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혁개방시기의 중국기독교회
1978년 12월 당의 ‘제11계 삼중전회(第11屆3中全會)’에서 등소평(鄧小平)을 중심으로 하는 당 지도자들이 사상해방(思想解放), 실사구시(實事求是)의 사상노선을 인도함으로써 통일전선전략이 회복되었다. 이에 통일전선공작부(統一戰線工作部), 종교사무국(宗敎事務局), 삼자회(三自會)가 다시 설립되었다.
1980년 남경에서 개최된 제3계 기독교전국회의(基督敎全國會議)에서는 성경 출판과 사역자 배출, 교류 방문 등의 업무를 수행할 중국기독교협회(中國基督敎協會)가 설립되었다. 이로써 기독교삼자애국운동위원회(基督敎三自愛國運動委員會)와 기독교협회(基督敎協會)라는 삼자양회(三自兩會) 체제가 확립되었다. 이때부터 1997년까지 정광훈(丁光訓)[1])이 전국삼자양회(全國三者兩會)의 주석 겸 회장을 담임했으며 현재도 명예주석 및 회장으로서 삼자양회에서 강력한 지도력을 행사하고 있다.
1981년에는 남경금릉협화신학원(南京金陵協和神學院)이 다시 문을 열었다. 또한 같은 해 캐나다에서 개최된 ‘China Program Conference’에 삼자양회의 지도자들이 기독교 대표단으로서 방문한 것을 시작으로 외국 기독교 단체들과의 친선교류가 시작되었다.
1982년 중국정부는 ‘우리나라 사회주의 시기의 종교문제에 관한 기본관점 및 정책’이라는 제목으로 ‘19호 문서’를 발표하여 개혁개방 시기 중국의 기독교정책을 설정하였다. 이 문서는 인류 발전 단계에 있어서 일정한 객관적 조건이 구비될 때 종교는 자연적으로 소멸될 것이라는 것을 대전제로 하고 있다. 사회주의 조건 하에서 종교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종교신앙의 자유를 인정하는 가운데 현대화된 사회주의 강국 건설을 통해 점차 종교가 존재할 수 있는 조건들을 소멸시키는 것이라고 보았다. 이를 위하여 당과 정부는 소위 ‘종교신앙의 자유 정책’을 관철하고자 하였다. 즉 종교계 지도자들을 교육하고, 종교활동 장소를 안배하며, 신학교육을 통해 당의 종교정책을 정착시킬 수 있는 지도자들을 양성할 것을 강조하였다. 정상적 종교활동은 보장하는 대신, 불법활동과 반혁명 활동은 엄격하게 관리하며, 국제적 교류를 적극 전개하여 해외 적대세력의 침투를 방지하고 중국의 국제적 위상을 제고할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19호 문서’는 정부의 기독교에 대한 정책이 통일전선전략(統一戰線戰略)의 차원으로 전환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1982년 12월 4일 전국인민대표대회 5차 회의는 신헌법 제36조를 통과시켰다. 이로써 ‘공민은 종교 신앙의 자유와 함께 불신앙의 자유가 있으며, 무신론을 선전할 자유가 있다’는 기존의 조항이 삭제되고, ‘공민에게 종교신앙의 자유가 있다’는 조항이 확립되었다. 이와 더불어 종교단체 및 종교사무가 외국세력의 지배를 받지 않는다는 조항이 첨가되었다. 이것은 종교세력을 통일전선의 연합대상으로 인정함과 동시에 종교를 이용한 해외 정치세력의 침투를 경계하고자 하는 당시의 상황을 고려한 조치였다.[2])
1989년 6월 천안문사태[3]) 이후 중국의 정치성향은 잠시 강경보수로 급선회 하였으나, 1992년 11월 제14계 공산당전당대회에서 ‘사회주의 시장경제(社會主義市場經濟)’의 도입을 의결하고 ‘사상해방(思想解放)’을 주창함으로써 개혁개방에 다시금 박차를 가할 수 있게 되었다.[4]) 이러한 시기(時機)를 타고 수많은 해외 선교단체들이 중국 내에서의 선교활동을 강화하였다.
경제적 개혁개방과 함께 해외 선교단체가 중국에서 활동을 활발히 전개함에 따라 중국정부는 종교사무관리에 대하여 단호한 입장을 견지하였다. 1993년 국가주석이 된 강택민(江澤民)은 전국통일전선공작회의(全國統一戰線工作會議)에서 ‘종교문제에 대한 세 마디’[5])를 발표하였다. 첫째 ‘당의 종교정책을 정확히 관철할 것’, 둘째 ‘종교사무를 법에 의거하여 집행할 것’, 셋째 ‘종교와 사회주의의 상호 적응을 적극 인도할 것’이다.[6]) 또한, 1994년 1월 31일에는 국무원의 이붕(李鵬) 총리 이름으로 ‘중화인민공화국 경내 외국인 종교활동 관리규정(中華人民共和國境內外國人宗敎活動管理規定)’이라는 새 법령을 제정, 공포함으로써 내∙외국인에 대한 종교활동의 규제와 통제를 강화하기 시작했다.
1999년 3월 전국인민대표회의에서 결의된 ‘소유제개혁(所有制改革)’, 2000년 2월 강택민(江澤民)이 발표한 ‘삼개대표론(三個代表論)’,[7]) 2001년 7월의 2008년 북경올림픽 유치 성공, 같은 해 11월 세계무역기구(WTO) 가입, 2002년 12월 상해의 2010년 세계무역박람회 유치, 2004년 10월 군사위(軍事委) 주석직 승계로 인하여 본격화된 호금도(胡錦濤) 체제의 개막 등은 중국의 정치∙경제적 개혁개방을 가속화하고 있다. 급변하는 국내∙외 정세 가운데에서 발생할지 모르는 종교∙사상적 혼란을 막고자 중국공산당은 통일전선전략에 근거한 종교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다.
[1]) 정광훈(丁光訓)은 1915년 9월 상해의 기독교 가정에서 태어났다. 외조부는 성공회 목사였고, 모친은 경건한 기독교신자였다. 1934년 성요한대학의 토목공학과에 입학하였다. 1년 후 문과로 전과하여 영어와 신학을 배웠다. 1937년 그는 성요한대학을 졸업하고 문학학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졸업과 함께 상해기독교청년회에서 청년회 학생부 간사를 맡았으며, 동시에 성요한대학에서 신학을 연수하였다. 1942년 그는 성요한대학의 신학학사학위를 취득하고 성공회 목사로 안수를 받았다. 중화성공회 상해구주당, 상해기독교국제예배당 목사 및 상해 기독교청년회 간사를 역임하였다. 1946년부터 1951년까지, 그는 캐나다와 미국과 스위스 등 국가에서 일하며 공부하였다. 이 기간 세계기독교학생동맹 간사를 역임했다. 1948년 미국 콜롬비아대학과 뉴욕에큐메니칼신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51년 말, 그는 귀국하여 기독교 ‘삼자’ 애국운동에 참가하였으며, 수년간 이 운동을 지지했다. 그는 1955년 주교로 임명되었다. 1980년 중국기독교 전국대표대회에서 그는 전국양회 주석과 회장으로 당선되었다. 1985년 그는 애덕기금회를 설립하고 이사장을 맡았다. 1993년 강택민 주석은 “당의 종교정책을 전면적으로 확립하라, 종교관리사무를 법적으로 강화하라, 종교와 사회주의 사회의 상호 적응을 적극 인도하라”고 지시하였다. 정광훈은 이에 적극적으로 호응하여 기독교 내의 낙후된 신학사상을 조정할 것을 호소하고, ‘하나님은 사랑이시다’라는 신론, ‘우주적 그리스도’라는 기독론, 적극∙개방∙관용∙능동적 창조론과 인성론을 중심으로 하는 신학사상을 건설할 것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인신칭의 교리 및 신자와 불신자의 대립을 약화할 것을 주장함으로써 사회주의 사회에 유리한 교리를 이끌어 내었다. 그는 교리에서 윤리도덕의 내용을 발굴하였고, 사회주의와 적응할 수 있는 윤리적이며 봉사적이며 이성적인 종교를 제창하였다. 이를 통해 그는 중국기독교의 새로운 신학사상에 있어 골격이 될만한 관점들을 제시했다. 1997년 정광훈은 기독교전국양회의 명예주석 및 회장으로 개임(改任)되었다. 저서로는『정광훈 문집』이 있다. (“丁光訓簡歷,” http://www.yesuaini.com/sp.bbs/dispbbs.asp?boardID=2&ID=396, 福州市基督教施埔堂.)
[2]) 羅冠宗, op.cit.
[3]) 1989년 4월 15일, 학생들의 추앙을 받던 급진개혁주의자 호요방(胡耀邦)이 사망하였다. 그의 장례식을 계기로 시작된 민주화시위가 전국으로 확대되자, 1989년 6월 3-4일 등소평(鄧小平)은 천안문광장에서 시위대를 무력으로 진압하였다. 이 과정에서 1,400여 명의 사망자와 1만 여명의 부상자가 발생하였다. 이 사건으로 중국은 서방측과의 관계 악화, 국제사회에서의 고립, 경제적 어려움 등을 겪게 되었다. 한편, 강경보수파의 권력장악으로 자유·개방정책이 후퇴하게 되었다. (“천안문사태,” http://100.empas.com/pentry.html?I=1689890&v= 42, 엠파스백과사전.)
6) “江澤民總書記關于宗教工作的四句話,” http://www.zytzb.cn/zytzbwz/religion/chanshu/80200212270064.htm., 中共中央統一戰線工作部.
7) 중국공산당이 중국 선진생산력의 발전 요구와 중국 선진문화의 전진 방향과 중국의 가장 광범위한 인민의 근본이익을 대표해야 한다(代表中國先進社會生産力的發展要求, 代表中國先進文化的前進方向, 代表中國最廣大人民的根本利益)는 이론으로서 무엇보다 생산력을 강조하며, 기존의 계급론을 아예 폐기하면서 대신 광범위한 인민을 강조한다. 이 이론에 근거하여 이른바 ‘신흥자산계급의 입당 승인론’이 이어졌다.(김재관, “장쩌민 정치의 야누스적 보∙혁 번갈기,” http://emerge.joins.com/200112/200112_06_3.asp, 에머지.)
'중국의 기독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21世紀初的中國宣教策略 (0) | 2009.05.26 |
---|---|
[스크랩] 标竿人生 (华理克/Rick Warren) (0) | 2009.05.26 |
[스크랩] 문화대혁명시기의 중국기독교회 (0) | 2009.05.05 |
[스크랩] 중국의 공산화와 기독교 (0) | 2009.05.05 |
[스크랩] 중국 삼자신학이란 (0) | 2009.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