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3강 CUP 모형과 지역연구에 의한 CUP프로파일
● 이제는 지역연구에 대해 말씀드릴 차례이군요. 우선 지역연구라는 개념은 현지조사와는 달리 사용되어야 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현지조사는 "규명되어야 할 특별한 사항을 조사하기 위한 현지에서의 정보 수집 활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그러나 지역연구는 그 종족과 지역(농촌 혹은 도시)의 역사, 문화, 생활, 종교, 교육 등의 전반적인 것에 대한 문헌적 고찰과 현장 조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것은 몇 몇 단체에서 일정한 양식을 마련해 두고 있어 이것을 종족 혹은 도시 프로파일이라고 부릅니다. ● 지역연구를 전공하시는 분들과는 좀 다른 의견이 되겠지만, 저는 이 지역연구의 핵심의 하나는 중국어 번역의 능력이라고 봅니다. 연구하고자 하는 종족에 대해 중국에서 발간된 문헌 중에 어느 것이 가장 잘 되어 있는가를 알고, 그것을 잘 번역하는 것은 가장 좋은 정보를 습득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다행히 중국정부는 소수민족연구를 장려하며, 이와 관련한 많은 책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 지역연구와 관련한 또 하나의 핵심은 지역전문가와 선교전략가의 역할입니다. 이렇게 번역된 내용을 두고 지역전문가와 선교전략가는 그 종족/지역 교회 개척(Church Planting)에 꼭 필요한 선교적 정보와 전략은 무엇인가를 상세하게 기술할 수 있어야 만 합니다. ● 저는 이 참에 기존의 지역연구 방식과 병행하여 새로운 방법을 제안해 보려고 합니다. 그것은 종족 자서전 프로파일입니다. 특정 종족의 표본적인 사람을 정하여 그 사람의 가계, 집안배경, 탄생, 성장, 결혼, 자녀양육, 노후 등에 대해 중요한 것을 질문하여 그의 구술을 기록하여 그 종족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것입니다. ● 원거주지인 농촌에서는 50대 정도의 분, 도시에서는 30대-40대, 대학에서는 20대의 사람을 정하여 인터뷰하고 20대 대학생과 30-40대의 직장인, 그리고 40-50대의 농촌 사람을 통하여 그 종족을 깊게 이해하자는 것입니다. ● 이러한 프로파일에 중요한 것은 선교이론가와 전략가의 역할입니다. 이러한 도시와 대학과 종족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교회 개척에 대한 중요한 선교전략을 수립하는 일이 그들의 역할입니다. ● 선교적인 지역연구가 선교적으로 의미가 있기 위해서는 첫째, 그 지역연구가 교회개척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는 것입니다.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입한 지역연구가 교회개척과는 별도로 연구를 위한 연구에 그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둘째는 선교전략과 기도가 지역연구에 의한 정보를 통찰력있게 분석하여 수립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소위 선교정보가 지식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정말 수고하여 작성한 지역연구인데 막상 그 연구에 기초하여 수립된 선교전략은 너무 포괄적이거나 그러한 지역연구가 없어도 상상으로라도 말할 수 있는 그런 정도의 전략에 그치는 수가 많습니다. |
'선교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제25강 교회 개척과 기초양육 (0) | 2009.09.01 |
---|---|
[스크랩] 제24강 교회 개척과 전도 (0) | 2009.09.01 |
[스크랩] 제22강 CUP 모형에서의 사역의 실제: 종족의 원거주지 (0) | 2009.09.01 |
[스크랩] 신학의 꽃이 된 선교학 (0) | 2009.08.11 |
[스크랩] 총체적 선교와 선교지 지역개발의 필요성 (김승호) (0) | 2009.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