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소수민족

[스크랩] 중남, 동남지구 19개 소수민족

수호천사1 2008. 11. 26. 23:48

 중남, 동남지구 19개 소수민족

 

  

.
야오
.
인구
650만 명의 이족이 현재 윈난(云南),스추완(四川). 그리고  꾸이쩌우(貴州)등지에 거주하고 있다.
언어
민족언어인 야오語가 있으나 장기간 다른 민족과 어울리면서 일반적으로 중국어를 사용하며 기타 장족(藏族)의 언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기타
야오적은 아열대기후의 해발 1000-2000m의 고지대에 거주하고  있다.또한  도교의 도교의 영향을 받아 조상숭배,장레등의 의식에 있어 도교식의 예법을 따르고 있다.
.
투지아족
.
인구
580 여 만명이 주로 후난(湖南)과 스추완(四川)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역사
투지아(土家)족은 고대 후난(湖南) 지역에  살던  원주민들과 한족(漢族)의 통혼을 통해 나타난 민족이란 이야기가 정설로 받아지고 있다.
언어
고유의 투지아語를 중국어를 함께 사용하고 있지만 점차 중국어를 사용하는 인구가 늘어나고 있다.
기타
투지아족은 주로 농업에 종사하고 있다
.
리족
.
인구
110 여 만명의 리족(黎族)이 주로 하이난도(海南島)에 거주하고 있다.
역사
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하이난도(海南島)에는  신석기시대의 역사유적들이 남아 있는데  리족의  조상들이 이곳에서 고대문명을 발전시킨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언어
리語를 사용하고 있으나 문자는 없다.
기타
리족은 주로 논농사위주의 농업에 종사하고 있다.
.
.
까오샨족
.
인구
까오샨(高山)족은 현재 약 40 여 만 명이 대부분 대만에 거주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대륙내 푸지앤(福建),저지앙(浙江)지역에 일부 거주하고 있다.
언어
까오샨語를 사용하며 문자는 없다.
기타
대만에 거 주하고  있는  까오샨족은  주로 대만 중부의  산악지역에  거주하고 있으며 "社"라고 불리우는 촌락을 이루어 생활하고 있다.대만의 인기가수인 張惠妹와 東力火車가 바로 까오샨족 출신이다.
.
수이족
.
인구
현재 약 35만 여명이 꾸이쩌우(貴州)성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역사
수이(水)족은 고대 "百越"의 후손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언어
수이語를 사용하며 고대로부터 전해진 민족고유의 문자를 갖고 있다.
기타
수이족은 주로 논농사중심의 농업에 종사하고 있다.
.
치앙족
.
인구
현재 약 20 여 만명이  주로 스촨(四川)성내 자치구에  거주하고 있다.
역사
치앙족의 역사는 3000 여년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이는 중국 은(殷)나라 시대의 유물인 갑골문자가운데 치앙족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는것으로 보아 알 수 있다.
언어
치앙語를 사용하며 이는 다시 2가지 방언으로 나누어지고 문자는 없다.
기타
주로 농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부업으로 목축업을 하기도 한다.
.

..
거라오족
.
인구
약 45 만 여명이 꾸이쩌우(貴州)성내의 거라오족 자치구에 거주하고 있다.
언어
민족의 고유언어로 거라오語가 있었으나 현재는 사용하지 않으며 문자도 없는 상태이다.
기타
거라오"란 "사람" 또는 "대나무"란 뜻이며 농업을 위주로 주식은 쌀과 옥수수이다.
.
징족
.
인구
현재 약 2만 여명이 광시(廣西) 남주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역사
징족(京族)은 15세기 무렵 중국으로 넘어온 월남인을 이야기한다.
언어
징語를 사용하며 아울러 중국어를 함께 사용하고 있다.
기타
어업을 위주로 하고 있으며 천주교와 도교을 신봉하고 있다.
.
루오빠족
.
인구
루오빠족은 중국내 소수민족가운데에서도 그 수가 작은 민족으로 현재 약 2400여 명이 남아있다.
언어
민족 고유의 언어를 갖고 있으며 문자는 없다.
기타
대부분의 루오빠족은 고원협곡에 거주하며 남성들의 의복은 삼림에서의 수렵에 편리하도록 제작되어 있다.
.
장족
.
인구
현재 약 450만명의  장족(藏族)이  시장(西藏)자치구  지역 및 칭하이(靑海),깐쑤(甘肅)등지에 거주하고 있다.
역사
장족은 중국고대로부터 존재했던 민족중의 하나로 이미 중국 진(秦)나라때 장족에 대한 기록이 남아있다.
언어
장족은 민족고유의 언어와 문자를 갖고 있다
기타
장족은 밝고 열정적인 성격을 갖고 있으며 가무에도 능하다.
.
미야오족
.
인구
약 750만 명이  주로 꾸이쩌우(貴州),후난(湖南),윈난(云南)등지에 거주하고 있다.
역사
미야오족(苗族)에 대한 기록이 고대 갑골문자에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 미야오족이 중국에서  거주기 시작한 것은  고대로부터인것으로 여겨진다.
언어
미야오족 고유의 언어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다시 3가지 방언으로 나누어진다.
.
쭈앙족
.
인구
중국내 55개 소수민족 가운데  인구가 가장 많은  소수민족로 약 1500만명이 광시(廣西) 쭈앙족 자치구를  중심으로 거주하고 있다.
역사
쭈앙족은 중국 월(越)나라 민족의  한 지파로 여겨지며  중국 당(唐)宋)때에는 리랴오(俚僚)라고 불리워지기도 했다.
.
동족
.
인구
약 250 만명이 구이쩌우(貴州),후난(湖南),광시(光西) 지역을 중심으로 거주하고 있다
역사
동족에 대한 기록은 중국 송(宋)대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중국정권 수립이후 오늘날의 동족으로 그 명칭이 통일되었다.
..
셔족
.
인구
약 70만 명이 주로 푸지앤(福建)과 저지앙(浙江)성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역사
셔語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다시 2개의 방언으로 나누어진다.문자는 없다.
기타
종교로는 자연숭배사상을 가지고 있다.
.
.
무라오족
.
인구
약 17.만명이 주로 광시(廣西) 북부의 산악지대에 거주한다.
언어
무라오語를 사용하며 문자는 한자를 사용하고 있다.
기타
도교가 실제생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으며 청색의 옷을 좋아한다
.
.
마오난족
.
인구
약 7만여명이 광시(廣西)성내의 자치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언어
마오난語를 사용하고 문자는 없다
기타
자연숭배사상과 함께 도교를 믿으며 "마오난"이란 "이 땅의 사람"이란 뜻이다.
.
.
더앙족
.
인구
약 만오천명이 주로 윈난(云南)성의 서남부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역사
중국 한(漢)나라  시기의 ""푸런(僕人)"이 이들의  .조상으로 "더앙"이란 명칭은 1985년부터 불리워지기 시작했다.
역사
더앙족은 담배와 차를 특히 즐기는 것으로 유명하다.
.
.
먼빠족
.
인구
8천여명이 않되는 먼빠(門巴)족은 현재 시장(西藏)지역에 주로 거주하고 있다.
언어
먼빠語를 사용하나 민족문자는 없다
.
.
지누어족
.
인구
약 2만여명이 윈난(云南)성의 지누어산에 살고 있으며 "지누어"란 민족명 역시 지누어산에서 유래한 것이다.
언어
지우어語를 사용하고 있고 문자는 없다
언어
종교는 조상숭배신앙을 가지고 있다

출처 : MyLoveChina
글쓴이 : null 원글보기
메모 :