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공부

[스크랩] 우리 아이 코칭으로 달라질 수 있다 (류영모)

수호천사1 2008. 12. 2. 21:13

우리 아이 코칭으로 달라질 수 있다
류영모 목사의 코칭시리즈: 당신도 코치가 될 수 있습니다 ⑨

 

교회와 신앙/

 

 

코칭이란 인간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관계형성법으로 자신의 문제점을 찾기 위해 스스로 생각하고 행동하게 만드는 목적이 있는 대화, 커뮤니케이션의 방법의 하나이다. 따라서 ‘자녀교육 코칭’의 전제는 엄마 아빠가 리더가 되어 아이의 삶을 이끌어 주는 것이 아니라, 아이 스스로가 자기 인생의 주역이 되어 자신의 문제점을 스스로 발굴해 내고 그것을 헤쳐 나가게 한다는 것이다.

 

    우리 아이는 밀리언 달러 베이비
   
 10~15년 후에 내 아이가 어디에서 어떻게 백만 불 가치의 아이로 세상의 빛이 될지는 아무도 모른다. 부모의 눈에 가장 흠처럼 보이는 아이의 특징이 훗날 그 아이를 진정으로 살리게 되는 보석이 되고, 지금 미미해 보이는 작은 재주가 이 땅의 자랑이 되며, 세계 속에서 감동과 힘으로 드러날 수 있게 될 것이다. 나는 부모로서 얼마만큼의 가치로 내 아이를 바라보고 있는가?1)

아이를 물끄러미 관찰해 보자. 내가 아이에 대해 장점과 잠재력을 발견하는 데 더 점수를 주고 있는지, 아니면 단점이나 불가능한 것을 캐내는 데 점수를 주고 있는지 생각해 보자. 혹시 무엇을 못한다고, 덜렁거린다고, 내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고 아이를 향해 손가락질하고 있지 않은지 내 자신을 돌아보자.

 

새로운 안목으로 아이를 바라보아야 한다. 백만 불 가치를 확신한다는 것은 무슨 의미일까? 그것은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어느 날 시아버지께서 며느리에게 대대로 내려오는 가보인 백자를 줄 테니, 집으로 오라고 하셨다. 며느리는 너무 좋아서 당장 시아버지 집으로 달려갔다. 시아버지는 안방에 있는 작은 방으로 들어가면 그 가보가 있으니 꺼내 오라고 하셨다. 며느리는 안방을 지나 그 작고 비밀한 방으로 들어갔다. 그런데 너무 깜깜해서 아무 것도 볼 수 없었다. 불을 켜려고 벽을 더듬어 가는데 혹시나 도자기를 잘못 건드려서 깨뜨리면 어쩌나 하는 심정으로 아주 조심스럽게 살금살금 기어 들어갔다.

 

바로 이런 것이다. 내 아이가 값으로 따질 수 없는 백자라고 생각하고 혹시나 잘못해서 깨뜨리지는 않을까, 원래의 문양이나 색깔이 훼손되지는 않을까 잘 닦고 보관하는 그런 조심스러움을 가지는 것이다. 그 가보를 볼 때마다 부자가 된 것 같고, 면면히 흐르는 조상의 손길을 우리 집에 보관하고 있다는 자부심마저 느끼는 것 그러한 마음가짐을 우리 아이에게 갖는 것, 그것이 우리 아이에 대한 최초의 경매가로 부모인 내가 제시한 금액이 되는 것이다.

 

백만 불 리더는 하루아침에 만들어 지는 것이 아니다. 그 첫발은 내가 내 자녀의 가치에 대해 기꺼이 후한 가격을 매기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후한 가격을 매긴다는 것은 곧 내 아이의 숨겨진 능력을 바라보는 부모의 안목이다.  
   
    이젠 나도 코치다- 코칭 기술 배우기

 

부보만큼 자녀에 대해 잘 아는 사람도 없다. 그러나 어느 순간, 부모만큼 자녀의 욕구를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부모들과 자녀의 의사소통의 통로는 막혀 버리게 된다. 부모가 그 의사소통의 통로를 뚫어 주는 순간, 내 아이의 답답했던 어둠의 벽은 무너지고 소망과 비전의 관계가 새롭게 형성되기 시작할 것이다.2)


아이들에 대한 많은 코칭기술이 있겠지만 세 가지 코칭 기술을 익혀 보자.

 

   아이의 열정을 일으키는 코칭 기술

 

아이의 열정을 불러일으키는 코칭 대화는 3가지를 기본질문으로 한다.

 

우선 첫 번째는 아이를 어리둥절하게 만들어야 한다. 

 

‘도대체 왜 이런 질문을 하나’ 하는 마음이 들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어리둥절한 질문은 “한 가지 기적이 일어난다면 어떤 기적이 일어났으면 좋겠니?” 혹은 “알라딘이 나와서 소원을 한 가지 들어준다면 어떤 소원을 들어달라고 하고 싶니?”와 같은 질문이다. 어떤 대답이 나오든 비난 하는 표정이나 말을 해서는 안 된다. “와, 그러면 정말 좋겠구나!”, “와, 생각도 못했던 일인걸?”, “와, 재밌는 생각이구나!”와 같이 긍정적인 피드백을 해 준다. 그런 다음 두 번째 질문으로 들어간다.

 

열정을 일으키는 단계의 두 번째 질문은, 좀 더 깊이 생각해 보게 하는 질문이다.

 

“그것이 네게 어떤 의미를 가지니?”, “왜 중요하니?”, “언제부터 그렇게 되었으면 하고 생각했었니?”와 같은 질문을 통해 아이로 하여금 그 일이 자신의 인생에 있어서 왜 중요한 일인지를 깨닫게 해 줄 수 있다.

 

세 번째 질문은 의혹을 통해 열정을 확인하는 질문이다.

 

“만약 그것 외에 한 가지 소원을 더 들어준다고 하면 어떤 소원을 말하고 싶니?”, “처음 소원과 지금 말한 두 번째 소원중 하나를 고르라면 너는 어떤 소원을 고르고 싶니?” 등등. 이 질문을 통해 아이는 진정으로 내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확인하게 되고, 생각보다 자신이 그 일을 소중하게 여기고 있었음을 알게 된다.

 

   아이의 진정한 모습을 드러나게 하는 코칭 기술3)

 

아이가 자신의 모습을 확인하도록 돕는 질문 역시 3가지 프레임을 가지고 있다.

 

우선, 그들이 누구인가에 관한 질문이다.

 

 “친구들이 너를 표현할 때 어떤 말로 표현하니?” “네가 너 자신을 볼 때 ‘난  OO 다’ 라고 한 마디로 설명한다면 뭐라고 설명 할 수 있을까?” 등이 이 질문의 예들이다.

 

두 번째 질문은 그들은 어디에서 오는가에 관한 질문이다.

 

만약 첫 번째 질문에서 아이가 “애들이 나보고 완벽주의자래요”라고 말했다면, 두 번째 질문에서는 “완벽주의자라는 것을 다시 정의해 본다면 어떤 사람을 완벽주의자라고 말할 수 있을까?”라고 하면서 ‘그 단어에 대한 정의’를 질문하는 것이다.

 

세 번째 질문은 그것이 어떻게 작동되는가에 관한 질문이다.

 

 “네가 완벽하게 책임을 지고 싶을 때는 언제였니? 그 사례를 하나 이야기해 줄래?”라는 질문으로, 아이가 자신의 그 특성을 언제 가장 활성화시킬 수 있는지를 물어보는 것이다.

 

  아이의 최선의 노력을 이끌어내기 위한 코칭의 기술
 
부모들은 아이들의 노력을 끌어내기 위해 엄청난 노력을 한다. 그런데 부모들이 노력하면 할수록 아이들은 도살장에 끌려가는 소처럼 엉덩이를 뒤로 빼며 힘들어 한다. 즉 부모가 노력하면 할수록 아이는 더 힘들어 지는 것이다.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그렇다면 어떻게 아이의 노력을 이끌어 낼 수 있을까?

아이의 최선의 노력을 이끌어내는 코칭 질문도 역시 3가지로 진행된다.


첫 번째는 축하할 내용을 공유하고 자신의 두 배 이상의 노력을 투자할 영역을 설정하는 질문이다.

 

두 단계로 물어봐야 한다. 우선 “네가 노력을 집중해서 얻은 결과 중 한 가지만 이야기해 본다면 어떤 것을 이야기하고 싶니?”, “정말 그렇게 노력하지 않았다면 얻어낼 수 없었을 거라고 생각되는 일을 한 가지만 이야기해 주겠니?”, “노력해서 얻은 결과 중 최고의 찬사를 받은 일이 있다면 무엇이니?”라는 질문들을 한다. 아이가 어떤 결과물 혹은 사람들이 해 주었던 좋은 평가에 대해 이야기하면, 이제는 “와, 성취감이 엄청 느껴졌겠구나. 그렇다면 그 성취감을 두 배로 맛보고 싶은 도전이 있니?”, “레이저처럼 뿜어 나오는 열정을 두 배로 기울이고 싶은 일이 있니?”라는 질문을 한다.
 
두 번째 질문은  그 노력을 확장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질문이다.

 

 “네가 원하는 그 목표를 얻기 위해 바꿔야 할 것 한 가지만 있다면 무엇일까?”, “네가 원하는 것을 이루기 위한 지름길은 무엇일까?”와 같은 질문들이 그 예다.

 

마지막 세 번째 질문은 새 코스 및 새 전략을 짜도록 돕는 질문이다.

 

 “OO을 바꾼다고 했는데, 그것을 바꾸기 위해 지금까지 한 번도 해 보지 않았던 대안이 있다면 어떤 것이 있을까?”, “어떤 것을 새롭게 해 볼 수 있을까?”, “바꾸기 위해 새로운 작전을 짠다면 어떤 작전이 있을까?”라는 질문들이 이에 해당된다. 여기에 “이번 주에 당장 해 볼 수 있는 한 가지만 고른다면?”이라는 질문을 통해, 바로 실천 할 수 있도록 돕는 마무리가 필요하다.

 

     마지막까지 힘을 다해 
 
우리 모두는 자녀들이 위대한 영적 인물로 자라나기를 원한다. 그러나 거기에 도달하기 위한 과정은 투쟁이다. 우리 자녀들의 영적 성장을 돕는 일은 그 자체가 신앙의 여정이지, 어떤 예상되는 지점에 도달했으면 하는 목적지가 아니다. 우리 자녀의 영적 성장이 하나님께 중요하다는 사실을 기억하고 포기하거나 도망치고 싶은 유혹을 물리치고 마지막까지 힘을 다해 자녀들을 코칭 할 때 하나님께서는 부모와 자녀 모두에게 노력에 대한 상을 주실 것이다. 

 

             미주
1. 정진우, 백만불 리더로 키우기 위한 내 아이 브랜드 코칭, p. 13.
2. 정진우, p.118.
3. 정진우, p.122.


             참고문헌
김용태, 부모여 미래로 이동하라, (서울:랜덤하우스 코리아, 2007)
정진우, 백만불 리더로 키우기 위한 내 아이 브랜드 코칭, (서울: 도서출판 NCD, 2005)
조지바나, 차동채, 당신의 자녀를 영적 챔피언으로 훈련시켜라,(서울: 쉐키나출판사, 2006)

출처 : MyLoveChina
글쓴이 : null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