자발적인 모임으로 해석해 왔다. 그러나 이제는 더는 그렇게 할 수 없게 되였다. 최근 중국사회와 기독교를 연구하는 학자들가운데 소위 가정교회의 “퉈민”(脱敏, 금기를 깨뜨리고 공개적으로 다루자는 의견)을 주장하는 이들이 나타나고 있다. 그들은 가정교회의 존재를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그 문제들을 다룰 것을 주장한다.
2008년 5월에 중국사회과학원세계종교연구소 주최로 진행된 “종교와 법제- 조화로운 사회에서의 법률제도와 종교” (宗教与法制-和谐社会中的法律制度 与宗教)회의에서 씽부쩡교수는(刑福增)는 “결사자유와 종교자유”(结社自由与宗教 自由)라는 논문을,초우즈(曹志)는 “중국종교단체의 등록제도분석” (中国 宗教 团体登记制度分析)이라는 논문을, 리쌍핑(李向平)교수는 “신앙은 법적 제도가 없을 때, 정신은 밀수할 수밖에 없다”(信仰如无法制,精神比定走私)라는 논문들을 발표하였는데, 모두 종교관리에 있어서 법제의 중요성과 가정교회의 합법적인 등록을 주장했다.
2008년 10월8-10일 북경대학 중국종교 및 사회연구선터 주최로 진행된 “중국종교와 사회심포지음”(中国宗教与 社会高峰论坛)에서 중국사회과학원 농촌 연구소의 저명한 학자 위짼룽(于建荣) 교수는 “중국가정교회의 현황과 미래”라는 중요한 조사연구보고를 발표하였는데, 이 보고는 중국 정부의 요청에 의해 2007년10월-2008년 11월까지 진행된 국가연구프로잭트라고 위교수는 밝혔다. 그는 가정교회의 문제가 공개화되어야 하며, 중국사회에 적극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11월21-22에 중국국무원발전연구센터의 주최로 “기독교와 조화사회 – 중국가정교회문제 전문 연구회의”가 소집되었는데, 여기에서 가정교회문제를 연구하는 정부, 대학, 민간단체, 가정교회의 학자들이 함께 모였다. 회의 후 무려 675페이지에 달하는 연구논문집이 출간되었다.
12월11-13일 중국사회과학원 기독교연구센터의 주최로 “기독종교와 중국사회전환”(基督宗教与社会转型)이라는 연구회에서 리쌍핑(李向平)연구원은 “중국가정교회의 사회화문제: 믿음에 근거한 신앙 - 관계된 권력실천”(当代中国 家庭教会的社会化问题:基于信仰-关系的权利实践)에서 정치와 가정교회의 충돌은 권력운행의 대가를 맹목적으로 증가시킨다고 지적하면서, 가정교회의 합법화는 국가권력운행의 정도임을 힘있게 주장했다. 짧은 기간에 가정교회에 관한 이토록 집중된 토의가 이루어진 것은 의미심장하며, 도시교회의 활약과 관련이 있다. 그 중 상당한 학자들은 가정교회의 회중들이다.
다섯째로, 중국도시교회의 발흥은 중국사회의 발전에 적극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학자 리범(李凡)은 일본 庆应义塾大学에서 발표한 논문8) 에서 중국가정교회가 전체 중국사회가 현대화된 사회로 변천하는 과정에 미치는 중요한 역할에 대해 집중적으로 다룬다. 특히 전제 정권을 대항하여 사상의 독립과 자유를 주장, 정교유착이 아닌 교회의 자주적인 치리를 주장, 자체적인 교육체제과 재정권을 주장 등은 중국의 시민사회형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높이 평가했다. 도시교회의 부상으로 말미암아 지식인들의 대거 유입은 교회의 역할이 신앙을 지키기 위한 피동적인 저항으로부터 보다 적극적인 양상을 띠게 되였는데, 그리스도인 지식인들의 참여로 말미암아 중국인권운동에 신앙과 정신적인 자유라는 새로운 차원의 내용이 첨가되었으며, 교회의 관심도 자체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잇슈에서 보다 넓은 사회적인 잇슈로 예를 들면, 정부의 역할과 청렴, 자율, 사회적인 공정성 등 영역으로 넓혀지고 있다. 현재 중국가정교회는 중국 사회에서 규모가 가장 크고, 가장 활약하는 체제밖의 NGO단체이다. 이범(李凡)교수에 의하면, 약 500-600만개의 NGO단체 중, 가정교회가 근 1/5에 이르는 약 100만개로 추정된다.
여섯째로, 중국도시가정교회의 발흥은 중국이 선교중국으로 부상하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
중국은 오랫동안 전세계 교회의 선교의 대상이 되어 왔다. 중국교회의 부상과 더불어 많은 세계교회 지도자들은 선교중국의 부상을 기대해 왔다. 한동안 잇슈가 되였던 “백투 예루살렘”(BTJ)운동도 그 기대와 관련되어 있다. 2009년 3월23-24에 한국에서 열린 에딘버러 100주년대회 준비모임으로 소집된 “Mission Spirituality and Authentic Discipleship: A Consultation for Study Commission IX”에서 홍콩의 Dr. Kim-kwong Chan교수는 현재 관찰되는 BTJ운동의 역사적인 기원, 그 신학과 문제점에 대해 비판했는데,9) 그 중 소위 BTJ운동에 개입된 가정교회 선교사들의 낮은 자질과 비현실적인 영웅주의를 지적했는데, 필자는 한편 Chan박사의 논지에 깊게 동감하면서, 그에게 부상하는 도시가정교회를 주목할 것은 건의한바 있다. 도시교회의 부흥으로 말미암아 중국교회는 이제 잘 교육된 많은 성도들과 더불어 선교에 헌신된 많은 선교사들을 얻게 될 것인데, 도시교회에서도 뜨겁게 전달되고 있는 선교의 비젼은 우리로 하여금 보다 낙관적인 미래를 소망하게 한다.
물론 도시가정교회는 아직도 넘어야 할 산이 많다. 도시교회는 그 성장의 잠재력에 비해 준비된 목회자들이 적다. 어떻게 도시에서 효과적으로 목회할 수 있는 목회자들을 양육할 것인가? 도시가정교회는 아직은 수적으로 우세인 농촌의 가정교회와 효과적인 협력관계를 이룰 수 있을까? 정부의 등록압력에 대비해서 교회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 것인가? 등록에 대한 생각들이 갈리면서 교회에 분열이 일어날 수도 있지 않을까? 세계화의 물결 속에서 중국교회는 어떻게 교파주의와 해외로부터 물밀듯이 몰려오는 여러 가지 도전들을 헤쳐나갈 것인가? 중국교회는 하나됨을 이룰 수 있을까? 어떻게 세속화와 물질주의, 그리고 새롭게 부상하는 국가주의와 불교의 연합세력의 도전들을 이겨갈 것인가? 수많은 도전들은 우리로 우리를 인도해 오신 그분을 더욱 의지케 한다.
3.맺는 말: 한국교회와 선교중국
한국교회는 중국도시가정교회의 부흥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1992년 한중수교이후 본격적으로 시작된 한국교회의 대중국 선교는 마침 중국도시가정교회의 부흥과 시간을 같이 한다. 주로 동북을 위주로 한 조선족선교와 도시를 중심으로 도시선교들에 집중된 한국교회의 대거 참여는 중국도시교회의 부상에 중요한 역할을 감당했다. 많은 도시교회들의 개척과 부흥의 뒤에 한국교회의 선교사님들의 도움이 있었다. 한국교회는 많은 도시교회의 지도자들 양성에 도움을 주었다. 그러나 변화하는 중국교회의 현장에 근거하여 새로운 역할과 도움이 기대된다.
첫째는 중국도시교회의 부흥은 중국교회자체의 주체성을 크게 고취시켰는데, 이는 향후 중국선교와 관련하여 한국교회가 중국교회와의 관계에서 보다 역할변화를 보여야 함을 의미한다. 과거에 한국교회는 중국교회를 볼 때, 늘 주고 싶고, 가르치고 싶은 생각이 앞섰는데, 이제는 들어주고, 격려하고, 옆에 함께 하는 파트너 사역이 더욱 절실히 필요한 단계이다..
둘째로, 중국가정교회는 한국교회들로부터 목회적 경험을 배우고 싶은 생각을 많이 하는데, 이제 선교사님들은 중국교회와 한국교회를 잇는 통로의 역할도 활발하게 감당할 때가 되지 않았는가 생각된다.
셋째로, 중국가정교회는 수많은 해결해야 할 신학적인 목회적인 과제들을 가지고 있는데, 원숙한 한국교회 신학자들과 목회자들의 지혜와 도움이 필요하다.
넷째로, 세계적으로 퍼져있는 한국교회의 선교 네트워크를 통하여 중국교회가 선교중국으로 부상하는데 실제적인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
각주
1. 토니 램버트는 그의 저서 China’s Christians Millions(한역, 중국교회, 그 놀라운 성장, OMF, 2007)에서 중국교회부흥에 대한 사회학적인 해석을 진행한 Chan 과 Hunter의 주장을 다룬다. 그들은 성장의 10대 요인을
1) 기독교와 전통 중국 민속종교간의 유사점
2) 가정교회에서 특별나게 나타난 매우 유연하고 성공적인 조직형태
3) 중국의 ‘열린 문’정책이 서양 영향에 대한 마오쩌둥주의적인 적개심을 거의 없앴기 때문에, 기독교는 ‘서양종교’라는 인식으로 덕을 봄
4) 개신교는 강력한 종교적 도덕적 메시지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급격히 변하는 사회속에서 매력적으로 다가감
5) 개신교도들 중 많은 수가 얼마간 기독교이었던 가정이나 공동체의 일원이며, 중국교회는 1949년 이전에 선교의 성과가 가장 성공적이였던 성들에서 가장 강세를 보임
6) 개신교도들은 복음전도에 적극적이며, 가정 교회들은 많은 이들이 매력적으로 느끼는 치유와 기적에 집중된 활발한 구전 문화를 가지고 있음
7) 기독교는 합리적이고 비낭비적인 종교로 전통민속종교보다 산업사회에 더잘 살아남을 수 있음
8) 기독교적 형태의 예배와 음악은 매우 매력적이며 공동으로 감정을 해소해 줌
9) 기독교는 다양성을 가지고 있어 매우 카리스마적인 면에서부터 안정되고 교회중심적인 예배까지 아우르고 있음
10) 기독교는 사회에 의해 자존심이 위협받는 이들, 특히 여성 소수민족 소외된 청년들에게 자존감과 강화외 개인 정체성을 제공함. 토니 램버트는 상세하게 상기 주장에 일일이 논박하면서, 중국교회, 특히 가정교회내의 신앙적인 해석을 대변한다(상기 서, 페이지256-265)
2. 상기서, 페이지 257-258
3. 孙毅. < 新兴城市家庭教会的主要关切>, 2009년 11월 “中国家庭教会问题专题研讨会”발표 논문, 현 普世社会科学研究所에서 편집한 “中国基督家庭教会问题研究”연구논문집, 페이지 223-289에 수록되어 있음.
4. 刘同苏, “中国本地家庭教会报告”, <生命季刊> 11卷 第4期(总44期), 2008-01에 수록.
5. 쑨이(孙毅)교수 역시 신흥도시교회의 주요 관심점을 언급하면서 문화와 사회적인 참여에 대한 관심을 들고 있다. 그 외에도 쑨교수는 교리에 대한 관심, 자치에 대한 관심을 언급한다.
6. 李凡, “基督教与中国政治发展” 2008년 7월27일 《背景与分析》특간, 제19호에 발표, 《中国基督教家庭教会问题研究》(2009년 1월)페이지117-145에 재수록, 인용은 135페이지.
7. 朱寻道, “中国城市新兴教会初探”, 《传承与更新:伯大尼教会五周年特刊》페이지 4-8
8. 李凡, “基督教对中国民主的影响”, 2009年7月29日, 《背景与分析》公法评论网 特刊45期에 발표
9. Kim-kwong Chan, “Mission Movement of the Christian community in mainland China: The Back to Jerusalem Movement”. “Mission Spirituality and Authentic Discipleship: A Consultation for Study Commission IX” 페이지 67-82
|출처: GMP Korea
'선교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성경선교신학의 통전적 이해 (손윤탁) (0) | 2009.10.04 |
---|---|
[스크랩] "중국선교와 선교중국의 비전 및 상호관계"에 대한 논찬 (이필립) (0) | 2009.09.12 |
[스크랩] `해외 중국인 사역과 선교중국`의 논찬 (주성민) (0) | 2009.09.12 |
[스크랩] 해외 중국인 사역과 선교중국 (이상란) (0) | 2009.09.12 |
[스크랩] `중국선교와 선교중국의 비전 및 상호관계`에 대한 논찬 (이필립) (0) | 2009.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