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거라오족 |
. |
|
인구 |
약 45 만 여명이 꾸이쩌우(貴州)성내의 거라오족 자치구에 거주하고 있다. |
언어 |
민족의 고유언어로 거라오語가 있었으나 현재는 사용하지 않으며 문자도 없는 상태이다. | |
기타 |
거라오"란 "사람" 또는 "대나무"란 뜻이며 농업을 위주로 주식은 쌀과 옥수수이다. | |
. |
징족 |
. |
|
인구 |
현재 약 2만 여명이 광시(廣西) 남주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
역사 |
징족(京族)은 15세기 무렵 중국으로 넘어온 월남인을 이야기한다. | |
언어 |
징語를 사용하며 아울러 중국어를 함께 사용하고 있다. |
기타 |
어업을 위주로 하고 있으며 천주교와 도교을 신봉하고 있다. | |
. |
루오빠족 |
. |
|
인구 |
루오빠족은 중국내 소수민족가운데에서도 그 수가 작은 민족으로 현재 약 2400여 명이 남아있다. |
언어 |
민족 고유의 언어를 갖고 있으며 문자는 없다. | |
기타 |
대부분의 루오빠족은 고원협곡에 거주하며 남성들의 의복은 삼림에서의 수렵에 편리하도록 제작되어 있다. | |
. |
장족 |
. |
|
인구 |
현재 약 450만명의 장족(藏族)이 시장(西藏)자치구 지역 및 칭하이(靑海),깐쑤(甘肅)등지에 거주하고 있다. |
역사 |
장족은 중국고대로부터 존재했던 민족중의 하나로 이미 중국 진(秦)나라때 장족에 대한 기록이 남아있다. | |
언어 |
장족은 민족고유의 언어와 문자를 갖고 있다 |
기타 |
장족은 밝고 열정적인 성격을 갖고 있으며 가무에도 능하다. | |
. |
미야오족 |
. |
|
인구 |
약 750만 명이 주로 꾸이쩌우(貴州),후난(湖南),윈난(云南)등지에 거주하고 있다. |
역사 |
미야오족(苗族)에 대한 기록이 고대 갑골문자에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 미야오족이 중국에서 거주기 시작한 것은 고대로부터인것으로 여겨진다. | |
언어 |
미야오족 고유의 언어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다시 3가지 방언으로 나누어진다. | |
. |
쭈앙족 |
. |
|
인구 |
중국내 55개 소수민족 가운데 인구가 가장 많은 소수민족로 약 1500만명이 광시(廣西) 쭈앙족 자치구를 중심으로 거주하고 있다. |
역사 |
쭈앙족은 중국 월(越)나라 민족의 한 지파로 여겨지며 중국 당(唐)宋)때에는 리랴오(俚僚)라고 불리워지기도 했다. | | |
. |
동족 |
. |
|
인구 |
약 250 만명이 구이쩌우(貴州),후난(湖南),광시(光西) 지역을 중심으로 거주하고 있다 |
역사 |
동족에 대한 기록은 중국 송(宋)대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중국정권 수립이후 오늘날의 동족으로 그 명칭이 통일되었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