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新) 실크로드, 복음으로 새롭게 열려져야 한다. |
실크로드 (Silk Road)란 고대의 내륙 아시아를 횡단하는 동서통상로를 지칭하며 비단길이라는 뜻이다. 이 길을 비단길이라고 지칭하게 된 유래는 동방에서 서방으로 간 대표적인 교역상품이 중국에서 생산된 비단이었던 데에서 비롯된 것이다.
비단길은 동방에서 타클라마칸 사막의 북변을 통과하여 서방에 이르는 서역북도와 남변을 경유하는 서역남도가 있었다. 이 길은 함께 파미르 고원을 넘어 서(西) 투르키스탄의 시장에 이르며, 동방으로는 중국 간쑤성(甘肅省) 둔황(敦煌)에 이르러 그곳에서 길이 합해져 황허강(黃河) 유역에 이르렀다. 그러나 비단길이 열렸던 초기에는 둔황의 사방에 위치하는 로브노르의 동단에서 남북으로 갈라졌는데, 서역북도는 후베이성(湖北省)의 누란(樓蘭), 서역남도는 후난성(湖南省)의 미란(米蘭)을 경유하게 되어 누란과 미란을 국제시장으로 번영하게 하였다.
그러나 3세기경 로브노르 일대의 건조화(乾燥化)로 서역북도는 둔황에서 북행하여 톈산(天山) 산맥의 동쪽 끝, 투루판분지(吐魯蕃盆地)를 경유하여, 카라샤르(焉耆), 쿠차(龜玆), 카슈가르(疏勒)에 이르게 되었다.
한편 로브노르의 남안을 서쪽으로 향하여 우전(于)에 이르는 남도는 점차 이용도가 낮아져 당(唐)나라 때 톈산(天山)남로의 호칭이 생긴 것도 서역북도였다.
실크로드는 중국 신장웨이우얼(新疆維吾爾)자치구 뤄부포(羅布泊)호 서쪽에 위치한 타커라마간(塔克拉瑪干)사막 주변에 산재한 다수의 오아시스 국가들의 대상활동으로 유지되면서 동방에서 중국상인과 북방의 유목민, 남방에서는 티베트인들이 동참하면서 크게 강화되었다.
비단길은 2세기 후반 한무제(漢武帝) 때에 열리기 시작했다는 것이 일반적인 주장이지만 그보다 2세기 앞서서 이미 동서의 교섭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지기도 한다. 그것은 중국의 전국시대(戰國時代)부터 한대(漢代) 초기에 이르기까지 간쑤성 서부를 지배하던 월지(月氏)가 비단의 중계무역에 종사하였던 기록을 발견하면서부터다.
아무튼 동서의 무역통로는 여러 세력이 참여하기 시작하면서 시장이나 상로를 독점하려는 군사적 진출이 있게 되었고 이것이 한무제 때에 이르러 크게 중국 정부의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동기가 되었는 데 이 일로 인하여 한무제는 장건(張騫)을 서역으로 특파(BC 139∼BC 126)하게 되었다. 장건이 서역으로 특파하게 된 것은 동방의 공적인 기록에 서방의 사정이 구체적으로 오르게 된 시작이 되기도 하였다.
여기서 장건이 서역을 견문하게 된 시대적인 배경을 살펴보고자 한다.
장건은 한나라 관리였다. 당시의 통치자 한무제는 광활한 대륙을 지배하기 위해 끊임없이 흉노와 전쟁 중이었다. 이 전쟁에서 포로가 된 흉노병사로부터 간쑤성 서부를 지배하던 월지가 흉노와 원수지간이라는 이야기를 듣게 된다. 한무제는 월지와 연합하여 흉노를 무너뜨릴 계획을 세우게 되었고 이 일을 위해 장건을 윌지의 사절로 파견하기로 결정하였다.
당시만 해도 중국에서는 농서지역 서방은 미지의 세계였다. 윌지는 흉노족에게 패하여 감쑤성 지역에서 쫓겨나 어디에 존재하는지도 몰랐다. 다만 그들에게로 가려면 흉노족의 지역을 통과해야 한다는 사실만 알고 있었다. 따라서 흉노족의 지역을 통과한다는 것은 위험한 길이었다. 이와 같이 위험한 길을 장건은 유목민 통역관 감보(甘父)와 종자 100여명을 거느리고 장안을 떠났다.
장안을 떠난지 얼마 못가 장건은 흉노족에 잡히게 되고 그가 그곳을 통과하게 된 이유를 알게 된 흉노족은 그를 강제로 억류시켰다. 장건이 흉노족에게 억류 당한지 10년 쯤 후, 감시가 소홀한 틈을 타서 몇몇 종자와 함께 탈출에 성공하였다.
장건 일행은 서쪽으로 이동하여 대완국(大宛國)에 이르게 된다. 그 즈음 윌지는 흉노족에 의해 감쑤성지역에서 쫓겨나 이리강으로 도망했다가 그곳에서 다시 오손(鳥孫)에게 쫓겨 아무르강 상류에서 대월지국을 세워 살고 있었다.
대완국의 호의로 10년이 넘는 세월을 천신각고 끝에 고생하여 윌지를 만났지만 그들은 이미 기후나 물자가 풍부한 지역에 정착해 있어 흉노와의 전쟁에 동의하지 않아 본래의 계획은 달성하지 못하고 말았다.
장건은 그곳에서 1여년을 머믈다가 귀국 길에 올랐다. 그가 처음 서역으로 갈 때의 목적은 이루지 못했지만 귀국하는 길에 주변 여러 나라를 지나면서 그들의 풍속과 산물 등에 대한 사정을 견문하게 되었다. 따라서 그는 이란과 페르시아, 시리아, 인도 등에 이르는 국가에 대한 정보를 입수하게 되었다.
장건이 돌아오는 길에 흉노를 피해 파미르고원에서 타임분지의 남쪽을 따라 귀국하려고 했으나 다시 흉노에게 붙들려 1여년의 억류생활 끝에 다시 흉노의 내란을 틈타 장안으로 돌아오게 되었다. 이 때가 그가 처음 장안을 출발했던 해로부터 시작하여 14년 만의 귀환이었다.
장건의 귀환 후 한무제는 그가 견문하고 돌아 온 서역제국들과 교섭하고자 하는 의도로 서방의 교통로에 해당하는 하서지역의 장악에 주력하게 되었고, 곽거병의 출정으로 이 지역을 확보한 무제는 장건을 다시 이리지방의 오손과 동맹관계를 맺기 위해 사절로 파견하였다.
다시 서역으로 간 장건은 오손과의 동맹관계는 달성하지 못했지만 서역의 여러 나라 사절들을 대동하고 귀국하였다.
이 일로 한나라의 부강함이 서역에 알려졌고, 이후 사절과 상인의 왕래가 빈번해지면서 서역으로부터 포도와 석류, 개자리, 호도 등이 수입되고, 서역의 음악과 기술 및 곡예 등이 중국에 전해지게 되었다. 반면 중국에서는 견직물 특히 비단을 수출하게 되었는데 이것은 멀리 페르시아와 로마까지 운송되기에 이른다.
한무제는 기원전 104년 중국의 군대를 이광리(李廣利)를 지휘관으로 파미르고원을 넘게하여 대완에 파견하게 했다. 이 일로 한나라의 위세는 서역일대에 전해져 서역의 모든 나라들은 앞다투어 한나라와 친선관계를 맺어 한나라는 동서교역로를 확보하기에 이른다.
이렇게 동서의 문물이 활발하게 교류되기 시작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이란의 조로아스터교를 비롯해 마니교, 이스람교 및 기독교의 한 종파였던 네스토리우스파 등이 중국으로 전래되는 통로가 되기도 하였다.
실크로드의 최 번성기는 7세기 중엽의 당나라 시대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때 당나라는 타림분지에 안서도호부(安西都護府)를 설치하였는데 이것은 한나라가 확보한 서역과의 교역로를 계속 유지하기 위하여 흉노와 티베트계인 강족(羌族)의 진출을 저지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서역의 여러나라들을 통제와 감시를 담당하게 하였다. 이 후로 왕망이 한나라를 다스릴 즈음에 왕망의 중화의식(中華意識)에 근거한 대외정책으로 서역의 여러 나라들은 하나 둘 한나라를 이반하게 되었고 결국 안서도호부도 폐지되고 말았다.
안서도호부가 폐지된지 오랜 후 후한은 두고(寶固)를 흉노족 토벌대장으로 파견했다. 이 때 두고는 부하 반초(班超)를 서역 여러 나라를 설득하기 위한 사절로 보내 안서도호부가 폐지된지 60년 만에 부활하게 된다. 반초는 30년을 서역도호로 있으면서 동서교통로를 다시 확보하는 데 주력하였으며, 그 사이 대월지국의 침입을 저지하고, 파미르고원 동서의 50여 국을 한나라에 조공국으로 복속시켰으며, 더 나아가 서방의 대진국(大泰國/로마제국)과의 외교를 맺기 위해 부하인 감영(甘英)을 파견하였으나 뜻을 이루지는 못했다.
이렇게 한무제 때의 장건과 후한 때의 반초에 의해 실크로드는 동서를 잇는 교역통상로로 크게 발전하게 되었던 것이다.
그러면 실크로드가 복음의 서진사역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서방과 동방은 하나의 거대한 대륙으로 연결되어 있으면서도 서로가 미지의 세계였다. 따라서 그들은 상호 교역이 이루어지지 않아 단절된 세계로 존재하고 있었다. 그러나 하나님의 역사는 목적이 있어 기원전부터 비단길을 열어 준비시켜 놓으셨던 것이다. 이는 복음의 서진을 완성시키시기 위한 일이었다.
그러나 실크로드로 이어졌던 동서의 화합로(?)가 오랜 역사동안 중단되어 왔다. 이는 하나님의 일관된 역사의 운행하심에 따른 질서에 의한 것이었다. 다시 말하면 복음의 서진을 위해 남겨 놓으신 하나님의 섭리였다.
지금까지 역사적으로 단절된 동과 서의 연결고리는 다시 회복되어져야 한다. 그것은 이제는 동서교역로서의 실크로드로 다시 회복되어져야 한다는 것이 아니다. 복음의 통로로서 새로운 실크로드로 다시 열려야 하는 것이다. 과거에 동방과 서방이 실크로드를 통해 문물이 통상되었던 것처럼 이제는 복음으로 주님이 명령하신 “땅끝”을 향한 서진의 역사로 다시 새로운 실크로드가 시작되어져야 한다.
지금까지 예루살렘에서 복음의 역사가 시작된 이래로 일관된 질서 가운데 운행하신 주님의 섭리가 순리대로 진행되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것은 언제나 서진(西進)이었고, 이러한 서진이야 말로 주님의 명령인 “예루살렘과 온 유대와 사마리아, 땅끝까지 이르러 내 증인이 되리라.”는 말씀이 성취되어지는 과정인 것이다.
참으로 주님이 말씀하신 “땅끝”이란 막연한 어떤 지역을 의미하지 않는다. 그 곳은 분명히 어느 일정한 방향을 따라 계속 전진하여 처음 시작되었던 곳을 향하여 지구를 한 바퀴 돌아 제자리로 돌아 갈 때 그곳이 진정한 땅끝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제 예루살렘에서부터 시작된 복음의 중심사역의 핵은 사도 바울에 의해 서진되면서 지금까지 계속되어 우리나라에 이르게 되었다. 그것이 바로 한국교회가 놀라운 성장을 하게 된 진정한 시대적인 배경이었다.
그렇다면 이제 한국교회는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일정한 방향을 따라 한국교회에 전달된 복음의 핵은 같은 방향을 따라 이동되어져야 한다. 이와 같이 지금까지 역사적으로 그래 왔던 것처럼 같은 방향을 따라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 주님의 뜻이다. 이것이야말로 복음으로 새로운 실크로드를 열어가야 할 당위성이 아니랴.
과거의 실크로드는 동방을 통해 서방으로 비단을 옮겼을 뿐이었다. 이제는 복음이 옮겨져야 한다. 이 복음은 계속 서진되어 왔으며, 서진되어진 복음은 계속하여 서방을 향해 이동되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이 일을 위해 하나님은 한국교회를 선택하셨다고 믿는다.
한국교회의 선교적 시각을 서쪽으로 향해야 한다. 그곳이 한국교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이다. 이 방향의 진로 위에 아시아 대륙이 버티고 있다. 따라서 아시아 대륙은 한국교회가 감당해야 할 최대의 선교지가 되는 것이다.
한국교회가 감당해야 할 최대의 선교지 아시아 대륙. 어떻게 할 것인가? 그 광활한 대륙을 한국교회는 섬겨야 한다. 그들에게 복음을 전해야 한다. 그들에게 복음을 전하는 것은 군림하는 것이 아니라 섬기는 것이다. 그리고 그들로 하여금 서진선교의 사명을 잘 감당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이것은 참으로 한국교회가 감당해야 할 아주 중요한 사명이다. 따라서 한국교회가 그들을 진심으로 섬기고자 할 때 하나님은 한국교회를 통하여 크고 놀라우신 섭리를 성취하실 것이다. 그것은 복음의 서진된 역사가 중단되지 않고 더욱 전진되어 아시아 대륙을 통과하여 복음이 시작된 처음의 땅, 즉 땅끝을 향한 전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하나님은 이 사실에 대하여 잘 알고 계신다. 사명을 부여하신 이가 하나님이시니 한국교회는 이 사명을 바르게 인식하고 바르게 감당하기 위해 수고를 아끼지 않는 수고를 감당해야 한다.
'중국의 기독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중국교회의 서진의 꿈, 다시 일어난다. (0) | 2009.08.28 |
---|---|
[스크랩] 실크로드를 따라 복음을 전달합니다 (0) | 2009.08.28 |
[스크랩] 중국선교, 선교중국 (임일규) (0) | 2009.08.28 |
[스크랩] ‘백 투 예루살렘’운동에 대한 이해와 한국교회선교 (한철호) (0) | 2009.08.28 |
[스크랩] 세계선교에 쓰임받는 선교중국을 기대하며 (0) | 2009.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